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2, pp. 227-25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1
Received 30 May 2021 Revised 12 Jun 2021 Accepted 15 Jun 2021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1.06.82.227

탈북 작가 김유경 소설에 나타난 모성 인식
서세림*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Awareness of Motherhood in Kim Yu-gyeong’s Novel, a North Korean Defector-novelist
Seo, Serim*

초록

본고에서는 탈북 작가 김유경 소설에 나타난 모성(母性) 인식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김유경은 장편소설 『청춘연가』와 『인간모독소』를 발표하며 2000년대 이후 활동하는 탈북자 출신 작가들 중 가장 주목받는 소설적 성취를 보여주었다. 1990년대 중후반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 탈북자의 폭발적 증가 추세와 더불어, 2000년대 이후 탈북 작가들의 작품 활동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탈북 문학에 대한 논의도 보다 풍성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특히 김유경의 작품에서 탈북 작가로서의 정체성이 모성성, 사랑, 죽음 등 인간의 근원적 존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목하였다.

작가가 발표한 두 편의 작품에서는 모두 모성 인식이 매우 핵심적인 감정의 계기로 기능하며, 이 과정에서 인간의 죽음과 모성이라는 근원적 문제가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낸다. 김유경의 소설에서 등장하는 여성 주체들은 특수하고 극단적인 상황에 처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다양한 방향의 모성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인간의 근원적 문제인 사랑, 죽음, 거주 등과도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청춘연가』에서는 선화, 복녀, 경옥 등 세 여성의 모성 인식이 작품 전반의 서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주인공 선화의 모성 인식과 정체성 형성이 맺는 관계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간모독소』에서도 극단적 상황에 놓인 모성 인식의 문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정치범 수용소 수감자의 모성 인식과 아이의 탄생 및 죽음, 사랑이라는 요소들에 대해 작가는 계속해서 의미 있는 질문을 제기한다.

탈북자 혹은 정치범 수용소의 수용자라는 특수한 정체성이 죽음과 모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탈북 디아스포라로 지칭할 수 있는 우리 사회만의 분단 문제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여성 주체의 모성 인식을 중심으로 김유경의 소설을 분석하면서, 경계를 넘나드는 탈북 디아스포라의 삶 속에서 가장 근본적인 사랑과 죽음의 문제가 형상화되고 있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Abstract

In this article, we discussed the perception of maternal love in the novel of Kim Yu-gyeong, a North Korean defector. Kim Yu-gyeong is the most outstanding writer of North Korean defector-turned-writers who began to emerge anew since the 2000s. She published her first full-length novel, Love Song of the Young, in 2012, and published her second full-length novel in 2016, continuing her career centered on full-length novels.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increased a lot since the mid-to late 1990s when the country was on a march of hardship. Since the 2000s, the number of presentations of works by North Korean defectors has increased little by little, and the concept of North Korean defector literature has been discussed in earnest. Accordingly, there should be more discussions on the literature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article focused on Kim Yu-gyeong's work, which reveals both her identity as a North Korean defector and her concerns. Motherhood is important, especially in both of her two works. In this process, the fundamental problem of human death and motherhood is closely related. The impact of the special ident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or inmates in political prison camps on the perception of death and maternal love is deeply related to the division of our society,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North Korean defector diaspora. A Study on Kim Yu-gyeong’s Novel Based on the Perception of Maternal Love by the Female. At the same time, we looked at how the most fundamental issue of love and death is being shaped in the life of diaspora, a North Korean defector who crosses the border.


Keywords: Kim Yu-gyeong, North Korean defector-novelist, Love Song of the Young, Element of Human Degeneration, Motherhood, Death
키워드: 김유경, 탈북, 탈북 작가, 청춘연가, 인간모독소, 모성애, 죽음

References 1. 기본자료
1. 김유경, 『청춘연가』, 웅진지식하우스, 2012.
2. 김유경, 『인간모독소』, 카멜북스, 2016.

2. 논문
3. 고인환, 「탈북자 문제 형상화의 새로운 양상 연구-「바리데기」와 「리나」에 나타난 ‘탈국경의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52, 한국문학회, 2009, 215-245면.
4. 권세영, 「소수집단 문학으로서의 북한이탈주민 창작 소설 연구」, 『한중인문학연구』35, 한중인문학회, 2012, 291-310면.
5. 김세령, 「탈북자 소재 한국 소설 연구-‘탈북’을 통한 지향점과 ‘탈북자’의 재현 양상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53,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35-86면.
6. 김효석, 「‘경계’의 보편성과 특수성-탈북자를 대상으로 한 최근 소설들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제2호,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09, 126-152면.
7. 김효석, 「탈북 디아스포라 소설의 현황과 가능성 고찰-김유경의 『청춘연가』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57, 중앙어문학회, 2014, 305-332면.
8. 박덕규, 「탈북문학의 형성과 전개 양상」, 『한국문예창작』 14-3, 한국문예창작학회, 2015, 89-113면.
9. 백지윤, 「탈북작가의 ‘몸’ 형상화와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김유경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54,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125-147면.
10. 서세림, 「탈북 작가 김유경 소설 연구-탈북자의 디아스포라 인식과 정치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52,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81-104면.
11. 서세림, 「탈북 작가의 글쓰기와 자본의 문제」, 『현대소설연구』 68, 한국현대소설학회, 2017, 69-102면.
12. 양진오, 「국민국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분단의 상상력-2000년대 한국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64, 우리말글학회, 2015, 349-373면.
13. 이성희, 「탈북자 소설에 드러난 한국자본주의의 문제점 연구-박덕규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51, 한국문학회, 2009, 261-288면.
14. 이성희, 「탈북자의 고통과 그 치유적 가능성-탈북 작가가 쓴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4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1-21면.
15. 이지은, 「‘교환’되는 여성의 몸과 불가능한 정착기-장해성의 『두만강』과 김유경의 『청춘연가』를 중심으로」, 『구보학보』 16, 구보학회, 2017, 517-542면.
16. 정하늬, 「탈북 작가 도명학과 이지명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인간’의 조건」, 『통일인문학』 69,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33-64면.
17. 최병우, 「탈북이주민에 관한 소설적 대응 양상」, 『현대소설연구』 61,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323-353면.

3. 단행본
18. 방민호 외, 『탈북 문학의 도전과 실험』, 역락, 2019.
19. 심영희ㆍ정진성ㆍ윤정로 편, 『모성의 담론과 현실』, 나남출판, 2000.
20. 니클라스 루만, 『열정으로서의 사랑』, 정성훈ㆍ권기돈ㆍ조형준 역, 새물결, 2009.
21. 울리히 벡,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 강수영ㆍ권기돈ㆍ배은경 역, 새물결, 2006.
22. 앤소니 기든스, 『현대 사회의 성ㆍ사랑ㆍ에로티시즘』, 황정미ㆍ배은경 역, 새물결, 2003.
23. 지빌레 비르크호이저-왜리, 『민담의 모성상』, 이유경 역, 분석심리학연구소, 2012.
24. 크리스티안 슐트, 『낭만적이고 전략적인 사랑의 코드』, 장혜경 역, 푸른숲,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