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3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3, pp. 5-3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1
Received 01 Sep 2021 Revised 13 Sep 2021 Accepted 14 Sep 2021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1.09.83.005

비평의 시대와 그 무수한 흔적들 : 90년대 문학의 매체와 그 지형도
노태훈*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The Era of Criticism and its myriad traces : A Mapping on Literary Media in the 1990s
Roh, Taehoon*

초록

1990년대를 정치, 사회의 변화로 돌아본다면 87년 6월 항쟁과 97년 IMF 사태 사이의 10년을 90년대로 구획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테면 87년 체제 이후의 급속한 사회 현실의 변화가 97년까지 이어지다가 그 이후 급속히 다른 국면을 맞게 되었다는 것인데, 이러한 사회학적 진단이 문학사에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다. 그러나 문학의 매체와 관련해서 검토한다면 87년 출판 자유화로부터 시작된 출판물의 호황, 그리고 97년의 IMF로 인한 위축까지를 적절한 준거점으로 삼을 수 있다. 이 과정을 염두에 두면 ‘87-97’의 10년은 90년대 문학 매체사를 검토할 수 있는 유효한 기준이 될 수 있다.

90년대 문학 매체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대체로 ≪문학동네≫의 창간에 주목하고 있지만 이러한 연구는 대체로 2000년대를 전후한 문학·출판 권력 논쟁의 결과물로 재구된 부분이 있다. 또한 메이저 출판사와 잡지, 문단의 주요 작가들로 가시화되는 90년대 문학사적 전개는 그간의 연구 성과들이 보여준 다양한 90년대의 양상을 상업성과 문단 권력의 문제로 환원시키는 측면도 있다. 우리가 우선 주목해야 하는 것은 문학의 한 형식으로서의 매체가 사회 문화적 맥락과 어떻게 교우하면서 변화되어 왔는지, 그리고 기존의 문학사가 누락해온 90년대의 여러 문학적 풍경들에 대한 회고(retrospection)이자 기록(archive)이다.

본고는 90년대의 다양한 잡지들을 토대로 90년대 문학사적 풍경을 재구성하고 그 매체적 흐름을 고찰하려고 했다. 1980년대의 문학장이 엄혹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정치적·사회적·과학적 비평의 시대였다면 1990년대는 문화예술 비평의 시대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학생 운동이나 정치 투쟁의 저항성은 컴퓨터와 PC통신이라는 새로운 매체를 통해 그 비평적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했고 다양한 문화적 흐름 속에서 문학을 문화예술의 한 장르로 위치시키고 그 교호를 도모하려던 시도도 있었다. 나아가 이것이 자본주의에 저항하는 문화적 실천, 혼란스러운 시대를 극복하기 위한 이론적 탐구 등으로 다채롭게 이루어졌다는 점에도 주목하고자 했다.

동시에 이러한 90년대 문학 매체의 시도들은 한계도 갖는다. 새로운 기술이나 기기를 통한 다양한 가능성이 결국 문학의 생산이나 유통에 있어서는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다는 점과 문화적 저변을 확대하려는 노력이 끝내 문학 중심주의, 엘리트주의를 극복하기는 어려웠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문학이 가지고 있던 경직성이나 엄숙주의 등을 타파하는 데 이러한 매체들이 큰 역할을 했다는 점은 분명하다.

Abstract

Looking back on the 1990s as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the decade between the June 1987 revolution and the 1997 IMF crisis could be defined into the '90s. In other words, the rapid change in social reality after the ‘87 years system’ continued to 1997, however, the sociological analysis cannot be applied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Nevertheless, if we look at the media of literature, we can use the boom in publications that began with liberalization of publications in 1987 and the decrease of the IMF in 1997 as the appropriate base. Accordingly, the decade of '87-97' can be a valid criterion for reviewing literary media in the 1990s.

