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9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9, pp. 511-53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0
Received 20 Aug 2020 Revised 10 Sep 2020 Accepted 12 Sep 2020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0.09.79.511

만주국의 기원 만들기와 ‘건국신화’의 창출 원리 : 최남선의 『만몽문화』를 중심으로
천춘화**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The creation of the origin of Manchukuo and the Brith of ‘foundation myth’ : Focus on Choi Nam-sun's Man-Mongol Culture
Qian, Chunhua**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본고는 최남선의 『만몽문화』를 시대적인 컨텍스트 속에서 그 갈래를 읽어내고자 한 글이다. 최남선은 1938년 4월 30일 만주 건국대학의 유일한 조선인 교수로 부임하였고 대학의 문교연구부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만몽문화”를 강의하였다. 『만몽문화』는 그때의 강의록을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다. 만주 건국대학은 만주국의 건국정신을 선양하고 만주국의 이데올로기에 봉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최고의 학부였고 건국대학연구원은 이와 같은 이데올로기와 제도 및 방침에 대한 학문적인 근거를 제공하는 연구기관이었다. “오족협화(五族協和)”와 “왕도낙토(王道樂土)”를 표방하면서 출범한 만주국은 1935년 푸이(溥仪)의 일본 방문을 계기로 “황도정치(皇道政治)”로 선회하고 식민지말기에 이르면 “신도(神道)”의 강조와 함께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를 만주국의 건국신으로 신봉하기에 이른다. 최남선의 『만몽문화』는 이와 같은 만주국의 새로운 기원의 창출과 맞물려 있었다. 『만몽문화』에서 최남선은 중국 동북지역의 기원 설화는 부여의 건국신화였음을 강조하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일본의 기원으로서의 조선을 강조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 글은 최남선의 이러한 행보를 만주국적 맥락에서 짚어본 것이다.

Abstract

Contemporary context takes an very important role in studying the texts of late colonial period, especially the works with the background of Manchukuo. In this thesis, Man-Mongol Culture can be seen as another text that confirms the importance of context. On Apr. 30, 1938, Choi Nam-sun was appointed as the only Korean professor of the Kenkoku university in Manchuria. He worked in the 'History Study Group' and 'Cultural Study Group' of the Institute of Education and Culture and taught "Man-Mongol Culture" course. Man-Mongol Culture was the lecture notes during that time. The Manchurian Kenkoku university was the best school to nurture the talents who advocated the founding spirit of Manchukuo and served the ideology of it. The research institutes of the university are trying to provide a rational and academic basis for such ideology, system and policy. Taking Pu Yi's visit to Japan as an opportunity, Manchukuo which was established on the concept of “Five-Race Harmony” and “Kingly Way” advocated the "Emperor Politics" and then emphasized Shinto and regarded Amaterasu-ōmikami as the founding god in late colonial period. Therefore, the Manchuria needed a new origin and it had to be done through cultural studies. Choi Nam-sun's Man-Mongol Culture was born in the context like this. In Man-Mongol Culture, Choi Nam-sun focused on culture and considered the myth as the cultural origin. According to him, the origin myth of Northeast China was the founding myth of Buyeo. Such argument actually considered the Manchurian region as the origin of Northeast Asia including China, Korea and Japan. However, the emphasis on the myth of Buyeo which was considered as the cultural origin seemed to emphasize that Korea was the origin of Japan. It successfully reproduced the origin of Manchukuo, and at the same time, highlighted the presence of the Koreans people. Like this, it was a coexistence of cooperation and resistance.


Keywords: Choi Nam-sun, Man-Mongol Culture, founding spirit, Five-race Harmony. kingly way, Shinto, foundation myth
키워드: 최남선, 만몽문화, 만주국 건국대학, 신도, 건국신화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7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6A3A02079082).


