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1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1, pp. 113-141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1
Received 13 Feb 2021 Revised 02 Mar 2021 Accepted 11 Mar 2021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1.03.81.113

염상섭의 1950년대 전시소설에 나타난 ‘민족문학’ 연구
신은경**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

A Study on ‘National Literature’ Shown in Yeom Sang-Seop’s Wartime Novels in the 1950s
Shin, Eun-Kyung**
Funding Information ▼

초록

염상섭의 문학은 다양한 시대적 격동기에서 탄생했다. 일제강점기, 해방기, 한국전쟁이라는 굵직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도 염상섭은 지속적인 문학 활동을 통해 문학적 세계관을 구축하였다. 염상섭의 전시소설은 그의 50년대 문학에서 별개의 영역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이 시대에 발표되었던 종군문학과 변별적 지점이 있기 때문이다.

염상섭이 한국전쟁 기간에 발표한 전시소설은 그가 전시에 주장한 ‘민족문학론’이 바탕이 되고 있다. 그는 전시에 ‘민족문학론’을 주장하면서 이것을 수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사실주의’를 이야기했다. 이는 종군문학이 리얼리즘을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남한 이념의 강조가 아닌, 전쟁 현실에서 발생한 민족의 삶 자체를 사실적으로 반영하고자 하는 의지를 내재하고 있다. 그래서 염상섭의 전시소설에는 전쟁이라는 부정적 현실에서 이루어진 민족의 삶을 이념 문제를 희석한 채 반영하고자 하는 서술적 전략이 나타난다. 그의 전시소설에는 이념적 문제에 당면한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그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근본적 문제의 원인은 전쟁 전부터 존재했던 인간적 욕망, 갈등 혹은 전쟁 직후 생존하기 위한 이기적인 내적 욕망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와 같은 서술적 전략을 통해 염상섭의 전시소설은 종군문학과 본질적 차이를 보이며 시대적 아픔을 드러내고 있다.

Abstract

Yeom Sang-Seop’s literature was created in the turbulent period of various times. Even in the flow of weighty times such as Japanese colonial era, liberation period, and Korean War, Yeom Sang-Seop established the literary world view through continuous literary activities. Yeom Sang-Seop’s wartime novels need to be examined separately from his literature in the 1950s because they show the distinctive point from war literature published at that time.

Yeom Sang-Seop’s wartime novels published during the Korean War are based on the ‘national literature theory’ argued by him in the wartime. Arguing the ‘national literature theory’ in the wartime, he talked about ‘realism’ as a concrete methodology. This is not emphasizing the ideology of South Korea that the war literature aimed to pursue through realism, but implying his will to realistically reflect people’s lives in the reality of war. Thus, Yeom Sang-Seop’s wartime novels show the narrative strategy to reflect people’s lives in the negative reality of war by diluting the ideology issue. Even though the characters facing the ideological issue appear in his wartime novels, the cause for their fundamental problems is originated from human’s desire and conflict existing from before the war, or selfish internal desire to survive right after the war. Through the narrative strategy like this, Yeom Sang-Seop’s wartime novels show the essential differences from war literature, and also show the pains of the time.


Keywords: Yeom Sang-seop, wartime novels, national literature, realism, kalter Burgerkrieg
키워드: 염상섭, 전시소설, 민족문학, 리얼리즘, 내부냉전

Acknowledgments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과제번호)(NRF-2019S1A5B5A07110250)


References 1.기본자료
1. 염상섭, 「해방의 아침」, 『신천지』, 1952.
2. 염상섭, 「탐내는 하꼬방」, 『염상섭 단편전집 중기단편: 1945-1953』, 민음사, 1987, (1952년 발표작)
3. 염상섭, 「자전차」, 『협동』, 1952.
4. 염상섭, 「慾」, 『염상섭 단편전집 중기단편: 1945-1953』, 민음사, 1987. (1952년 발표작)
5. 염상섭, 「해지는 보금자리 풍경」, 『염상섭 단편전집 중기단편: 1945-1953』, 민음사, 1987. (1953년 7월 발표작)
6. 염상섭, 「거품」, 『신천지』, 1952.
7. 염상섭, 「少年水兵」, 『軍港』, 1952.

2. 평론
8. 김기완, 「전쟁과 문학」, 『문예』, 1950.12.
9. 김동리, 「순수문학의 진의」, 『서울신문』, 1945.
10. 김동리, 「조선문학의 지표」, 『청년신문』, 1946.
11. 신영덕, 「전쟁기 염상섭 해군체험」, 『韓國學報』, 일지사, 1992.
12. 염상섭, 「민족문학이란 용어에 관련하여」, 『호남문화』, 1948.
13. 염상섭, 「한국의 현대문학」, 『문예』, 1952.2.
14. 장덕조, 「내가 본 공산주의」, 『적화삼삭구인집』, 국제보도연맹, 1951.
15. 조연현, 「문학자의 태도」, 『문화창조』, 1945.
16. 조연현, 「새로운 문학의 방향」, 『예술부락』, 1946.
17. 조연현, 「한국전쟁과 한국문학-체험의 기록과 경험의 형상화」, 『전선문학』, 1953.5.
18. 조연현, 「해바라기의 생명- 1. 피난민의 길」, 『피난민은 서글프다』, 1951.

3. 단행본
19.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2』, 민음사, 2002.
20. 김동춘, 『전쟁과 사회』, 돌베개, 2000.
21. 김영민, 『한국현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사, 2002.
22. 김윤식, 「한국문학40년사」, 『한국 현대문학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8.
23. 이재선, 『현대한국소설사』, 민음사, 1991.
24. 중앙일보사편, 「전시하의 문인들」, 『민족의 증언』 7, 중앙일보사, 1983.
25. Bernd Stoever, 최승환 옮김, 『냉전이란 무엇인가 : 극단의 시대 1945-1991』, 역사와 비평사, 2008.
26. Eric Fromm,『사랑의 기술 』, 문예출판사, 2019.
27. Sigmund Freud,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열린책들, 2004.
28. Søren Aabye Kierkegaard, 『사랑의 역사』, 임춘갑 역, 종로서적, 1982.
29. Søren Aabye Kierkegaard, 『유혹자의 일기』, 임춘갑 역, 종로서적, 1980.
30. Søren Aabye Kierkegaard, 『죽음에 이르는 병』, 김일용 옮김,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6.

4. 논문
31. 공종구, 「염상섭 소설의 전쟁 미망인」, 『현대소설연구』 78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32. 김준현, 「1950년대 문예지와 염상섭의 단편소설」, 『반교어문연구』. 반교어문학회, 2015.
33. 박찬승, 「종족마을 간의 신분갈등과 한국전쟁 : 부여군 두 마을의 사례」, 『사회와 역사』, 한국사회사학회, 2006.
34. 서용선 외, 『한국전쟁연구- 정령정책, 노무운용 동원』, 국방군사연구소, 1995.
35. 신은경, 「1950년대 전시소설 연구- 전시의 민족정체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21.
36. 오태영, 「한국전쟁기 남한사회의 공간 재편과 욕망의 동력화-염상섭의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사이』 29권 10호,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