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3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3, pp. 189-221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1
Received 07 Jul 2021 Revised 13 Sep 2021 Accepted 14 Sep 2021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1.09.83.189

이효석 소설에 나타난 도시성과 사회사적 맥락
김정남*
*가톨릭관동대학교 VERUM교양대학 조교수

Urbanity and social historical context in Lee Hyo-seok’s novels
Kim, Jeong-nam*

초록

이효석 소설의 주된 탐구 공간이 ‘도시’라는 사실은 연구자에게는 주지의 사실이지만 대중적으로는 서정적이고 낭만적인 향토적 공간이 우선적으로 연상된다. 그러나 이효석은 근대 도시의 다양한 삶의 양태를 당대의 이념적 스팩트럼 하에서 폭넓게 조명한 작가이다.

먼저 ‘이중도시로서의 식민지 경성’은 주로 동반작가적 경향을 뚜렷하게 나타내던 시기에 창작된 작품 속에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었다. 식민지 경성은 식민지 근대의 진척에 따라 혼종성이 나타난 것을 무시할 수 없지만 지배와 피지배라는 상수가 근본적으로 존재하는 한 식민지 도시 특유의 불균등 발전에 의한 이중 도시의 특성은 반영될 수밖에 없다.

‘전유된 공간으로서의 전원과 관광의 탄생’에서는 식민지 근대의 영향으로 경성과 평양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도시화와 그에 따른 도회 문화의 확산에 따라 전원과 휴양지와 교외의 관념이 어떻게 형성되고 행해지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 도시인의 시각에서 자연이 새롭게 전원의 개념으로 호출됨과 동시에 무목적적·우연적 즐김이라는 오배(誤配)로서의 근대적 관광의 행위가 1930년대 도시 소설의 내면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동경과 멜랑콜리의 공간으로서의 北國’에서는 해삼위와 하얼빈이라는 북국의 도시를 배경으로 이념적 지향성과 당대의 국제사회적 정체 속에서 시대의 향배를 성찰하고 있다. 동반작가적 경향이 짙은 초기작의 경우는 주로 소비에트 사회라는 사회주의 혁명 종주국과 그 인민들을 향한 동경이 짙게 배어 있고, 「북국점경北國點景」, 「하얼빈」의 경우는 일제의 만주 침공과 2차 세계대전으로 상징되는 격동하는 시대상에서 빚어지는 퇴행적 상황성을 짙은 멜랑콜리의 시선 하에서 부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시문화의 양가성과 위생강제’에서는 백화점·호텔·바·카페·끽차부·유곽이라는 도시 문화 공간에서 나타나는 대도회의 일상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여기서 백화점과 호텔이 일상을 구매할 뿐만 아니라 모더니티와 사치라는 이중적 기표를 갖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카페와 술집, 유곽은 이념의 선에서 일탈한 여성의 전락이라는 후일담적 요소와 모던걸과 모던보이로 대표되는 이들의 성희로 구체화된다. 이들에게 성은 자유의 기표이기보다는 건강성이 부재한 사회적 현실과 미래의 시간으로부터 단절된 데카당한 몸부림이며 이러한 도시문화의 퇴폐적 이면과 불륜으로 인한 강박증을 산문 경멸이라는 위생강제로 알레고리화하고 있다.

이효석은 식민지 시대, 서사적 사유의 공간과 그 진폭을 경성과 평양을 넘어 두만 접경지역은 물론 하얼빈과 해삼위까지 그 스펙트럼을 확대하여 세계사적 층위에서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시대상을 폭넓게 성찰한 작가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는 자신의 작품 세계 속에서 역사적 근대성에 길항하는 미학적 응전력을 팽팽하게 유지하고 있는 바, 그가 그려낸 식민지 시대의 도시 군상들은 그 시대의 다양한 지향점과 그 상실의 지점을 대변하고 있다.

