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5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5, pp. 159-205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22
Received 16 Feb 2022 Revised 10 Mar 2022 Accepted 10 Mar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03.85.159

부르주아의 퇴폐광분(頹廢狂奔)과 민중의 광란분주(狂亂奔走) : 염상섭의 『광분(狂奔)』에 드러난 유물론 인식과 통속화 전략 및 근대성 원리
김은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The Bourgeoisies’ Frantic Lust and The Proletariats’ Infuriate Rebel : Yeom Sang-seop’s Rampage (狂奔)
Jin, Yinhe*

초록

염상섭의 『광분(狂奔)』은 부르주아의 퇴폐광분(頹廢狂奔)과 민중의 광란분주(狂亂奔走)가 교차하는 식민지 조선 사회의 풍경을 통해 그 사회적 성격을 ‘과학’적으로 해부한 탁월한 리얼리즘 작품이다. 작품에서 염상섭은 <카르멘>에 대한 변용을 통해 현대 조선 여성의 이데올로기, 나아가 현대 조선인들의 근대적 전환에서의 주체성을 문제 삼으며, 또 그러한 <카르멘> 주제와 광주학생항일운동을 연결시키는 것을 통해 민족 부르주아지의 문제를 동아시아 약소민족해방운동의 정치 담론과 연동시킨다. 1920년대 말에 이르면 세계는 적과 백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구도로 재편되는데, 그것은 사회주의와 자유주의의 대립의 문제 이면에 국가와 시장의 관계에 대응하는 일국 사회주의와 파시즘의 대항 관계가 자리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세계대공황 시기에 식민지의 민족 실업가가 처한 딜레마는 자본-제국주의가 기반하고 있는 자유주의 경제가 독점자본화 시대에 들어섬에 따라 노동과 자본의 불평등이 더 이상 생산과정에서가 아니라 유통과정에서 주로 생겨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염상섭은 더 이상 협동조합생산이 아닌 자본과 경영의 분리의 방식을 통해 민족자본 세력과 무산계급이 연대하는 새로운 방식에 주목하게 된다. 특히 추리서사의 기법은 민족부르주아지의 사회적 위기 및 무산계급과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대립 양상을 효과적으로 부각시키는 장치로 작용한다. 이 시기에 이르러 염상섭은 식민지 조선에서 민족부르주아지의 리버럴리즘이 파시즘을 내면화하기 쉽다는 판단 하에, ‘데모크라시’에서 제3세계 및 아시아 민족해방운동의 민주주의 담론으로 이행해간다. 이때 주체적 근대성의 원리를 구성하는 오리엔탈리즘이란 ‘미(美)’와 ‘사랑(愛)’의 논리로써 자본-제국주의의 물질문명의 축적과 합리적 개인주의로 구성된 패권적 서구주의에 대결하는 성질의 것으로 드러난다. 민족부르주아지와 무산계급을 민족과 계급의 혁명 주체로 포섭하기 위해서 염상섭은 유물론적 계급관을 내면화한 리얼리즘 작품의 통속화 전략이라는 스타일을 고안해냈으며, 그것이 내포한 사상성의 높이는 당대 한국 문단에서는 단연 독보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Yeom Sang-seop's Rampage(狂奔) is a realism masterpiece that 'scientifically' portrays Korea through the bourgeoisies’ frantic lust and the proletariats’infuriate rebel.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Carmen, Rampage (狂奔) takes issue with the ideology of the Korean modern girl and the idea of modern. By the end of the 1920s, Rampage (狂奔) was reorganized into a world structure of political ideologies of the red and the white, behind which lies the opposing relationship between socialism and fascism in respons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and the market. Therefore, the political discourse of the national independent movement, which is represented by the Gwangju student rebel, suggests that the confrontation between socialism and liberalism should be grasped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economy and ethics. The dilemma faced by the firm managers in the colony shows that labor and capital inequality mainly arise in the distribution process, not in the production process, as the colony enters the era of monopoly capitalization. Yeom Sang-seop studies a new method of solidarity between the bourgeoisie and the proletariat through a method of separating capital and management. The technique of mystery narrative effectively shows the social crisis of the bourgeoisie and the confrontation of political ideology with the proletariat. The fact is that Yeom Sang-seop determined the late 1920s that the liberalism of the national bourgeoisie in Korea was easily internalized fascism. By this time, Yeom Sang-seop's expectations for democracy have shifted from Taisho Democratic Movement to the discourse of the third world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To embrace the national bourgeoisie and proletariat as the subjects of the revolution, he created a style of realism that internalized materialism and associated popularization strategies.


