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3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3, pp. 39-85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1
Received 18 Aug 2021 Revised 13 Sep 2021 Accepted 14 Sep 2021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1.09.83.039

비극적으로 아름다워야 한다는 조건 : 1990년대 여성문학의 제도 문학 편입 맥락과 그 과정
한경희*
*카이스트 강사

Tragic Beauty as Requirement : Women’s Literature’s Incorporation into ‘Literature’ in the 1990s
Han, Kyunghee*

초록

본고는 1990년대에 이르러 여성문학이 제도화된 문학장에 편입될 수 있었던 맥락과 그 과정을 탐색해본다. 1990년대 초는 민족문학의 퇴조로 인해 문학적 규범이 공동화(空洞化)됨에 따라, 그간 공고하게 유지되어왔던 문학의 권위가 흔들렸던 시기였다. 그 반작용으로 1992년경 문학장에는 가장 보수적인 미학성이라 일컬어지는 서정성에 대한 향수가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복고적 향수를 투사할 수 있는 대상으로서 신경숙의 소설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1980년대 문학과의 단절을 통해 자유주의적 개인성을 중심으로 문학장을 재편하고자 하는 논자들은 민족문학의 퇴조 이후 문학장에서 남성들이 이탈해나가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신경숙을 비롯한 여성 작가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전유해나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여성의 시각에서 자신과 세계를 재현하는 작업은 이전 시대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선별되고 검열되기 시작했다. 문학이란 합리적 이성으로 결코 명징하게 파악될 수 없는 모호하고 복잡한 삶의 근원적 비의 혹은 구체적 시공간과 무관한 인간 실존의 보편적 진실과 같은 ‘부정성의 미학’을 표현하는 것으로 굳어져감에 따라, 여성문학은 자기 안의 타자성에 침잠해있는 여성을 재현할 때에만 비로소 보편적 문학성을 구현한다고 인정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여성적 나르시시즘으로부터 비롯된 우울한 상실감과 고독감을 주된 정조로 내세우는 문학 - 이전 시기까지 소위 ‘여류적’ 감성 소설로 불렸던 문학 - 만이 문학장으로 편입되어갔으며, 그 외 여성문학은 대중문학, 상업문학, 전투적 페미니즘 문학 등으로 분류되었다. 이 과정에서 ‘여성적 글쓰기’는 여성문학의 문학적 가치가 보편 자아의 결핍감을 보충하는 대리물로서 모성을 재현하는 데 있다고 얘기함으로써, 여성문학을 전유하면서도 결국 무화시키는 당대 문학장의 보편적 문학성 구축에 공모했다.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text and process of women’s literature’s incorporation into the literary sphere as universal ‘literature’ in the 1990s. Following the early 90s decline of ‘National Literature’ and subsequent hollowing out of literary conventions, the previously sturdy authority of literature was shaken. In reaction, nostalgia arose in the literary sphere for lyricism―often called a conservative aesthetic―and Shin Kyung-sook’s fiction became an object on which to project this nostalgia. Theorists attempting to initiate a break with the literature of the 1980s and reconfigure the literary sphere around liberal individualism actively appropriated the works of Shin and other women writers as a response to men’s departure from the literary world after National Literature’s decline. In the process, women’s representations of self and world were subject to new forms of selection and censorship that differed from those faced by earlier women writers. As literature solidified into an expression of ‘negative aesthetics’―centering on a fundamental sorrow underlying life’s ambiguity, complexity, and unascertainability via reason, or on universal truths of human existence unrelated to any specific time or place―only women’s literature which depicted women withdrawn into inner otherness could receive recognition as universal ‘literature.’ As a result, only literary works for which the central tone is one of depressive loss and solitude stemming from a specifically feminine narcissism―in other words, works which would previously have been referred to as ‘feminine(yeoryu-jeok)’ sentimental novels―were incorporated into the literary sphere. Other women’s literature was categorized as popular literature, commercial literature, aggressive feminist literature, and so on. In the process, ‘women’s writing’ asserting that the literary value of women’s literature lay in representations of motherhood, acting as surrogate to supplement the universal self’s sense of lack, collud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mporary literary sphere’s concept of universal literariness, which appropriated and ultimately neutralized women’s literature.