Abstract

The fact that the main exploration space of Lee Hyo-seok's novels is ‘city’ is a known fact to researchers, but lyrical and romantic rural area is primarily associated with the public. However, Lee Hyo-Seok is an novelist who has broadly shed light on the aspects of urban life under the ideological spectrum of the time.

First of all, the ‘Colonial Gyeongseong as a dual City’ was concretely shaped space in the work created during the period when it clearly showed the tendency of fellow traveller. Colonial Gyeongseong can not be ignored that hybridity appeared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colonial modernity, as long as the constants of dominating and dominated exist fundamentally, mus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even development peculiar to a colonial city as a dual city.

In ‘Countryside as an appropriate space and birth of tourism’, I analyzed how the concept of countryside, resort area, and suburbs was formed and done according to urbanization centered on large cities such as Gyeongseong and Pyongyang due to the influence of colonial modernity and the spread of urban culture. Through this, it was demonstrated that nature was newly called as a concept of countryside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city dwellers, and that the modern tourism act of purposeless and accidental enjoyment as a misdelivery(誤配) occurred within the urban novels of the 1930s.

In ‘Northern country as a Space of yearning and Melancholy’, reflecting on the direction of the times in the ideological orientation and the current international society as the background of the northern country cities of Vladivostok and Harbin. In the case of early works with a strong tendency of fellow travellers, there is a strong longing for the suscepter of socialist revolution, mainly Soviet society, and its people, and in the case of 「Northern country staffage」 and 「Harbin」, the regressive situation that arises under severe historical circumstances is shaped by the deep melancholy's gaze.

Lastly, in ‘Ambivalence of urban culture and hygiene-forced’, the study focused on quotidienneté of megalopolis, which appears in urban cultural spaces such as department stores, hotels, bars, cafes, tea shops, and red-light district. Here, he pointed out that department stores and hotels have the double signifier of modernity and luxury as they purchase daily life. Cafes, bars, and red-light district are embodied in the reminiscences of women who have deviated from the line of ideology, and the sexual intercourse of those represented by modern girls and modern boys. For them, he pointed out that sex is not a signifier of freedom, but rather a decadent struggle disconnected from the social reality without soundness and future time, such the decadent backside of urban culture and the obsession caused by adultery is allegorized as a narrative of prose contempt.

Lee Hyo-seok is a writer who broadly reflects on the time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from the level of world history by expanding the spectrum of the colonial period, the space of narrative thought and its amplitude beyond Gyeongseong and Pyongyang, to the Tuman border, as well as Harbin and Vladivostok. Through this he maintains a tight aesthetic response against historical modernity in the world of his works, and the cities of the colonial era he portrayed represent various oriented point and the points of their loss.


Keywords: dual city, countryside, tourism, northern country, melancholy, quotidienneté, hygiene-forced
키워드: 이중 도시, 전원, 관광, 북국, 멜랑콜리, 일상성, 위생강제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이효석 단편전집』 1, 애플북스, 2014.
2. 이효석, 『도시와 유령―이효석 단편전집』 2, 애플북스, 2014.

2. 단행본
3. 김백영, 『지배와 공간―식민지도시 경성과 제국 일본』, 문학과지성사, 2009.
4.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사회상 연구』, 일지사, 1996.
5. 유선영, 『식민지 트라우마』, 푸른역사, 2017.
6. 한용환, 『소설학 사전』, 고려원, 1992.
7. 아즈마 히로키, 안천 옮김, 『철학의 태도―‘사상의 패배’ 시대에 철학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북노마드, 2020.
8. 아즈마 히로키, 안천 옮김, 『관광객의 철학』, 리시올, 2020.
9. Freud, Sigmund, 윤희기 역, 「애도와 멜랑콜리」, 『프로이트 전집 13-무의식에 대하여』, 열린 책들, 1997.
10. Han, Byeong-cheol, 이재영 옮김, 『아름다움의 구원』, 문학과지성사, 2016.
11. Marx, Karl, 최인호 외 옮김,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 선집』 1, 박종철 출판사, 2000.

