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5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5, pp. 241-271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22
Received 31 Jan 2022 Revised 10 Mar 2022 Accepted 10 Mar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03.85.241

김훈 소설에서 돈과 자본의 문제 : 『공무도하』를 대상으로
김주언**
**단국대학교 교수

The Problem of Money and Capital in Kim Hoon's Novel
Kim, Joo-eon**
Funding Information ▼

초록

이 연구는 김훈의 『공무도하』에 나타난 돈과 자본의 문제를 탐구한다. 작품에서 돈은 자본과 겹쳐 있기도 하고, 구분되기도 한다. 돈과 자본의 문제를 탐구하는 일은 우리 시대 디스토피아를 분석하는 일이며, 극복되지 않은 자본주의 근대성을 탐구하는 작업이다. 이 연구는 경제 자본과 구별하여 문화 자본 개념을 분석 도구로 활용함으로써 소설의 심층 세계에 접근하고자 했다. 자본이 구조화하는 세계는 쉽게 식별되지 않는 추상성을 가지고 있지만 문화 자본의 관점에서 보자면 계층사회의 뚜렷한 특징을 세 층위에서 분별할 수 있다. 첫째, 사회 구성원의 계층 성향에 따라 뚜렷한 대조가 나타나는 언어 스타일이 있다. 둘째, 자유 취향과 필요 취향으로 구분되는 음식 취향을 계층 성향으로 제시할 수 있다. 셋째, 문화 자본의 소유에 따라 양극화가 나타나는 노동의 유형이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계층 구조화가 드러나는 양상을 밝혔다. 희미한 가능성이기는 하지만, 김훈의 소설에는 자본주의적 일상성 외부를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했다. 사랑의 가능성이 바로 그것이다. 여기서의 사랑은 특정의 제도적 정체성이나 보상 가치, 심지어는 사랑의 실현 가능성으로도 환원되지 않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이 연구는 사랑을 발견하고, 그 사랑을 사랑하게 하는 문학의 윤리 문제를 사유했다.

Abstract

This paper attempted to approach the world in depth of novels by using the concept of cultural capital as an analysis tool, distinguishing it from economic capital. The world structured by capital has an abstractness that is not easily identified.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capital, the evident characteristics of hierarchical society can be distinguished at three levels. First, there is a language style in which distinct contrast appears according to the class tendency of members of society. Second, taste in food which is divided into taste of freedom and taste of necessity can be presented as class tendency. Third, there is a type of labor in which polarization appears according to the ownership of cultural capital. Through the above analysis, we identified the aspect of hierarchical structure. Although it is a faint possibility, it was judg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thinking outside everyday life of capitalism. Finally, this research evaluated that this novel makes us think about the ethical issues of literature.


Keywords: capitalist modernity, fetishism, cultural capital, sociology of taste, the common, enclosure movement, possibility of love
키워드: 자본주의 근대성, 물신숭배, 문화 자본, 취향의 사회학, 공통적인 것, 인클로저 운동, 사랑의 가능성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2021학년도 단국대학교 대학연구비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1. 1차 자료
1. 김훈, 『공무도하』, 문학동네, 2009.
2. 김훈, 『칼의 노래·1권』(재개정판), 생각의나무, 2003.
3. 김훈, 『라면을 끓이며』, 문학동네, 2015.

2. 2차 자료
4. 김윤식,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이데올로기 비판』, 서울대 출판부, 1987.
5. 김주언, 『김훈을 읽는다』, 삼인, 2020.
6. 신수정, 「세속 도시의 네안데르탈인」(해설), 김훈, 『강산무진』, 문학동네, 2006.
7. 우찬제, 「한국 현대소설의 경제적 상상력 연구: 1920년대 소설에 나타난 “돈”의 이미지 고찰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14, 한국현대소설학회, 2001, 25~46면.
8. 임화, 『回想詩集』, 건설출판사, 1938.
9. 공자, 박종연 옮김, 『논어』, 을유문화사, 2006.
10. Badiou, A., 김태환 옮김, 「사랑의 재발명」, 한병철, 『에로스의 종말』, 문학과지성사, 2015.
11. Badiou, A., 서용순 옮김, 『철학과 사건』, 오월의봄, 2015.
12. Badiou, A., 조재룡 옮김, 『사랑 예찬』, 길, 2010.
13. Bourdieu, P., 최종철 옮김,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새물결, 2006.
14. Bourdieu, P., 최종철 옮김,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下』, 새물결, 2006.
15. Braudel, F., 주경철 옮김,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Ⅱ-1: 교환의 세계 上』, 1996.
16. Dreyfus, H.‧ Kelly, S., 김동규 옮김, 『모든 것은 빛난다』, 사월의책, 2013.
17. Hardin, G., “The Tragedy of the Commons”, Science. 162(3859), December 13, 1968, pp.1243~1248.
18. Jameson, F., 황정아 옮김, 『단일한 근대성』, 창비, 2020.
19. Lacan, J., 홍준기·이종영·조형준·김대진 옮김, 『에크리』, 새물결, 2019.
20. Levinas, E., 강영안 옮김,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6.
21. Marx, K., 강유원 옮김, 『경제학-철학 수고』, 이론과실천, 2006.
22. Marx, K., 김수행 옮김, 『자본론 Ⅰ[상]』, 비봉출판사, 2015.
23. Negri, A.‧Hardt, M., 정남영‧윤영광 옮김, 『공통체』, 사월의책, 2014.
24. Platon, 천병희 옮김,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향연』, 숲, 2017.
25. Rifkin, J., 안진환 옮김, 『한계비용 제로 사회』, 민음사, 2014.
26. Rimbaud, A., 김현 옮김, 『地獄에서 보낸 한 철』, 민음사, 1978.
27. Rose, C., “The Comedy of the Commons: Custom, Commerce, and Inherently Public Property”, The University of Chicago Law Review. 53(3), 1986, pp.711~781.
28. Simmel, G., 김덕영 옮김, 『돈의 철학』, 길, 2013.
29. Spivak, G. et al, 태혜숙 옮김,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그린비, 2013.
30. Watt, I., 강유나‧고경하 옮김, 『소설의 발생』, 강,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