Existing research on literary media in the 90s usually focuses on the creation of Munhakdongne[Literature Village], but these studies are usually reconstructed as a result of literary and publishing power disputes around the 2000s. Also, the literary development of the 1990s, which is visualized as major publishers, magazines, and literary writers, is a way of returning various aspects of the 1990s that have been shown by research achievements to commerciality and literary power. Wha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first is the retrospection and archiving of how the media as a form of literature has changed with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various literary landscapes of the 90s, which have been omitted by traditional literary history.

Based on the various magazines of the 90s, this paper tried to reconstruct the historical landscape of the 90s and examine its media flow. If the literary field in the 1980s was an era of political, social, and scientific criticism to overcome the harsh reality, the 1990s was an era of cultural and artistic criticism. Resistance to student movements and political struggles has shown its potential through new media such as computers and PC communication, and has placed literature as a genre of culture and art amid various cultural trends and sought interchange. Furthermore, it was also intended to note that it consisted of cultural practices that resisted capitalism and theoretical exploration to overcome chaotic times.

At the same time, these 90s literary attempts have limits. Various possibilities through new technologies or devices did not eventually br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in the production or distribution of literature, and efforts to expand cultural base were difficult to overcome literary centrism and elitism. Nevertheless, it is clear that these media played a major role in breaking down the rigidity and solemnity of literature.


Keywords: the 1990s, Literary Media, Literary Magazine, Onelyegam [Today's feeling], Version Up, MunhwaGwahak[Cultural science], Theory, Sangsang[Imagination], Review, Ida
키워드: 1990년대, 문학매체, 문예지, ≪오늘예감≫, ≪버전업≫, ≪문화과학≫, ≪이론≫, ≪상상≫, ≪리뷰≫, ≪이다≫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대학신문≫, ≪리뷰≫, ≪문예연감≫, ≪문학과사회≫, ≪문학동네≫, ≪문화과학≫, ≪버전업≫, ≪비평의 시대≫, ≪상상≫, ≪오늘예감≫, ≪오늘의 소설≫, ≪오늘의 시≫, ≪이다≫, ≪이론≫, ≪창작과비평≫

2. 단행본
2. 김영찬 외, 『1990년대의 증상들』,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7
3. 김정남 외, 『1990년대 문화 키워드 20』, 문화다북스, 2017
4.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5. 작가와 비평 편, 『비평, 90년대 문학을 묻다』, 여름언덕, 2005
6. 천정환, 『시대의 말 욕망의 문장』, 마음산책, 2014
7. 황종연 외, 『90년대 문학 어떻게 볼 것인가』, 민음사, 1999
8. 마이클 돕스, 『1991―공산주의 붕괴와 소련 해체의 결정적 순간들』, 허승철 역, 모던아카이브, 2020
9. 미셸 마페졸리, 『부족의 시대』, 박정호·신지은 역, 문학동네, 2017
10. 사이먼 레이놀즈, 『레트로 마니아』, 최성민 역, 워크룸프레스, 2017
11. 스튜어트 홀, 『문화연구 1983―이론의 역사에 관한 8개의 강의』, 김용규 역, 현실문화연구, 2021
12. 아를레트 파르주, 『아카이브 취향』, 김정아 역, 문학과지성사, 2020

