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5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5, pp. 307-33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22
Received 29 Jan 2022 Revised 10 Mar 2022 Accepted 10 Mar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03.85.307

역사의 소설화, 소설의 역사화 : 이병주 소설의 의미
김한식*
*상명대학교 한국언어문화전공 교수

Fictionalization of history, historicalization of fiction
Kim, Han-sik*

초록

이병주의 문학은 ‘학병세대’라는 담론과 함께 문학 연구의 중심으로 들어왔다. 실제 학병을 경험했던 그는 식민지와 해방, 한반도와 일본이 겹치는 시간과 공간을 소설을 통해 재현해 내었다. 학병의 경험은 작가 이병주의 정체성을 형성한 가장 중요한 사건이었다. 이병주에게 학병세대 이야기는 일종의 인정 투쟁 성격을 띠고 있었다. 그의 소설들은 주로 가까운 과거의 의미를 추적하는데, 작가의 사적인 경험과 타인의 경험을 겹쳐 서술함으로써 기억의 정당성, 세대의 정당성을 인정받으려 하였다. 여기에는 기록과 수기를 허구와 통합하여 소설을 역사로 남기고자 하는 욕망, 허구를 통해 기록이나 수기와 경쟁하려는 욕망이 담겨 있었다. 이병주는 현재의 관점에 충실한 작가였는데, 이 현재의 관점은 현실의 승인에 기초하고 있었다. 식민지 시대 체득한 교양 주의 정신도 그와 그의 소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소설에서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반공주의도 이 식민지 교양 주의와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았다. 그의 교양은 독서를 통해 얻은 서양의 교양이었다. 그의 소설에서는 세계주의를 자주 발견할 수 있는데, 그의 세계주의는 민족주의를 극복한 것이라기보다는 경험 없이 교양으로 습득해버린 일종의 선험적 감각이었다.

Abstract

Lee Byung-ju is a writer who has actually experienced a ‘hakbyeong’(student soldier). He recreated the time and space where colonization and liberation in his novels. For him, the story of the generation of ‘hakbyeong’ took on the character of a struggle for recognition. His novels trace the meaning of the near past. He tried to be recognized for the legitimacy of his memory and the legitimacy of his generation. He tried to integrate records and memoirs with fiction. It contained the desire to leave the novel as history, and the desire to compete with the record or memoir. This current view i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reality. His culturalism acquir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also had a great influence on him and his novels. The anti-communism explicitly revealed in his novels is actually not far from this colonial culturalism. His culture was Western culture acquired through reading. Globalism, often found in his novels, did not overcome nationalism, but was a kind of a priori sense acquired through culture without experience.


Keywords: ‘hakbyeong’, recognition, anti-communism, globalism, colonialism, culturalism
키워드: 학병, 학병세대, 인정 투쟁, 교양 주의, 반공주의, 세계주의, 식민지, 수기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이병주, 『관부연락선』 1~2, 한길사, 2006.
2. 이병주, 「변명」, 『마술사』, 한길사, 2006.
3. 이병주, 『별이 차가운 밤이면』, 문학의 숲, 2009.
4. 이병주, 『지리산』 1~7, 한길사, 2006.

2. 단행본
5. 김윤식, 『이병주 연구』, 국학자료원, 2015.
6. 김윤식, 『일제 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 서울대출판부, 2007.
7. 김윤식, 『한일 학병세대의 빛과 어둠』, 소명출판, 2012.
8. 안경환, 『황용주-그와 박정희의 시대』, 까치, 2013.
9.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변학수·채연숙 역, 그린비, 2011.
10. 프레데릭 코니, 『국가와 기억』, 최호근 외 역,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6.

3. 논문
11. 권선영, 「이병주 『관부연락선』에 나타난 시모노세키와 도쿄」, 『비평문학』63, 한국비평문학회, 2017.3, 7-34면.
12. 김건우, 「운명과 원한」, 『서강인문논총』52, 2018.8, 105-135면.
13. 김성환, 「식민지를 가로지르는 1960년대 글쓰기의 한 양상」, 『한국현대문학연구』46, 2015, 301-344면.
14. 김외곤, 「이병주 문학과 학병세대의 의식 구조」, 『지역문학연구』12호, 2005, 9-33면.
15. 노현주, 「‘연안’으로 간 학병들:학병세대와 코뮤니즘」, 『열린정신인문학연구』, 원광대학교인문학연구소, 2016.8, 217-248면.
16. 손혜숙, 「학병의 기억과 서사」, 『우리문학연구』66, 우리문학회, 2020.4, 271-306면.
17. 송주현, 「국가비상사태 전후의 문화정치와 지식 전유의 한 양상」, 『이화어문론집』40, 2016, 135-158면.
18. 이광욱, 「중립 불가능의 시대와 회색의 좌표」, 『민족문화연구』84, 2019.8, 639-679면.
19. 이다온, 「학병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정체성 연구」, 『민족문학사연구』65, 2017.12, 443-469면.
20. 이평전, 「1970년대 이병주의 회색인 사상과 유사 파시즘으로의 이행 연구」, 『한국문학과예술』, 2017.3, 5-32면.
21. 이평전, 「이병주 소설에 나타난 ‘인정 투쟁’의 논리와 전개 양상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78집, 2018.3, 32-59면.
22. 이혜령, 「해방(기): 총 든 청년의 나날들」, 『상허학보』, 2009.10, 9-50면.
23. 임정연, 「이병주 문학의 낭만성과 낭만적 아이러니」, 『우리문학연구』, 2021.4, 625-648면.
24. 정미진, 「이병주의 대일인식과 한일협정의 기록」, 『국제어문학』 44호, 2019, 251면, 245-272면.
25. 정미진, 「이병주 소설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170면.
26. 정주아, 「혁명 후에 남은 자들, 이병주 『그해 5월』에 나타난 4.19」, 『인문과학연구논총』, 2021.5, 73-98면.
27. 정창훈, 「한일관계의 65년 체제와 한국문학」,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1-206면.
28. 조영일, 「학병의 정신구조에 대한 일고찰」, 『서강인문논총』47, 2016.12, 129-163면.
29. 조영일, 「학병 서사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5, 1-25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