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3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3, pp. 87-11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1
Received 31 Aug 2021 Revised 13 Sep 2021 Accepted 14 Sep 2021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1.09.83.087

1980년대 말~1990년대 초반 민중·민족문화운동의 미디어성과 잊힌 가치들 : 집회의 문화적 형식을 중심으로
박상은*
*한국과학기술원 강사

Media and forgotten values of the Minjung-People movements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 Focusing on the cultural form of the assembly
Park, Sang-Eun*

초록

민중문화운동에 있어 1987년 6월 항쟁을 전후하여 1990년대 초반의 시기는 1970~80년대 동안 축적된 역량이 총결산 된 장이자 운동의 ‘쇠퇴’가 진행된 시기이다. 본 연구는 광장의 열기가 집약된 시공간을 통과함과 동시에 ‘침체기’와 분열적 목소리들을 감당해야 했던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 민중/민족문화운동 집회의 성격을 미디어성과 연관하여 재조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의 민중·민족문화운동의 공연사와 운동 주체의 목소리를 미디어성과 겹쳐가며 조망함으로써 당대 운동의 국면을 보다 다각화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민중/민족문화운동의 활동이 드러난 집회 및 공연 활동들과 기관지인 ≪민중문화≫와 ≪민족예술≫의 평론, 대담, 이미지 등을 주 텍스트로 삼았다.

2장은 1987년 6월 항쟁을 전후한 시기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민중문화운동협의회가 조직되고 협의체를 중심으로 1970년대부터 모색되고 창조된 다양한 문화운동 자료들은 수집, 기록되며 아카이브화 되었다. 당대에는 담론적 동일성을 크게 의심받지 않았지만 자료가 가지고 있는 다매체성은 이 자료가 각각의 미디어성 혹은 향유의 맥락에 따라 그 의미가 다양한 방식으로 분기될 수 있었음을 드러낸다. 1987년 6월 항쟁의 열기 속에 <바람맞이 굿>은 무용의 표상성을 통해 확장된 집회 속에서 다중의 마음을 담아내는 문화적 형식으로 기능할 수 있었다.

다음 3장에서는 1987년 6월 항쟁 이후 1990년대 초반까지 폭발적으로 확산되거나 대형화되었던 집회-공연의 미디어성과 균열의 양상을 검토했다. 이 시기에 이르러 이전 시기에도 내재했던 운동 담론의 지향성/폐쇄성/편향성의 가능성과 한계는 극적으로 활성화된 다양한 집회-공연들 속에 본격적으로 가시화되었다. 1990년대 초반의 대형화된 연합 공연 속에서도 이것이 지금-여기에 적실한 목소리인가에 대한 고민이 반영되어 있었다.

집회라는 문화적 형식의 생성과 변화 속에 나타난 균열과 운동이 지속되길 바라는 불투명한 바람은 대표제의 역동성을 드러낸다. 1991년이라는 분기점을 단순한 혁명의 실패가 아니라 더 나은 대중의 삶을 위한 본격화된 고민이 시작될 수 있었던 시기로 의미화해야 하는 이유이다.

Abstract

In the Minjung Cultural Movement, before and after the June Uprising in 1987, the period in the early 1990s was a time when the capabilities accumulated during the 1970s and 1980s were settled and the movement's 'decline' progressed. This study intends to re-examine the concerns of the folk culture movement in the 1990s, which had to deal with 'stagnation' and divisive voices while passing through time and space where the heat of the plaza was concentrated, in relation to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media characteristics.

This study tried to diversify the aspects of the contemporary movement by looking at the performance history of the people's and national cultural movements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and the voices of the movement's actors overlapping the media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e main texts were the assembly and performance activities that revealed the activities of the Minjung/National Cultural Movement, as well as the critiques, dialogues, and images of the magazines Minjung Culture and National Art.

Chapter 2 took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June Uprising in 1987 as the subject of analysis. The People's Cultural Movement Council was organized, and various cultural movement materials sought and created since the 1970s were collected, recorded, and re-produced around the council. At the time, there was no doubt about the inner layering in the text of the ‘Minjung Culture Movement’ that it can be diverg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each medium or the context of enjoyment. In the spaces of ‘Assembly’ created in the heat of the uprising in June 1987, <Gut for the Wind> could function as a cultural form that captures the hearts of the multitude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dance.

In the next three chapters, the media and cracks of the assembly-performances that have exploded or enlarged from the June uprising in 1987 to the early 1990s are reviewed. Even in the large-scale coalition performances in the early 1990s, concerns about whether this is an appropriate voice for the common, now-here were reflected.

Such rifts and the opaque wish for the movement to continue is that in the place where the public enemy has disappeared, the construction of the previous meaning of 'people' is between the poison/medicine of “the mechanism of capitalist ruling culture” and “the social ripple effect of popular art”. It showed a landscape that went through constant pain in order to form a new meaning composition. The dynamism of the representative system revealed at this time is the reason why the turn of 1991 should be understood as a full-fledged concern for a better life of the masses, not as a simple failure of the revolution.


Keywords: Minjung(People) cultural movements, Mediality, Assembly-Performance, Rituals, representation
키워드: 민중민족문화운동, 미디어성, 집회-공연, 의례, 대표성

참고문헌 1. 1차 자료
1. ≪민족예술≫, ≪민중문화≫, ≪경향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 ≪프레시안≫, ≪한겨레≫

2. 논문
2. 김경은, 「이애주 <바람맞이> 춤에 내재된 한국 춤의 본성」, 『비교민속학』 58, 비교민속학회, 2015.
3. 김정한, 「도래하지 않은 혁명의 유산들」, 『문화과학』 제 66집, 문화과학사, 2011,
4. 박상은, 『한국 현대 연행예술운동의 현장성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20.
5. 어연선, 「극단 「현장」의 노동연극 연구: <횃불>과 <노동의 새벽> 창작과정과 순회공연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 연극예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6. 주창윤, 「1980년대 대학연행예술운동의 창의적 변용과정」, 『한국언론학보』 제 59집, 한국언론학회, 2015.

3. 단행본
7. 김정한, 『비혁명의 시대: 1991년 5월 이후 사회운동과 정치철학』, 빨간소금, 2020.
8. 김정한, 『대중과 폭력: 1991년 5월의 기억』, 후마니타스, 2021.
9. 박영욱,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 향연, 2008.
10. 유선영 외 저, 『미디어와 한국현대사: 사회적 소통과 감각의 문화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6.
11. 이영미, 『민족예술운동의 역사와 이론』, 한길사, 1991.
12. 이동후, 『미디어 생태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13. 군터 게바우어, 크리스토프 불프, 최성만 역, 『미메시스:사회적 행동-의례와 놀이-미적 생산』, 글항아리, 2015.
14. 루츠 무스너·하이데마리 울 편, 문화학연구회 역, 『우리는 어떻게 행동하는가: 문화학과 퍼포먼스』, 유로, 2009.
15. 모니카 브리투 비에이라·데이비드 런시먼, 노시내 역, 『대표: 역사, 논리, 정치』, 후마니타스, 2020,
16. 안토니오 네그리·마이클 하트, 정남영·윤영광 역, 『공통체-자본과 국가 너머의 세상』, 사월의책, 2014.
17. 조르주 디디-위베르만, 김흥기 역, 『반딧불의 잔존-이미지의 정치학』, 길, 2012.
18. 존 더럼 피터스, 『자연과 미디어―고래에서 클라우드까지, 원소 미디어의 철학을 향해』, 컬처룩, 2018.
19. 캐서린 벨, 『의례의 이해-의례를 보는 관점과 의례의 차원들』, 한신대학교출판부,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