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2, pp. 325-375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1
Received 30 May 2021 Revised 12 Jun 2021 Accepted 15 Jun 2021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1.06.82.325

1940년대 전반의 ‘소설’ 개념 : ‘소설’ 개념의 역사 (3)
손정수**
**계명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A Study on the History of Concept Sosŏl(소설) in the first half of 1940s
Son, Jeong-soo**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근대 문학 담론을 중심으로 ‘소설’ 개념의 역사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삼는 일련의 작업에서 1940년 1월부터 1945년 8월까지의 시기에 해당되는 세 번째 부분으로, 이 시기 ‘소설’ 개념의 존재 양상을 문학, 문화 담론의 영역에서 살펴보고 그 상태를 정리한 것이다. 우선 전반적으로 1940년대 전반의 ‘소설’ 개념은 비교적 짧은 시기임에도 이전 시대의 지속과 확장이라는 맥락과 변화한 시대적 상황으로부터의 압력이라는 또 다른 맥락이 교차하면서 빚어내는 독특한 문제의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수성을 가지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입장의 차이를 추구하는 일이 가능했던 초기의 국면에서는 장편소설에 대한 논의의 새로운 국면을 보여주기도 했고, 이전 시대의 개념의 외연이 부분적으로 해체되면서 그 바깥의 문화와의 연관이 활성화되는 특징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럼에도 그 후기의 국면에서는 외적 상황과 그와 연결된 매체, 언어 등의 요인으로 인해 차이를 둘러싼 경합이 무화되는 지점에서 ‘소설’ 개념이 해소의 국면을 맞이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thesis aims at contemplating the continuous change in the history of concept ‘sosŏl’ in the first half of 1940s. In its early situation, being relatively possible to pursue differences in subject’s prospects, the discussion on the novel and the relation with other cultural media was very active. But in its late state, pursuing each different prospect was strictly prohibited because of the political pressure, so the concept of ‘sosŏl’ has been gradually dissolved to its almost extinction.


Keywords: Sosŏl, history of concept, 1940s, theory of novel, ‘Gungminmunhak’(national literature)
키워드: ‘소설’, 개념사, 1940년대, 장편소설론, ‘국민문학’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8S1A5A2A01037286). 이 논문은 1880년부터 현재에 이르는 ‘소설’ 개념의 역사를 전체적으로 살피는 일련의 계획된 연구 가운데 세 번째에 해당되는 것으로, 앞서 발표한 「‘소설’ 개념의 역사 (1)—1919-1929년의 ‘소설’ 개념」(『구보학보』27집, 2021. 4), 「1930년대의 ‘소설’ 개념—‘소설’ 개념의 역사 (2)」(『인문과학연구논총』42권 2호, 2021. 5)에 이어져 있다.


