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5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5, pp. 273-306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22
Received 25 Jan 2022 Revised 10 Mar 2022 Accepted 10 Mar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03.85.273

최인훈의 ‘환상’ 개념과 서구환상문학론 비교 : 최인훈의 ‘환상론’ 연구를 위한 예비적 단계의 검토
김춘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

A comparison between Choi In-hoon's ‘Fantasy’ concept and Western fantasy literature theory : As a preliminary review for Choi In-hoon's ‘Fantasy Theory’
Kim, Chun-kyu*

초록

최인훈의 환상론에 대한 연구들은 예술에 대한 최인훈의 사상으로서의 환상과 기존의 서구 환상문학이론을 통해 환상작품들에 드러나는 환상성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어 왔다. 이는 최인훈의 소설 창작 활동이 잠시 중단된 후,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문학론에 대한 탐구와 이후 창작된 작품인 『화두』(민음사, 1994), 「바다의 편지」(『황해문화』, 2003. 겨울호)가 새로운 방식으로 ‘환상’을 다루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즉, 「구운몽」, 「서유기」로 대표되는 최인훈의 환상적 문학들은 기존의 환상문학이론들을 통해 충분히 해명될 수 있는 반면에, 『화두』나 「바다의 편지」는 새로운 환상의 개념이 적용되어야 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두 가지의 연구 방식이 내적으로 긴밀한 연관성을 갖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추후 진행되어야 할 최인훈 환상 개념의 전모를 밝히는 데 있어서 예비적 단계의 논의에 해당한다.

최인훈의 환상 개념은 여러 층위의 의미를 갖고 있다. 이 글에서는 그것을 ‘근원으로서의 환상’, ‘의식 형태로서의 환상’, ‘예술로서의 환상’으로 나누고, 그 중 작품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 해당하는 ‘의식 형태로서의 환상’을 주목하였다. 작품의 창조자와 감상자는 예술의 형태로 나타난 환상을 인식하되, 현실적 인간으로서의 자의식을 잃지 않는다.

이 환상과 현실의 병립 상태는 토도로프가 말하는 환상적인 감각인 ‘망설임’이나 잭슨의 환상적 것들에 대한 인식인 ‘점근축’과도 유사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두 이론가들의 환상 개념은 현실과 비현실의 대립이 강조되고 있으며, 대립으로 인한 불안과 공포의 심리를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두 개념은 서로에게 적대적이다.

이와 달리, 최인훈의 환상 개념은 현실과 환상의 변증법적 지양(止揚)을 추구하고 있다. 인간은 예술의 감상을 통해 환상에 머물면서도 그것이 현실이 아님을 알 수 있어야 하고, 현실 속에 머물면서도 환상을 잃어서는 안 된다. 물론 논리적으로 모순되는 이 기묘한 병존(竝存)의 상태는 예술 감상에 대한 훈련과 의식의 긴장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인간은 현실 속에서 ‘근원으로서의 환상’을 인식하게 되고, 그 인식은 다시 새로운 예술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 인간과 예술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 지양적 관계는 인간의 정신에 부여되는 ‘의미감’과 그로 인한 세계의 점진적 변화를 강조한 캐서린 흄의 도식을 통해 한결 이해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최인훈의 환상은 궁극적으로 무한한 것이며, 끝이자 완성이라 할 수 있는 상상적 유토피아와 다름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들의 이론과 비교한 최인훈의 환상 개념 중 하나인 ‘의식 형태로서의 환상’은 인류 정신의 시작이자 끝이라 할 수 있는, 진화의 완성형으로서의 환상에 도달하기 위한 예비적 단계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 환상(의식 형태)은 인간이 그 ‘상상적 유토피아’를 감지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도 유일한 통로라는 점에서 다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것은 현실 속에서 이상을 꿈꿀 수 있는 방법론인 것이다.