Keywords: Shin Kyung-sook, The Place Where the Harmonium Was, 1990s, Women’s Literature, Kim Ji Young Born 1982, Munhak Dongne Publishing, Women’s Writing, Literary Style, Aesthetics, Popular Culture, Feminism, Universality
키워드: 신경숙, 풍금이 있던 자리, 1990년대, 여성문학, 82년생 김지영, 문학동네, 여성적 글쓰기, 문체, 미학, 문학성, 대중성, 페미니즘, 보편

참고문헌 1. 소설
1. 신경숙, 「풍금이 있던 자리」, 『풍금이 있던 자리』, 문학과지성사, 1993.

2. 평론 및 좌담
2. 고미숙, 「여성성과 멜로, 그 은밀한 접속?」, 『세계의 문학』, 1999.여름.
3. 김성례, 「여성의 자기 진술의 양식과 문체의 발견을 위하여」, 『또 하나의 문화』 9, 1992.
4. 김윤식·신경숙, 「不在를 견디는 독특한 문체와 미학 – 김윤식 신경숙 대담」, 『문예중앙』, 1993.봄.
5. 김은하·박숙자·심진경·이정희, 「90년대 여성문학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여성과 사회』 10, 1999.5.
6. 김은하, 「90년대 여성소설의 세 가지 유형」, 『창작과 비평』, 1999.겨울.
7. 김정란·방민호·김영하·김사인, 「90년대 문학을 결산한다」, 『창작과 비평』, 1998.9.
8. 김정란, 「90년대 문학의 가능성 – 새로운 진정한 언어의 도래를 꿈꾸며」, 『동서문학』, 1999.여름.
9. 김혜순, 「페미니즘과 여성시」, 『또 하나의 문화』 9, 1992.
10. 김훈, 「글과 무늬 : 신경숙에 대한 내 요즘 생각」, 『세계의 문학』 66, 1992.겨울.
11. 류보선, 「그리움과 끈끈한 생명력의 넓이와 깊이」, 『창작과 비평』, 1993.여름.
12. 방민호, 「성장 사랑 죽음 그리고 통속의 경계 – 은희경·신경숙·공지영의 소설」, 『동서문학』, 1998.9.
13. 박완서·박혜란·조혜정·김혜순·장필화·박일형·김성례, 「살아남기 위한 말, 살리기 위한 말」, 『또 하나의 문화』 9, 1992.
14. 박혜경, 「소설 문법 변모와 그 의미」, 『오늘의 문학』, 1993.7.
15. 박혜경, 「사인화(私人化)된 세계 속에서 여성의 자기 정체성 찾기」, 『문학동네』, 1995.가을.
16. 서영채, 「단편소설과 상품미학」, 『상상』 1, 1993.가을.
17. 신수정·김미현·이광호·이성욱·황종연, 「다시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동네』, 2000.봄.
18. 이광호, 「문학의 복권과 새로운 화법」, 『문화예술』, 1993.7.
19. 이상경, 「‘말해질 수 없는 것들’을 넘어서-신경숙론」, 『소설과 사상』, 1997.봄.
20. 임홍배·염무웅·현기영·김향숙·권성우, 「90년대 소설의 흐름」, 『창작과 비평』, 1993.여름.
21. 장수익, 「현실 반영의 새로운 영역과 여성」, 『소설과 사상』, 1994.여름.
22. 장소진, 「여성의 실존위기와 견딤의 미학」, 『조선일보』, 1994.1.13.
23. 장정일, 「‘헛것’ 불러들여 ‘여성적 글쓰기’」, 『문학정신』, 1993.10.
24. 조남현, 「시적 소설의 한 경지」, 『서평문화』, 1993.12.
25. 황도경, 「여성의 글쓰기와 꿈꾸기, 그 여성성의 지평」, 『문학정신』, 1992.5.
26. 황도경, 「행주치마를 두른 글쓰기와 글읽기?」, 『문학사상』, 1994.4.
27. 황종연, 「개인 주체로의 방법적 귀환」, 『문학과 사회』 6(4), 1993.겨울.
28. 황종연·진정석·김동식·이광호, 「90년대 문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황종연 외, 『90년대 문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민음사, 1999.