Keywords: Popularity, Realism, the Utility of Art, Carmen, Proletarian Drama, Detective Narrative, Bourgeoi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National Capital, Political Ideology, Materialism, Modernity, Orientalism
키워드: 통속성, 리얼리즘, 예술의 공리성, 카르멘, 프롤레타리아 신극, 추리서사, 부르주아, 민족해방운동, 민족자본, 정치적 이데올로기, 유물론, 근대성, 오리엔탈리즘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염상섭, 「노동운동의 경향과 노동의 진의(眞義)」. 『동아일보』, 1920.4.20.~4.26.(전7회)
2. 염상섭, 『너희들은 무엇을 얻었느냐』, 『동아일보』, 1923.8.27.~1924.2.5.(129회)
3. 염상섭, 「배울 것은 기교: 일본 문단 잡관」, 『동아일보』, 1927.6.7.~6.13.(전6회)
4. 염상섭, 『사랑과 죄』, 『동아일보』, 1928.8.15.~1928.5.4.(257회)
5. 염상섭, 「노쟁(勞爭)과 문학」, 『동아일보』, 1929.2.15.
6. 염상섭, 「‘토구(討究), 비판’ 3제(題) ― 무산문예·양식문제·기타」(전9회), 『동아일보』, 1929.5.4.~5.15.
7. 염상섭, 「문학상(文學上)의 집단의식과 개인의식」, 『문예공론』, 1929.5.
8. 염상섭, 「박람회를 보고 보지 못한 기(記)」, 『조선일보』, 1929.9.15.~9.19.(전4회)
9. 염상섭, 「문예 연두어(年頭語)」, 『매일신보』, 1934.1.3.~1.12.(전7회)
10. 염상섭, 『광분』, 『조선일보』, 1929.10.3.~1930.8.2.(231회)
11. 염상섭, 『모란 꽃 필 때』, 『매일신보』, 1934.2.1.~7.8.(153회)
12. 염상섭, 「비타협과 대중성―문학은 대중을 따라 내려가는 것이 아니다」, 『서울신문』, 1958.9.18.
13. 박영희, 「대중의 취미와 예술운동의 임무」, 『조선일보』, 1928.12.27.~28. (전2회)
14. 김광주, 「상해시절회상기」, 『세대』, 1965.12.
15. 김광주, 「수난기의 극작가 전한과 그의 희곡」, 『동아일보』, 1935.11.16.~11.29.(전9회)
16. 茅盾,「『子夜』 是怎样写成的」, 『新疆日报』 副刊 『绿洲』,1939.6.1.

