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9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9, pp. 401-43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0
Received 30 Aug 2020 Revised 10 Sep 2020 Accepted 12 Sep 2020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0.09.79.401

인천상륙작전과 냉전문학의 좌표: 전쟁신화와 사실(fact)의 관계 : 윤태호의 『인천상륙작전』을 중심으로
이선미**
**경남대학교 한국어문학과 부교수

Incheon Landing Operation and Cold-War Literature : Focusing <Incheon Landing Operation (Operation Chromite)> created by Yoon-Taeho
Lee, Sun-Mi**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냉전의 세계질서가 무력화되었음에도 여전히 남과 북이 군사적인 대치 상황에 놓여있는 한반도에서 한국전쟁을 대표하는 인천상륙작전은 맥아더 신화를 연상시키는 사건이다. 한국전쟁, 인천상륙작전, 맥아더 신화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상상체계는 상식적인 대중 관념이 되었으며, 역사교육 현장의 중심에 있는 중고등학생들이 인천을 대표하는 인물로서 맥아더를 떠올린다는 여론조사가 나올 정도이다. 2016년 상영된 영화 <인천상륙작전>에 등장하는 맥아더와 그를 존경하여 군인이 되고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한 한국군 장교와의 관계 역시 맥아더 신화의 틀을 그대로 잇고 있다. 1957년 인천 만국공원에 맥아더 동상이 세워질 무렵이나 2016년 탈냉전의 시대에나 맥아더 신화는 여전히 한국사회의 냉전구조 한켠을 차지하는 냉전의 상징이다.

그러나 탈냉전의 정치의 변화는 1990년대 이후 한국사회에서 여러 방면의 변화를 만들었으며, 맥아더 신화와 같은 냉전적 전쟁인식을 교정할 수 있는 자료와 관점이 생겨나고 있다. 시민사회운동 분야, 연구분야, 나아가 국가제도 차원에서 냉전을 고착화하는 한국전쟁 인식을 비판하고 교정하는 ‘사실(fact)’들이 밝혀지고 공론화되고 있다. 이런 사회적, 국가적 진실규명 과정에서 뒤늦게 월미도 민간인 공중폭격도 사실로서 규명되었다. 그리고 이 과정을 배경으로 맥아더 동상 철거를 둘러싼 남남갈등이 생겨나기도 했다. 윤태호의 <인천상륙작전>은 ‘전쟁 서사’의 형식으로 2000년대 이후 인천상륙작전을 둘러싼 ‘사실(fact)’ 논쟁을 정리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친일부역자인 주인공 상배는 친일부역을 만회하기 위해 반공주의자로 살아남는 비겁한 밀고자의 삶에 적응하고, 이념의 편 가르기가 사실상 권력의 편에서 살아남는 과정임을 터득해간다. 그러나 죄의식이나 양심의 가책 같은 자의식의 순간들조차 쉽게 허락되지 않는 ‘공중폭격’의 살인을 통해 한국전쟁을 경험하면서, 승리의 전쟁으로 신화화된 인천상륙작전의 또 다른 ‘사실(fact)’을 전면화하는 방식으로 생을 마감한다. 부역자/밀고자 프레임을 정식화하는 계기가 된 서울 수복, 그 결정적 전투였던 인천상륙작전은 도강파/잔류파를 만드는 이승만 정권의 냉전 정치 시나리오에 의해 미공군의 월미도 민간인 공중폭격마저 적군을 전멸시키는 혁혁한 승리의 성과로만 기억하도록 기록되었다. 냉전문학을 대표하는 인천상륙작전 서사물들은 이 냉전의 전선인식과 승리의 경험으로 전쟁 관념을 만들었다. 윤태호의 <인천상륙작전>은 사실 복원의 방식으로 전쟁 신화적 전쟁서사에 그늘을 드리운다. 그리고 이 진실규명 차원의 ‘그늘(이면적 인식)’은 작지만, 냉전의 구조를 흔들고 전쟁 자체를 성찰하게 하는 평화의 상상력을 향한 변화를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Yoon-Taeho’s webtoon <Incheon Landing Operation> challenged to the established facts of the Korean War, which have justified of the cause of the war as freedom and have maintained the myth of Korea-U.S. alliance. He explores the cold war archive to open new “facts” of the Korean War. His strategy is to go back to the colonial and liberation period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the war. Pro-Japanese collaborators saved themselves by the false and violent accusation against the alleged communists, and it was returned by the counter-violence during the Korean War. Therefore liberation in 1945 was expressed in confusion. And air bombing of US Air Force is also important during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President(Rhee Syngman) welcomed and treated the bombing of the US army as heroic. The damage to Korean residents(in Wolmi Island) has not been for a long time. These victims are expressed using factual data in <Incheon Landing Operation>.The webtoon <Incheon Landing Operation> suggested to break the antagonistic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War and to imagine the post Cold War understanding of it.


