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4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4, pp. 331-36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1
Received 25 Nov 2021 Revised 14 Dec 2021 Accepted 14 Dec 2021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1.12.84.331

체험주의적 상상력을 통해 본 박완서 초기 장편소설 연구 : 「나목」, 『목마른 계절』을 중심으로
이선화*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

A Study of Park Wan-seo's Early Novels Through Experiential Imagination
Lee, sun-hwa*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초록

본고는 체험주의적 상상력을 통해 박완서의 소설을 분석하여 이에 내재된 의미를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작가의 ‘경험’에 방점을 두고, 경험/기억의 서사화, 트라우마로서의 글쓰기, 증언으로서의 글쓰기로 박완서 소설을 반복적으로 해석해 온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만으로는 40년에 이르는 긴 창작기간과 문학적 성과를 설명하기에 부족하다. 왜냐하면 박완서에게 있어서 경험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전 작품을 자전적 고백으로 치환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그동안 박완서 소설에서는 그리 주목되지 못했던 ‘상상력’이라는 개념에 주목하여 그의 초기 장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체험주의적 상상력 이론의 두 축인 ‘영상도식’과 ‘은유’를 그 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박완서 초기 장편 소설의 기저에는 <인간은 식물이다> 은유가 전제되어 있다. 재난으로서의 전쟁은 개개의 인간으로서는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작가의 초기 소설 속 전쟁은 일종의 자연재해로, 인간은 식물로 그려진다. 하지만 <인간은 식물이다> 은유는 단순히 수동성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식물은 느리지만 강인한 생명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식물로서의 인간은 더위로 은유되는 이데올로기를 피하고, 김장철의 나목처럼 전쟁의 시기를 견디어 내는 한편 액체적 자질을 추구한다. 박완서 소설에서 자유로운 감정의 교류를 막는 이데올로기는 식물의 성장을 막는 ‘한발’, ‘가뭄’으로,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로운 상황은 ‘바다’, ‘푸르름’ 등으로 은유된다. 또한 두 소설 모두 <안-밖 도식>이 드러나는데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의 공간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밖으로 뻗어나가는 모험을 감행해 나가야 한다. 그렇지 못한 존재는 결국 작품 속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맞는다.

이처럼 본고는 체험주의적 상상력의 두 축인 영상도식과 은유를 활용하여 「나목」과 『목마른 계절』에 드러난 상상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박완서가 전쟁 상황을 이해하는 방식을 확인하고, 작가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삶의 태도가 작품으로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 논증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Park Wan-seo's novel through experiential imagination and examines its implicit meaning. In previous studies, there has been a repetitive tendency to interpret Park Wan-seo's novels as narrating experiences/memories, writing as trauma, and writing as testimony by focusing on the author's 'experience'. However, that interpretation is insufficient to explain Park Wan-seo's 40 years long creation period and her literary achievements. This is because, for Park Wan-seo, experience cannot be ignored, but all her works cannot be replaced with autobiographical confessions. This paper analyzes her early novels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ncept of 'imagination', which had been hardly noticed in other interpretations. For this purpose, the two axes of the experiential imagination theory, 'image schema' and 'metaphor', were adopted in the methodology.

The metaphor of <HUMANS ARE PLANTS> is presupposed in Park Wan-seo's early novels. War as pain is inevitable for all individuals. Therefore, in the author's early novels, war is portrayed as a kind of natural disaster and humans are portrayed as plants. However, the metaphor of <HUMANS ARE PLANTS> does not simply mean passivity. Plants are slow but have strong vitality. The characters endure the long period of war like the leafless tree fluid liquid qualities. In Park Wan-seo's novel, the unfree situation is metaphorized as 'drought', which impede the growth of plants, and the opposite situation is metaphorized with 'sea' and 'green'. Also, <In-Out Schema> appears in both novels. In order to live and sustain life as a human being, we must not only stay in the interior space but also venture outside. Although humans cannot avoid the hardships themselves, they can survive through active attitudes to their lives. Other characters eventually face negative consequences.