Abstract

Existing studies on Choi In-hoon's fantasy theory have been conducted on Choi In-hoon's fantasy as an idea of art and the fantasy revealed in fantasy works through existing Western fantasy literature theories. This can be said to be because Choi In-hoon's research on literary theory, which has been in full-scale since the 1980s, and his later works, Keyword and Letter of the Sea seem to deal with ‘Fantasy’ in a new way. In other words, Choi In-hoon's fantastic literature represented by Guwonmong and Seoyugi can be sufficiently explained through fantastic literature theories, while Keyword or Letters of the Sea seem to have to be applied with a new concept of fantasy. However,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at the two research methods are not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but are closely related internally. This is a preliminary discussion in revealing the whole concept of Choi In-hoon's fantasy that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Choi In-hoon's concept of fantasy has many levels of meaning. In this paper, it was divided into ‘fantasy as a origin’, ‘fantasy as a conscious form’, and ‘fantasy as an art’. And ‘fantasy as a conscious form’, which correspond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and humans, was noted. The creator and appreciator of the art recognize the fantasy that appears in the form of art, but do not lose self as a realistic human being. This state of coexistence between fantasy and reality has a similar meaning to Todorov's fantastic sense of ‘hesitation’ or Jackson's perception of fantastic things, ‘paraxis’. However, the fantasy of the two theorists emphasizes the confrontation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and evokes the psychology of anxiety and fear caused by the confrontation. Therefore, the two concepts are hostile to each other.

On the contrary, Choi In-hoon's concept of fantasy pursues dialectical sublation of reality and fantasy. Humans should be able to stay in fantasy through appreciation of art and know that it is not reality, and should not lose fantasy while staying in reality. Of course, this strangely contradictory state of coexistence requires training on art appreciation and tension in consciousness.

Through these activities, humans become aware of the ‘fantasy as a origin’ in reality, and its perception again becomes a source of new art cre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rt becomes easier to understand through Catherine Hume's schematic, which emphasizes the ‘sense of meaning’ given to the human mind and the resulting gradual changes in the world. However, Choi In-hoon's fantasy is ultimately infinite. It differs in that it is like an imaginary utopia,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eginning and completion.

One of Choi In-hoon's fantasy concepts compared to their theory, “Fantasy as a conscious form,” is a preliminary step toward reaching the fantasy as a completion of evolutio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human mind. On the one hand, this fantasy(form of consciousnes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that it is the only and concrete channel through which humans can detect its ‘imaginary utopia’. It is a methodology that can dream of an ideal in reality.


Keywords: Choi in-hoon, Fantasy, The theory of Fantastic Literature, Tzvetan Todorov, Rosemary Jackson, Kathryn Hume
키워드: 최인훈, 환상, 환상문학이론, 츠베탕 토도로프, 로즈마리 잭슨, 캐서린 흄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최인훈, 『유토피아의 꿈-최인훈 전집11』, 2010.
2. 최인훈, 『문학과 이데올로기-최인훈 전집12』, 2009.
3. 최인훈, 『길에 관한 명상-최인훈 전집 13』, 문학과지성사, 2010.
4. 최인훈, 『바다의 편지』, 삼인, 2012.

2. 단행본
5. 김윤식, 김현, 『한국문학사(개정판)』, 민음사, 1996.
6. 나병철, 『환상과 리얼리티』, 문예출판사, 2010.
7. 이태동 편, 『최인훈-한국문학의 현대적 해석19』,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9.
8. 최인훈, 『화두1-최인훈 전집14』, 문학과지성사, 2008.
9. 최인훈, 『하늘의 다리/두만강-최인훈 전집7』, 문학과지성사, 2009.
10. 로즈마리 잭슨, 서강여성문학연구회 역, 『환상성』, 문학동네, 2001.
11. 캐서린 흄, 한창엽 역,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2000.
12. 츠베탕 토도로프, 최애영 역, 『환상문학서설』, 일월서각, 2013.

3. 논문
13. 박근예, 「자기시대의 문학형식에 대한 탐구와 모색-최인훈 문학비평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14. 배경열, 「최인훈 소설의 환상성 연구」, 『국제어문』, 국제어문학회, 2008
15. 이경인, 「최인훈 『화두』에 나타난 환상과 기억의 의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16. 정혜영, 「최인훈 소설의 환상성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2.
17. 장사흠, 「최인훈 소설에 있어서 환상의 의미- <가면고>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2000, 235-255면.
18. 조보라미, 「최인훈 소설의 환상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19. 천이두, 「추억의 현실과 환상」, 『하늘의 다리/두만강-최인훈 전집7』, 문학과지성사, 2009.
20. 황순재, 「최인훈 소설의 환상기법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9.
21. Jean-Paul Sartre, ‘Aminadab’; or, The Fantastic Considered as a Language, Literary Essays, Wisdom Lib., 1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