References 1. 자료
1. 김남천, 「양도류의 도량」, 『조광』, 1939. 7, 281-284.
2. 김남천, 「산문문학의 일 년 간」, 『인문평론』, 1939. 12, 24-34.
3. 김남천, 「성격과 편집광의 문제(발자크 연구 노트 2)-『으제니 그랑데』에 대한 일고찰」, 『인문평론』, 1939. 12, 80-89.
4. 김남천, 「관찰문학소론—발자크 연구 노트 (3)」, 『인문평론』, 1940. 4, 12-19.
5. 김남천, 「각층의 ‘타입’ 발견-산문 정신의 시무(時務)의 논리—명일에 기대하는 인간 타입 (하)」, 『조선일보』, 1940. 6. 12.
6. 김남천, 「아메리칸 리얼리즘의 교훈」, 『조선일보』, 1940. 7. 27-31.
7. 김남천, 「소설문학의 현상—절망론에 대한 약간의 검토」, 『조광』, 1940. 9, 88-91.
8. 김남천, 「소설의 운명」, 『인문평론』, 1940. 11, 7-15.
9. 김남천, 「소설의 장래와 인간성 문제」, 『춘추』, 1941. 3, 250-261.
10. 김영건, 「해외에 소개된 춘향전」, 『춘추』, 1942. 8, 130-131.
11. 노정애(盧貞愛) 외, 「중앙보육(中央保育) 학생의 ‘문화 감상기’(其四)」, 『삼천리』, 1940. 7, 180-187.
12. 무주암주인(無主庵主人), 「소설과 시와—문예한담 ③」, 『춘추』, 1942. 5, 127-131.
13. 무주암주인(無主庵主人), 「소설ㆍ영화ㆍ연극—문예한담 ④」, 『춘추』, 1942. 6, 124-129.
14. 안함광, 「로만 논의의 제과제와 『고향』의 현대적 의의」, 『인문평론』, 1940. 11, 30-39.
15. 유진오, 「지식인의 표정」, 『국민문학』, 1942. 3, 4-9.
16. 유진오, 「主題から見た朝鮮の國民文學」, 『조선』, 1942. 10.이경훈 편역, 『한국 근대 일본어 평론ㆍ좌담회 선집(1939∼1944)』, 역락, 2009, 192-202.
17. 윤규섭, 「조선문단의 금후」, 『춘추』, 1941. 2, 253-259.
18. 이영술(李英述) 외, 「이화여전 문과 음악과 학생의 문화 감상기」, 『삼천리』, 1940. 5, 180-187.
19. 이효석, 「독서」, 『춘추』, 1942. 5, 114-117.
20. 일기자(一記者), 「유진오 씨의 독서 청담(淸談), 녹음의 계절과 독서론」, 『삼천리』, 1941. 7, 172-175.
21. 임순득, 「불효기(佛曉期)에 처한 조선여류작가론」, 『여성』, 1940. 9, 51-52.
22. 임화, 「구성력의 요망—소설의 현상 타개의 길(3)」, 『조선일보』, 1940. 5. 15.
23. 장혁주, 「朝鮮の知識人に訴ふ」, 『文藝』, 1939. 2, 이경훈 편역, 『한국 근대 일본어 평론ㆍ좌담회 선집(1939∼1944)』, 역락, 2009, 33-55.
24. 최재서, 「內鮮文學の交流」, 『라디오 강연ㆍ강좌』, 1939. 7. 25, 이경훈 편역, 『한국 근대 일본어 평론ㆍ좌담회 선집(1939∼1944)』, 역락, 2009, 56-68.
25. 최재서, 「소설의 서사시적 성격-말로의 작품 성격—현대소설연구 (5)」, 『인문평론』, 1940. 7, 46-63.
26. 최재서, 「서사시ㆍ로만스ㆍ소설」, 『인문평론』, 1940. 8, 11-23.
27. 최재서, 「전형기의 평론계」, 『인문평론』, 1941. 1, 6-19.
28. 최재서, 「전형기의 문화이론」, 『인문평론』, 1941. 2, 18-23.
29. 최재서, 「文學新體制化の目標」, 『녹기』, 1941. 2, 이경훈 편역, 『한국 근대 일본어 평론ㆍ좌담회 선집(1939∼1944)』, 역락, 2009, 104-111.
30. 최재서, 「新しき批評のために」, 『국민문학』, 1942. 7, 4-9.
31. 月田茂(김종한), 「文化の一年: 一文化人の眼に映つたもの」, 『신시대』, 1943. 12, 46-51.
32. 月田茂(김종한), 「생성하는 문학정신」, 『매일신보』, 1944. 7. 14-16.
33. 天城活蘭(김활란), 「군국의 여학생―연파소설을 청산, 취미와 오락에도 시국색, 건전한 스포츠에 검도도 배운다」, 『매일신보』, 1941. 9. 13.
34. 則武三雄, 「新聞·讀書·學校」, 『삼천리』, 1941. 9, 36-40.
35. C기자, 「이화여전 나오는 꽃 같은 신부들, 이화여자전문생의 학원생활」, 『삼천리』, 1941. 3, 112-117.
36. 「12월의 삼천리 문단」, 『삼천리』, 1940. 12, 196-202.
37. 「고전명작감상」, 『삼천리』, 1940. 10, 194-203.
38. 「관서(關西) 출신 문인 제씨가 ‘향토문화’를 말하는 좌담회」, 『삼천리』, 1940. 5, 166-175, 187.
39. 「구리지갈(求理知喝)」, 『인문평론』, 1940. 11, 160-161.
40. 「문예총후운동 반도 각도(各都)에서 성황」, 『문장』, 1940. 9, 98-99.
41. 「신문소설과 작가의 태도」, 『삼천리』, 1940. 4, 122-128.
42. 「신체제 하의 여(余)의 문학활동 방침」, 『삼천리』, 1941. 1, 248-259.
43. 「아교(我校)의 여학생 군사교련안(軍事敎練案)」, 『삼천리』, 1942. 1, 102-105.
44. 「여류작가방담회」, 『여성』, 1940. 4, 22-27.
45. 「초추(初秋)의 반도 문단」, 『삼천리』, 1940. 9, 180-188.
46. 「朝鮮の‘文化問題’を語る座談會」, 『삼천리』, 1941. 3, 40-48.
47. 「半島學生の諸問題を語る」, 『국민문학』, 1942. 5ㆍ6, 130-149.
48. 「國語問題會談」, 『국민문학』, 1943. 1, 50-61.

2. 논저
49. 강부원, 「총력전 시기 『每日新報』의 지면 구성과 매체 운용―學藝面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제89집, 2015. 3, 393-428.
50. 강유진, 「『인문평론』의 신체제기 비평 연구」,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2007, 1-127.
51. 권보드래, 「번역되지 않은 영향, 브란데스의 재구성」, 『한국현대문학연구』 51, 2017. 4, 7-51.
52. 손정수, 「‘소설’ 개념의 역사 (1)—1919-1929년의 ‘소설’ 개념」, 『구보학보』 27집, 2021. 4, 153-189.
53. 손정수, 「1930년대의 ‘소설’ 개념—‘소설’ 개념의 역사 (2)」, 『인문과학연구논총』 42권 2호, 2021. 5, 13-71.
54. 이진형,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소설 이론—임화, 최재서, 김남천의 소설 장르 논의』, 소명출판, 2013.
55. 장성규, 「『삼천리』의 외국문학 수용과 소수자 문학의 기획」, 천정환 외 편, 『식민지 근대의 뜨거운 만화경—『삼천리』와 1930년대 문화정치』,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0, 324-351.
56. 채호석, 「1930년대 후반 문학비평의 지형도: 『인문평론』의 안과 밖」, 『외국문학연구』제25호, 2007. 2, 325-353.
57. アルベ―ル ティボ―デ, 生島遼一 譯, 『小說の美學』, 白水社, 1953.
58. コムㆍアカデミ― 文學部 編, 熊澤復六 譯, 『小說の本質: ロマンの理論』, 淸和書店, 1936.
59. ルカッチ, 「ブルジョア敍事詩としての長篇小說」, コムㆍアカデミ― 文學部 編, 熊澤復六 譯, 『短篇ㆍ長篇小說』, 淸和書店, 1937, 97-189.
60. Brandes, Georg , Main Currents in Nineteenth Century Literature Volume 5. The Romantic School in France, The Macmillan Company, 1904.
61. Lukács, Georg, “Der Roman”, Moskauer Schriften: Zur Literaturtheorie und Literaturpolitik 1934-1940, Sendler, 1981, 1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