3. 논문
13. 강내희, 「유물론적 문화론 정초를 위하여」, ≪문화과학≫, 창간호, 1992.6.
14. 강동호, 「‘언표’로서의 내면―1990년대 문학사의 비판적 재구성을 위한 예비적 고찰들」, ≪한국학연구≫ 56집, 2020.2
15. 고은, 「문학이 이끄는 사회와 역사―과학성, 당파성 등의 문제로서의 제언」, ≪창작과비평≫, 1990년 봄호
16. 김경년·최리외, 「책이라는 예술작품, 『딕테』: 차학경 『딕테』 김경년 번역가 서면 인터뷰」, ≪자음과모음≫, 2021년 가을호
17. 김동해, 「학생운동 내의 문학예술투쟁에 대한 제언」, ≪녹두꽃≫ 1호, 1988
18. 김성기, 「상황의 도전과 문화의 응전―최근 잡지의 새로운 경향에 대하여」, ≪문학과사회≫, 1993년 가을호
19. 김영희, 「90년대 문학의 밤과 프롤레타리아의 시―일상/투쟁의 서사와 훼손된 육체를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27권 3호, 2019.12
20. 김윤식, 「체험으로서의 한국 근대문학사론―근대문학의 기원과 문학사의 원환 구조」, ≪문학동네≫, 1998년 겨울호
21. 김주연, 「상업 문화와 혁신 문화의 거리―90년대의 문학과 사회를 전망하며」, ≪문학과사회≫, 1990년 봄호
22. 김창남, 「민주화 대세 거스르는 대중문화」, ≪選批≫, 1988년 봄호(창간호)
23. 김탁환·손동수·한정수, 「특별좌담: 대중문화잡지, 무엇을 할 것인가?」, ≪상상≫, 1996년 가을호
24. 나준성, 「이성욱 비평의 문화(운동)론과 ‘현실’이라는 조건의 의미」, ≪춘원연구학보≫ 제20호, 2021.4.
25. 서영채, 「1990년대, 시민의 문학: 『문학동네』 100호에 즈음하여」, ≪문학동네≫, 2019년 가을호
26. 안용희, 「X세대의 상상력과 ‘리얼리티’의 갱신」, ≪한국문학연구≫ 61집, 2019.12.
27. 여국현, 「‘사이버문학’과 사이버시대의 텍스트 짜기―『사이버문학의 도전』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문화과학≫ 11호, 1997.4
28. 윤지관, 「전환기의 민족·민중문학과 소설」, ≪실천문학≫, 1990년 봄호
29. 이동연, 「의미화실천, 주체화양식, 실험공학의 장: 한국 문화연구의 생산적 논쟁을 위해」, ≪문화과학≫ 13호, 1997.12.
30. 이성욱, 「90년대 문화운동의 방향 모색」, ≪문화과학≫ 창간호, 1992.6
31. 이용욱, 「로그 아웃: 정보화 사회, 국어국문학의 방향」, ≪버전업≫, 1999년 여름호
32. 이용욱, 「문학의 위기와 새로운 도전」, ≪버전업≫, 1996년 가을호(창간호)
33. 이윤종, 「『문화/과학』과 1990년대 한국의 문화론」, ≪구보학보≫ 19집, 2018.12.
34. 이해영, 「90년대와 80년대: 하나의 정신사적 고찰」, ≪문화과학≫, 1999년 겨울호
35. 장성규, 「당신들의 90년대」, ≪실천문학≫, 2015년 여름호
36. 장성규, 「한국에서의 ‘프롤레타리아의 밤’: 1980-90년대 노동자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63집, 2021
37. 정윤수, 「1990년대 피씨통신과 취향공동체의 형성」, ≪사회와 역사≫ 제127집, 2020.9
38. 조연정, 「‘문학주의’의 자기동일성―1990년대 『문학동네』의 비평 담론」, ≪상허학보≫ 53집, 2018.6
39. 조연정, 「『문학동네』의 ‘90년대’와 ‘386세대’의 한국문학」, ≪한국문화≫ 81집, 2018.3
40. 주은우, 「자유와 소비의 시대, 그리고 냉소주의의 시작: 대한민국, 1990년대 일상생활의 조건」, ≪사회와 역사≫ 88호, 한국사회사학회, 2010.12
41. 천정환,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2)―『노동자의 이름으로』에 나타난 열사, 진정성 그리고 1990년대」, ≪반교어문연구≫ 제56집, 2020.12
42. 천정환,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 주체와 노동과정에 대한 서사론」, ≪반교어문연구≫ 제46집, 2017.8
43. 최가은, 「‘90년대’와 ‘여성문학특집’: 『문학동네』 1995년 여성문학특집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75권, 2021.4
44. 하상일, 「90년대 문화담론을 둘러싼 세 가지 질문―문화잡지에 대한 비판적 점검」, ≪오늘의 문예비평≫, 1999년 봄호
45. 홍윤기, 「탈계급적인 선택과 결단의 문학적 표출―해방문학으로서의 대학문학」, ≪문학과사회≫, 1988년 여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