3. 논문 및 단행본
29. 권명아, 「여성 살해 위에 세워진 문학/비평과 문화산업」, 『문학과사회』 31, 2018.
30. 김경연, 「87년체제와 한국 여성문학의 변화」, 『한국문학논총』 49, 2008.
31. 김영옥, 「90년대 한국 ‘여성문학’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여성 작가 소설에 대한 담론을 중심으로」, 『상허학보』 9, 2002.
32. 김은하, 「1980년대, 바리케이트 뒤편의 성(性) 전쟁과 여성해방문학 운동」, 『상허학보』 51, 2017.
33. 방민호, 「소설」,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엮음, 『한국현대 예술사대계 6』, 시공사, 2005.
34. 서영인, 「1990년대 문학지형과 여성문학 담론」, 『대중서사연구』 24(2), 2018.
35. 서지영, 「근대시의 서정성과 여성성 – 1920년대 초기 시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7(1), 2006.
36. 손유경, 「페미니즘의 포스트모던 조건」, 『여성문학연구』 50, 2020.
37. 심진경, 「새로운 페미니즘 서사의 정치학을 위하여」, 『창작과비평』 45, 2017.
38. 윤지영, 「남성지배의 몸과 남근 이데올로기의 문제」, 『철학연구』 123, 2018.
39. 이상경, 「한국 여성문학론의 역사와 이론」, 『여성문학연구』 1, 1998.
40. 장은정, 「겨누는 것」, 소영현 외, 『문학은 위험하다』, 민음사, 2019.
41. 조연정, 「‘문학주의’ 시대의 ‘포스트모더니즘’ - 1990년대 비평이 ‘포스트모더니즘’과 접속하는 방식」, 『대중서사연구』 24(4), 2018.
42. 조연정, 「1990년대 젠더화된 문단에서 페미니즘하기 – 김정란과 허수경을 읽으며」, 『구보학보』 27, 2021.
43. 진정석, 「1990년대와 탈이념시대의 문학」, 민족문학사연구소 편, 『새 민족문학사 강좌 02』, 창비, 2009.
44. 천정환, 「창비와 ‘신경숙’이 만났을 때 – 1990년대 한국 문학장의 재편과 여성문학의 발흥」, 『역사비평』 112, 2015.
45. 최가은, 「‘90년대’와 ‘여성문학특집’ : 『문학동네』 1995년 여성문학특집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75, 2021.
46. 한경희, 「박완서 작가 연구 – 대중·민중·여성문학장에서 ‘주부’의 발화 위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47. 한송희, 「한국 문학장에서 ‘정치적 올바름’은 어떻게 상상되고 있는가?」, 『미디어, 젠더&문화』 36(2), 2021.
48. 이임자, 『한국 출판과 베스트셀러 1883~1996』, 경인문화사, 1998.
49. Yuval-Davis, Nira, 박혜란 옮김, 『젠더와 민족』, 그린비, 2012.

4. 신문 기사
50. 「침체文壇새활력소女流작가의욕적활동」, 『동아일보』, 1992.1.27.
51. 「초여름文壇女性두각季刊誌에 활발한 발표」, 『동아일보』, 1992.6.1.
52. 「겨울文壇 여성작가 小說 “풍성”」, 『경향신문』, 1992.12.9.
53. 「家父長 가정 속 다양한 삶 묘사」, 『조선일보』, 1995.5.12.
54. 「30대 여성소설가 베스트셀러 장악」, 『조선일보』, 1995.6.6.
55. 「여성작가 갈수록 「넉넉한 글밭」 신5인방 떠오른다」, 『경향신문』, 1995.6.20.
56. 「중진작가 소설 가뭄 속 외국소설 약진 신경숙 등 20-30대 여류만 상위권 명맥」, 『경향신문』, 1995.7.11.
57. 「여류작가 장편소설 줄이어」, 『매일경제』, 1995.7.30.
58. 「’95문학계 여성작가 강세 지속」, 『경향신문』, 1995.12.26.
59. 「95년 문학계 결산 여성작가 「화제작」 많았다」, 『동아일보』, 1995.12.30.
60. 「‘여성 산맥’에 작가 2명 또 합류 권여선 정정희씨 소설 2편 화제」, 『경향신문』, 1996.3.20.
61. 「90년대 문단은 ‘경자의 전성시대’」, 『경향신문』, 1998.1.20.
62. 「여성의,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문학 ... 베스트셀러 휩쓰는 그들」, 『조선일보』, 1999.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