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0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0, pp. 379-415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0
Received 29 Nov 2020 Revised 10 Dec 2020 Accepted 11 Dec 2020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0.12.80.379

김명순의 소설 「탄실이와 주영이」 연구 : 텍스트 보완과 작품의 맥락을 중심으로
이상경*
*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부 교수

A Study on the Kim Myung-soon's “Tan-sil and Joo-young”
Lee, Sang-kyung*

초록

이 연구에서는 김명순의 소설 「탄실이와 주영이」가 연재된 조선일보의 빠진 부분을 다 찾아서 중간 결락이 없는 온전한 본으로 발굴하고 이 판본에 의거해 「탄실이와 주영이」의 텍스트와 컨텍스트를 분석했다. 또한 김명순이 「탄실이와 주영이」를 연재하기 전에 먼저 나카니시 이노스케의 소설 『너희들의 등 뒤에서』를 일부 번역하여 연재한 것도 확인했다. 김명순의 입장에서는 자신과 비교되는 권주영이란 인물의 실체를 대중적으로 알려서 자기와는 거리가 먼 인물임을 드러내는 기회로 번역을 시도했지만 이익상이 번역을 하기로 하는 바람에 중단했다. 그러고서 주영이를 보여주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탄실이의 진실을 전하기 위해서는 주영이와는 다른 탄실이의 모습을 전면적으로 그려내 보이고 싶어서 「탄실이와 주영이」을 창작했다.

또한 김명순의 아버지의 생존에 관한 연보 사항의 오류를 바로 잡으면서 집필 당시 아직 살아 있는 아버지는 1910년 한일합방의 해에 죽은 것으로, 일찍이 자살한 어머니는 아직 살아 있는 것으로 허구화시켰음을 밝혔다. 그 이유는 김명순이 성장하면서 여성적 주체성을 가지게 되고 그런 입장에서 가부장적 횡포를 부린 아버지에 대한 미움과 그런 남자들에게 희생되고서도 도덕적으로 비난 받았을 어머니에 대한 이해가 생겼기 때문으로 보았다.

또한 보완된 텍스트에 의거하여 「탄실이와 주영이」가 근대 초기 계몽기의 평양의 얼개화꾼 집안의 흥망성쇠에 관한 보고서로서 가족사연대기 소설의 면모를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Abstract

In this study, I found all the missing parts of the Chosun Ilbo, where Kim Myung-soon's novel “Tan-sil and Joo-young” was serialized. Based on this edition, I explored the context of “Tan-sil and Joo-young.”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after Kim Myung-soon translated and serialized part of Nakanishi Inosuke's novel Behind You, serialized “Tan-sil and Joo-young.” From Kim's point of view, she translated Nakanishi's novel as an opportunity to publicize the true nature of Kwon Joo-young's character. Through translation, Kim wanted to show that Kwon Joo-young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herself. If so, it is not enough to show only Joo-young's appearance, and in order to convey the truth of Tan-sil, Kim wanted to draw the whole picture of Tan-sil, which is different from Joo-young.

Kim's mother committed suicide when she was young, and father survived in 1924. Nevertheless, in “Tan-shil and Joo-young”, Tan-shil's father died in 1910 and Tan-shil's mother is described as alive. The reason why the autobiographical novel describes it differently from the actual facts is that as Kim Myung-soon grew up, she gained an identity as a woman. This is because she hated her patriarchal and tyrannical father, while she gained a good understanding of her mother, who was morally condemned and believed to have committed suicide.

As for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Tan-sil and Joo-young” is always mentioned only about Nakanishi novels, but in fact, it is a report on the rise and fall of Pyongyang's enlightenment during the early period of enlightenment.


Keywords: Kim Myung-soon, “Tan-sil and Joo-young(탄실이와 주영이)”, Nakanishi Inosuke(中西伊之助), Behind You(汝等の背後より), Chronicle of Family History. Ahn Gyeong-sin, Kim Gi-jin
키워드: 김명순, 「탄실이와 주영이」, 나카니시 이노스케(中西伊之助), 『汝等の背後より』, 안경신, 김기진, 가족사 연대기 소설

References
1. 김명순, 「돌아다 볼 때」, 『조선일보』 1924.3.31.~4.19.
2. 망양초, 「외로운 사람들」, 『조선일보』 1924.4.20.~6.2.
3. 김명순, 「탄실이와 주영이」, 『조선일보』 1924.6.14.~7.15.
4. 망양초 역, 『너희들의 등 뒤에서』, 『조선일보』 1924.6.3.~6.11.(미완)
5. 김명순, 『생명의 과실』 , 한성도서, 1925.
6. 이익상 역, 『汝等의 背後로서』, 『매일신보』 1924.6.27.~11.8.
7. 김상배 편, 『김탄실; 나는 사랑한다』, 도서출판 솔뫼, 1981.
8. 서정자·남은혜, 『김명순 문학전집』, 푸른사상사, 2010.
9. 박현석 옮김, 『불령선인·너희들의 등 뒤에서』, 현인, 2017.
10. 中西未銷, 『平壤と人物』, 平壤日日新聞社, 1914.
11. 김명훈, 「두 개의 신화와 두 번의 돌아봄, 그리고 하나이지 않은 X–김명순의 「도라다 볼 」 다시 읽기」, 『한국현대문학연구』 56, 2018.12, 363-396면.
12. 김여진, 「3.1운동 이후 조선인 표상 연구 - 나카니시 이노스케(中西伊之助)의 조선3부작과 동시대 신문미디어 비교를 통해 -」, 고려대학교 대학원 중일어문학과 석사논문, 2020.02.
13. 남은혜, 「김명순 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논문, 2008.
14. 서정자, 「김기진의 「김명순 씨에 대한 공개장」 분석–김명순에 대한 미디어 테러 1백년의 뿌리」,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성문학연구』 제43호, 2018.04. 249-278면.
15. 신혜수, 「김명순 문학 연구-작가의식의 변모양상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국문과 석사논문, 2009.
16. 신혜수, 「中西伊之助의 『汝等の背後より』에 대한 1920년대 중반 조선 문학 장의 두가지 반응」, 『차세대 인문학 연구』 7,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1, 88-103면.
17. 오황선, 「나까니시 이노스께(中西伊之助) 소설의 내면풍경」, 『외국문학』 29, 1991.12, 123-137면.
18. 이원동, 「신경향파 소설과 젠더 배치의 상상력」,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138, 2017, 12, 367-392면.
19. 이원동, 「『汝等の背後より』의 수용·번역과 제국적 상상력의 경계」, 한국문학언어학회, 『어문론총』 제68호, 2016.6, 313-340면.
20. 정종현, 「나카니시 이노스케(中西伊之助)와 식민지 조선의 프로문학」,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59, 2020.11. 35-70면.
21. 安都根, 「中西伊之助における植民地朝鮮他者認識の構圖」, 『愛知縣立大學大學院國際文化硏究科論集』 13, 2012, 57-80面.
22. 김경일 외 지음, 『한국근대여성 63인의 초상』,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23. 김복순,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 문제』, 소명출판, 2005.
24. 이덕주, 『남산재 사람들』, 그물, 2015.
25. 정운현, 『친일파의 한국현대사』, 인문서원, 2016.
26.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인명사전』, 민족문제연구소,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