3. 논문·평론 및 기사
12. 강심호·전우형·배주영·이정엽, 「일제식민지 치하 경성부민의 도시적 감수성 형성과정 연구―1930년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도시적 소비문화의 성립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21,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3, 101-148면.
13. 구자광, 「‘멜랑콜리’와 탈식민 ‘정치’―W. B. 예이츠의 경우」, 『한국 예이츠 저널』 28, 한국예이츠학회, 2007, 5-41면.
14. 김남극, 「하얼빈에서 만난 애수-북만주에서 만난 이효석의 흔적들」, 『작가세계』 19, 작가세계, 2007. 11, 85-105면.
15. 김미란, 「감각의 순례와 중심의 재정위―여행자 이효석과 ‘국제 도시’ 하얼빈의 시공간 재구성」, 상허학보 38집, 상허학회, 2013, 183-220면.
16. 김백영, 「일제하 서울에서의 식민권력의 지배전략과 도시공간의 정치학」,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17. 김성연, 「‘꿈의 도시’ 경성, 그 이면의 ‘폐허’―이효석 「도시와 유령」을 시점으로」, 『한민족문화연구』 제27집, 한민족문화학회, 2008, 227-249면.
18. 김상모, 「도시 공간의 인식을 통한 근대성 탐구―이효석의 「도시와 유령」을 중심으로」, 『어문학』 115, 한국어문학회, 2012. 3, 381-406면.
19. 김종건, 「이효석 소설의 도시공간과 작가의식」, 『통일인문학』 41,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4, 1-27면.
20. 김종근, 「식민도시 경성의 유곽공간 형성과 근대적 관리」, 『문화역사지리』 제23권 제1호,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1, 115-132면.
21. 김홍중, 「멜랑콜리와 모더니티」, 『한국사회학』 40(3), 한국사회학회, 2006, 1-31면.
22. 박종홍, 「하얼빈 공간의 두 표상―「심문」과 「합이빈」의 대비를 통한」, 『현대소설연구』 62,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97-123면.
23. 박준형, 「청일전쟁 이후 일본인의 평양 진출과 평양성 내에서의 ‘잡거’ 문제―일본인 신시가의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23(3),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23-56면.
24. 방민호, 「이효석과 하얼빈」, 『현대소설연구』 35, 한국현대소설학회, 2007, 47-69면.
25. 오형엽, 「멜랑콜리의 문학비평적 가능성」, 『비평문학』 38, 한국비평문학회, 2010, 374-401면.
26. 유광렬 외, 「모던걸-모던보이-대논평」, 『별건곤』, 개벽사, 1927. 12.
27. 이경재, 「이효석의 『벽공무한』에 나타난 하얼빈」, 『현대소설연구』 제58권, 현대소설학회, 2015, 331면.
28. 이미림, 「이효석 문학의 커피향기와 카페공간 고찰」, 『현대소설연구』 70,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209-240면.
29. 이미림, 「하얼빈의 산보객 시선과 근대도시 풍경 고찰」, 『우리문학연구』 61, 우리문학회, 2019, 241-266면.
30. 이수형,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과 도시의 정신생활」, 『현대소설연구』 제56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4, 409-436면.
31. 전우용, 「종로와 본정―식민도시 경성의 두 얼굴」, 『역사와 현실』 제40권, 한국역사연구회, 2001, 163-193면.
32. 정종현, 「한국 근대소설과 ‘평양’이라는 로컬리티」, 『사이間SAI』 4권,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89-123면.
33. 조은주, 「일제말기 만주의 도시 문화 공간과 문학적 표현」, 『한국민족문화』 48, 2013, 99-35면.
34. 진수미, 「모던보이와 암살의 본정과 종로 재현 연구―탈식민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7), 한국콘텐츠학회, 2019, 234-24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