References 1. 기본자료
1. 최남선, 『육당 최남선 전집』10, 현암사, 1974.
2. 최남선, 전성곤 옮김, 『불함문화론·살만교차기』, 경인문화사, 2013.
3. 최남선, 전성곤 옮김, 『만몽문화』, 경인문화사, 2013.
4. 최남선, 윤영실 옮김, 『송막연운록』, 경인문화사, 2013.

2. 단행본
5. 윤영실, 『육당 최남선과 식민지의 민족사상』, 아연출판부, 2018.
6. 전성곤, 『욱당 한국학을 찾아서』, 동서문화사, 2016.
7. 水口春喜 저, 董炳月 옮김, 『“建國大學”的 幻影』, 北京: 昆仑出版社, 2004.
8. 姜念東 外 4名, 『僞滿洲國史』, 長春: 吉林人民出版社, 1988.
9. 許雪熙 外 5名, 『日治时期臺灣人在满洲的生活经验』, 臺灣: 中央研究院臺灣史研究所, 2015.

3. 논문
10. 강해수, 「최남선의 ‘만몽(滿蒙)’ 인식과 제국의 욕망」, 『역사비평』32, 역사비평사, 2006.
11. 강해수, 「‘도의국가(道義國家)’로서의 만주국과 건국대학: 사쿠다 소이치(作田莊一), 니시 신이치로(西晋一郞), 최남선의 논의를 중심으로」, 『일본공간』20, 국민대학고 일본학연구소, 2016.
12. 곽은희, 「만몽문화(滿蒙文化)의 친일적 해석과 제국 국민의 창출: 최남선의 「滿蒙文化」와 「만주 건국의 역사적 유래」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47, 한민족어문학회, 2005.
13. 류시현, 「1920-30년대 최남선의 고신도 논의와 ‘불함문화론’의 재해석」, 『역사학연구』76, 호남사학회, 2019.
14. 박은숙, 「“滿洲國” 建國精神과 육당의 不咸文化論」, 『동악어문학』51, 동악어문학회, 2008.
15. 서영채, 「기원의 신화를 향해 가는 길: 최남선의 『백두산 근참기』」, 『한국근대문학연구』6, 한국근대문학회, 2005.
16. 서영채, 「단군과 만주, 아첨의 영웅주의: 최남선의 「자열서」 읽기」, 『한국현대문학연구』32, 한국현대문학회, 2010.
17. 심희찬, 「일본 비틀기: 최남선과 일본의 역사학」, 『사이間SAI』24,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8.
18. 오문석, 「민족문학과 친일문학 사이의 내재적 연속성 문제 연구: 최남선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30, 한국현대문학연구회, 2006.
19. 이정희, 「‘만주 건국대학’의 교육과 조선인 학생」, 『만주연구』22, 만주학회, 2016.
20. 정상우, 「식민주의 역사학으로서 만주건국대학에서의 역사 연구」, 『동북아역사논총』64, 동북아역사재단, 2019.
21. 전성곤, 「‘샤먼’ 개념을 통한 아이덴티티의 재현 논리: 도리이 류조(島居龍欌), 최남선, 이하 후유(伊波普猷)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19, 동아시아고대학회, 2009.
22. 전성곤, 「“五族協和”와 “民族이데올로기” 사이에서: 滿洲 「建國大學」과 최남선의 「滿蒙論」을 中心으로」, 『만주연구』4, 만주학회, 2006.
23. 전성곤, 「근대 일본의 ‘신화’ 담론 형성과 조선 ‘신화’ 인식」, 『일본연구』9,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08.
24. 정준영, 「‘만주 건국대학’이라는 실험과 육당 최남선」, 『사회와 역사』110, 한국사회사학회, 2016.
25. 조현설, 「동아시아 신화학의 여명과 근대적 심상지리의 형성: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최남선·마오둔(矛盾)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16, 민족문학사학회, 2000.
26. 조현설, 「민족과 제국의 동거: 최남선의 만몽문화론 읽기」, 『한국문학연구』32,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