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2, pp. 407-441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1
Received 26 Apr 2021 Revised 12 Jun 2021 Accepted 15 Jun 2021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1.06.82.407

양건식(梁建植) 사상과 문학의 총체성② : 1910년대 양건식 문학의 재발견
유봉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학술교수

The Totality of Yang Geon-sik(梁建植) Thought and Literature2 : The Rediscovery of Yang Geon-sik Literature in the 1910s
Yu, Bong-hee**
Funding Information ▼

초록

이 연구는 양건식(梁建植, 1889-1944) 사상과 문학의 총체성을 복원한다는 목적 아래 두 개의 논제를 정했다. ① 양건식의 사상적 궤적을 통해 그의 사상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② 1910년대 양건식 문학의 가치의 재발견 등이 그것이다. 소설·번역·평론 등 양건식의 다양한 텍스트를 상대로 이것이 각기 분리된 채 여기(餘技)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고 유기적 통일성을 유지한 가운데 산출된 고투의 산물임을 확인해 나갔다. ①에서는 양건식 사상궤적을 통해 그가 동아시아 지식장(知識場) 전환에 얼마나 민감했으며, 불교철학을 바탕으로 서양근대사상을 체인(chain)했던 인물이었는지를 탐구했다. 이번은 그 두 번째로 1910년대 양건식 문학의 가치를 재점검하고자 한다. 우선 그가 발표한 단편과 평문(評文)을 중심으로 1910년대 양건식의 문학적 가치를 재고할 생각이다. 특히 1910년대 문학을 1920년대 문학을 위한 예비단계로 보는 시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1910년대 양건식 문학의 선취성과 독자성을 확인할 것이다. 아울러 양건식의 문학론에 대해서도 새삼 되새길 생각이다.

Abstract

This study established two topics with the aim of restoring the totality of Yang Geon-sik (1889-1944) thought and literature. They are re-examining his ideological value through the ideological trajectory of Yang Geon-sik, and rediscovering the value of Yang Geon-sik literature in the 1910s. Against various texts of Yang Geon-sik, such as novels, translations, and reviews,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not separate and existed here, but were the product of struggle produced while maintaining organic unity. ① explored how sensitive he was to the conversion of East Asian knowledge fields through Yang Geon-sik's thought trajectory and how he was a chain of Western modern ideas based on Buddhist philosophy. This time, we will re-examine the value of Yang Geon-sik in the 1910s and re-examine Yang Geon-sik's position in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First of all, he plans to review Yang Geon-sik's literary and historical status in the 1910s, focusing on his short stories and essays. In particular, we will look critically at the view that literature in the 1910s is considered a preliminary stage for literature in the 1920s, and confirm the preoccupation and independence of Yang Geon-sik literature in the 1910s. In addition, we will reflect on Yang Geon-sik's theory of literature.


Keywords: Yang Geon-sik, Lee Kwang-soo, 1910s, novels, literature, literature, enlightenment, enlightenment, autonomy of literature, individual, inner, and careerism
키워드: 양건식, 이광수, 1910년대, 소설, 문학, 문학론, 계몽, 탈계몽, 문학의 자율성, 개인, 내면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8S1A5B5A01035071)


References 1. 기본자료
1. 權輔相, 『大東學會月報』 제3호(1908, 4), 43면.
2. 남윤수·박재연·김영복 편, 『양백화 문집』 1·2·3, 강원대출판부, 1995.

2. 단행본
3. 김영금, 『백화 양건식 문학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5, 15면.
4. 박종원·최탁호·류만, 『조선문학사』, 열사람, 1988, 121면.
5. 박충록, 『한국민중문학사』, 열사람, 1988, 210면.
6. 백지연 편, 『현상윤 작품집』,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08, 66면.
7. 우정권, 『한국근대고백소설의 형성과 서사양식』, 소명출판, 2004, 98면.
8. 임형택 외, 『한국현대대표소설선』, 창작과비평사, 1996, 444면.
9. 최원식, 『문학』, 소화, 2012, 200면.
10. 하타나 세츠코 지음·최주한 옮김, 『 무정』을 읽는다-『무정』의 빛과 그림자』, 소명출판, 2008, 143-144면.
11. 한기형, 『한국근대소설사의 시각』, 소명출판, 1999, 292면.

3. 논문
12. 고재석, 「한국현대문학사와 불교소설-〈석사자상〉에서≪만다라≫까지」, 『한국문학연구』 제19권,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997, 388면.
13. 권정희, 「번안소설로서의 <귀거래> 1910년대 양건식 단편소설의 원작 연구」, 『국어국문학 』 제166호, 국어국문학회, 205-206면.
14. 민병욱, 「양백화 비평담론 연구-중국신문학운동론의 수용과 관련하여」, 『비평문학』제31집, 한국비평문학회, 2009, 199면.
15. 배개화, 「백화 양건식과 근대적 문체의 실험」, 『한국현대문학연구』 제18집, 한국현대문학회, 2005, 156-157면.
16. 서영채, 「계몽의 불안 : 루쉰과 이광수의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 제51집, 한국현대문학회, 2017, 113면.
17. 손정수, 「자율적 문학관의 기원」, 『민족문학사연구』 제20집, 민족문학사학회, 2002, 337면.
18. 신재기, 「한국근대문학비평론 형성에 대한 연구」, 『어문학』 제58집, 한국어문학회, 1996.
19. 양문규, 「1910년대 유학생 잡지와 한국근대소설의 형성-학지광의 담론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제34집, 한국문학연구학회, 2008, 156면.
20. 유봉희, 「동아시아 사회진화론·입신출세주의·교양주의, 그 관계의 의미망과 1910년대 한국 단편소설의 지형도」, 『한국문학과예술』 제30집, 숭실대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21. 유봉희, 「양건식 사상과 문학의 총체성①-인물에 비춰 본 양건식 사상궤적의 윤곽」, 『한국학연구』 제58집, 인하대한국학연구소, 2020.
22. 차혜영, 「1920년대 동인지 문학 운동과 미 이데올로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4권,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4, 200면.
23. 한기형, 「1910년대 신소설에 미친 출판·유통환경의 영향」, 『한국학보』 가을, 일지사, 1996, 132면.
24. 황종연, 「문학이라는 譯語 ㅡ <문학이란 何오> 혹은 한국 근대문학론의 성립에 관한 고찰」, 『문학사와 비평』 6집, 문학사와비평학회, 1999, 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