2. 단행본
17. 가라타니 고진(柄谷行人), 「『세계사의 구조』를 읽는다」, 도서출판 b, 2010.
18. 고바야시 다키지(小林多喜二), 『게공선(蟹工船)』, 『戰旗』(5, 6月號), 1929.(고바야시 다키지, 황봉모 역, 『고바야시 다키지 선집』, 이론과 실천, 2012.)
19. 권영민 외 편, 『염상섭 전집』 (6), 민음사, 1987.
20. 김윤식, 『염상섭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21. 나도향 , 『칼멘』, 박문서관, 1925.
22. 대중문학연구회 편,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997.
23. 도사카 준(戸坂潤), 윤인로 역, 『일본이데올로기』, 산지니, 2020.
24. 디트마르 로터문트(Dietmar Rothemund) 편, 양동휴, 박동휴, 김영환 역, 『대공황의 세계적 충격』, 예지, 2003. 77-78면.
25. 백영서, 『동아시아의 귀환』, 창작과비평사, 2000.
26. 쑨꺼(孙歌), 류준필 외 역, 『아시아라는 사유공간』, 창비, 2003.
27. 에르네스트 만델(Ernest Ezra Mandel), 이동연 역, 『즐거운 살인: 범죄소설의 사회사』, 도서출판 이후, 2001.
28. 염상섭, 『광분』, 프레스21, 1996.
29. 임규찬 편, 『일본 프로문학과 한국문학』, 도서출판 연구사, 1987.
30. 전형준, 『현대 중국의 리얼리즘 이론』, 창작과비평사, 1997.
31. 츠베탄 토도로프(Tzvetan Todorov), 신동욱 역, 『산문의 시학』, 서울: 문예출판사, 1992.
32. 프로스페르 메리메(Prosper Mérimée), 한정주, 『카르멘: 소설 카르멘에서 오페라 카르멘으로』, 파주: 지성공간, 2020.
33. 한기형·이혜령 공편, 『염상섭 문학 전집』, 소명출판, 2013.
34. 生田長江, 『カルメン』, 青年学芸社, 1914.
35. 厨川白村、一宮栄, 『メリメ傑作集』, 大日本図書, 1915
36. 田漢, 『카르멘(卡门)』, 『南国月刊』 제2권 2~3기, 1930.5~6.; 上海: 现代书局, 1930.
37. 竹内好, 「近代とは何か(日本と中国の場合)」, 『現代中國論』, 東京: 普通社, 1963
38. 茅盾, 『한밤중(子夜)』, 『小說月報』; 『文學月報』; 上海:開明書店, 1933.1.55): 「子夜」, 人民出版社, 1977.12
39. 茅盾,『茅盾论创作』,上海文艺出版社,1979.
40. 张全之,「『子夜』 与1930年上海丝业工人大罢工」, 『中国文学研究』,2020(3).
41. 钱理群 編, 『中国现代文学编年史——以文学广告为中心(1915—1927)』,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13.
42. Richard Langham Smith, Clair Rowden, Carmen Abroad: Bizet’s Opera on the Global St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3. 연구논문
43. 김경수, 「염상섭 소설과 연극」, 『현대소설연구』 31, 한국현대소설학회, 2006.
44. 김나라, 「1929년 조선박람회 경성협찬회 연구」, 연세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
45. 김재기, 「중국에서 광주학생독립운동 지지운동: 상해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0(4), 한국동북아학회, 2015.
46. 김재석, 「식민지조선의 외국극 수용에 대한 연구 방법론의 모색: 연국 <카르멘>을 대상으로」, 『한국극예술연구』 59, 한국극예술학회, 2018.
47. 김주리, 「박람회의 시공간과 『광분』의 의미」, 『민족문학사연구』 34, 민족문학사학회, 2007.
48. 박헌호, 「염상섭과 부르주아지」, 『한국학연구』 39,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49. 손과지(孙科志), 「中国媒体对韩国广州学生运动的报道与认识」,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5, 2010.4.
50. 손성준, 「카르멘, 나도향 문학의 한 원천」, 『근대서지』, 근대서지학회, 2018.
51. 이혜령, 「검열의 미메시스: 염상섭의 『광분』을 통해서 본 식민지 예술장의 초규칙과 섹슈얼리티」, 『민족문학사연구』, 민족문학사학회, 2013.
52. 장두영, 「염상섭 소설의 속 악녀의 출현」, 『한국현대문학연구』 55, 한국현대문학회, 2018.
53. 장두영, 「염상섭의 『이심』의 『카르멘』의 수용」, 『외국문학연구』 74,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