Keywords: Park Wan-seo, Cognitive Linguistics, Body, Imagination, image schema, Metaphors
키워드: 박완서, 인지언어학, 체험주의, 상상력, 영상도식, 은유, 나목, 목마른 계절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1. 박완서, 「나목」, 『여성동아부록편』, 동아일보사, 1970.
2. 박완서, 『목마른 계절』, 수문서관, 1978.

2. 단행본
3. 강인숙,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도시와 모성』, 둥지, 1997.
4. 나익주, 『조지 레이코프』,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7.
5. 남진우, 「나목에서 금단의 숲까지-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식물적 상상력」, 『폐허에서 꿈꾸다』, 문학동네, 2013.
6. 박완서, 『세상에 예쁜 것』, 마음산책, 2013.
7. 박완서, 「부처님 근처」, 『현대문학』 제19권 제7호, 1973년 7월호.
8. 김미현, 「영원한 농담에서 새로운 진담으로」, 『박완서 문학 길찾기』, 세계사, 2000.
9. 이정희, 『오정희·박완서 소설의 두 가지 풍경』, 청동거울, 2003.
10. 임규찬, 「박완서와 6·25 체험」, 『박완서 문학 길 찾기』, 세계사, 2000.
11. 정호웅, 「상처의 두 가지 치유 방식」, 『박완서론』, 삼인행, 1991.
12. 홍정선, 「한 여자 작가의 자기 사랑」, 『역사적 삶과 비평』, 문학과지성사, 1986.
13. 마크 존슨, 노양진 옮김, 『마음 속의 몸』, 철학과현실사, 2000.
14. 질 포코니에·마크 터너, 김동환·최영호 옮김,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지호, 2009.
15. 프리드리히 웅거러·한스-요르그 슈미트, 임지룡·김동환 옮김, 『인지언어학 개론 : 개정판』, 태학사, 2010.
16. G.레이코프·M.존슨, 노양진·나익주 옮김, 『삶으로서의 은유』(수정판), 박이정, 2019.

3. 논문
17. 권명아, 「자기상실의 ‘근대사’와 여성들의 자기 찾기」, 『역사비평』 45권, 역사문제연구소, 2000.
18. 김미영, 「박완서 소설의 감정구조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19. 김연숙·이정희, 「여성의 자기발견의 서사, 자전적 글쓰기-박완서, 신경숙, 김형경, 권여선을 중심으로」, 『여성과사회』 제8호, 한국여성연구소, 1997.
20. 김윤정, 「박완서 소설의 젠더 의식 연구:수행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21. 김혜영, 「체험주의의 영상도식과 신체화된 경험」, 『범한철학』 83, 범한철학회, 2016.
22. 송명희·박영혜, 「박완서의 자전적 근대 체험과 토포필리아-『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를 중심으로」,『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20집,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3.
23. 신샛별, 「박완서 소설의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에 나타난 정치성 고찰」,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제36권 3호, 2015.
24. 신샛별,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먹는 인간’의 의미-초기 장편 소설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25. 안아름, 「박완서 소설의 자전적 텍스트성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0.
26. 엄혜자, 『박완서 소설 연구 : 주제의식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27. 우현주, 「박완서 소설의 환대 양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28. 이상우·나소정, 「복수와 치유의 전략적 서사 : 박완서의 자전적 작품세계」, 『인문과학논총』 제25호,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29. 이선화, 「박완서 중기 장편 소설에 나타난 주체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0. 이은하,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전쟁체험과 글쓰기에 대한 고찰」, 『한국문예비평연구』 제18집,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5.
31. 이태동, 「억압적 현실과 여성의 인간의식」, 이태동 편, 『박완서』,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8.
32. 임지룡, 「개념적 은유에 대하여」, 『한국어 의미학』 20권, 한국어의미학회, 2006.
33. 조회경, 「박완서의 「해산바가지」에 나타난 생태학적 상상력」, 『문명연지』 10권 2호, 한국문명학회, 2009.
34. 조회경, 「박완서의 자전적 소설에 나타난 ‘존재론적 모험’의 양상, 『우리문학연구』 31호, 우리문학회, 2010.
35. 조회경,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증언의 소명과 구원’에 관한 연구」, 『우리문학연구』제38권, 우리문학회, 2013.

4. 신문기사
36. 장영우, <박완서 문학의 성과와 의의>, 동국대학원 신문 164호, 2011년 3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