Keywords: Incheon Landing Operation, pro-Japanese collaborator, communist, cold-war literature, the myth of Korea-U.S., air bombing of US Air Force
키워드: 인천상륙작전, 전쟁신화, 사실(fact), 윤태호, 부역자, 밀고자, 공중폭격, 월미도

Acknowledgments

이 연구결과물은 2017학년도 경남대학교 대학특성화 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References 1. 일차자료
1. 리진우, <월미도>(영화), 1983.
2. 윤태호, <인천상륙작전>, 한겨레출판사, 2014.
3. 박완서,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웅진출판, 2005.
4. 이만희, <돌아오지 않는 해병>(영화), 1963.
5. 이무영, 「변모」, 1957, 최영호 편저, 『바다의 대화』, 해군사관학교, 2010.
6. 이무영, 「해후」, 1957, 최영호 편저, 『바다의 대화』, 해군사관학교, 2010.
7. 이재한, <인천상륙작전>(영화), 2016
8. 황건, 「불타는 섬」, 1953, 신형기·오성호·이선미 편, 『한국문학선집:북한편』, 문학과지성사, 2007.

2. 단행본
9. 경남도민일보 이은상·조두남 논쟁 편찬위원회, 『이은상 조두남 논쟁』, 불휘, 2006.
10. 김귀옥, 『이산가족, 반공전사도 빨갱이도 아닌』, 역사비평사, 2004.
11. 김동춘, 『전쟁과 사회』, 돌베개, 2000.
12. 김동춘,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사계절, 2013.
13. 김득중, 『빨갱이의 탄생』, 선인, 2009.
14. 김성칠, 『역사앞에서』, 창비, 1993.
15. 김태우, 『폭격, 미공군의 공중폭격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창비, 2013.
16. 박기수, 『윤태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17. 박명림, 『1950년, 전쟁과 평화』, 나남출판, 2002.
18. 박찬승, 『마을로 간 한국전쟁』, 돌베개, 2010.
19. 심기철, 『한국전쟁, 전장의 기억과 목소리』, 역사만들기, 2020.
20. 윤택림, 『인류학자의 과거여행 : 한 빨갱이 마을의 역사를 찾아서』, 역사비평사, 2004.
21. 최영호 편, 『바다의 대화』, 해군사관학교, 2010.
22. 한성훈, 『가면권력』, 후마니타스, 2014.
23. 권헌익(정소영 옮김), 『전쟁과 가족』, 창비, 2020.
24. 브루스 커밍스(조행복 옮김),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 현실문화, 2017.
25. 프리모 레비(이소영 옮김),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돌베개, 2014.
26. 테리이글턴(오수원 옮김), 『악』, 이매진, 2015.

3. 논문
27. 김남혁, 「데탕트 이후 영화의 한국전쟁 재현 양상에 대한 연구」, 비평문학74, 2019.12, 7-41면.
28. 김종국, 「<인천>의 제작과정과 영화적 유산」, 한국방송학보, 2014, 167-205면.
29. 김진웅, 「맥아더 장군의 제2의 인천상륙작전 : 동상을 둘러싼 분쟁의 함의」 역사교육논집39, 2007.08, 1-14면.
30. 남원진, 「황건의 <불타는 섬> 재론 – 황건의 <불타는 섬>의 창작과 변용에 관한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51, 2015, 471-510면.
31. 박기수, 「윤태호 웹툰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인문콘텐츠 47, 2017.12, 89-112면.
32. 손석춘, 「인천상륙작전의 소통과 치유 – 영화 <인천상륙작전>과 <월미도> 비교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통일인문학 70, 2017.6, 201-232면.
33. 임경순, 「70년대 문학검열이 작동방식과 문학의 두 얼굴」, 한국문학연구 49집, 2015.12, 256-292면.
34. 이상호·박성진, 「인천상륙작전과 팔미도 정보작전」, 정신문화연구 36, 2013.9, 287-232면.
35. 이선미, 「북한소설 <불타는 섬>과 영화 <월미도> 비교연구」, 현대소설연구 21, 2004, 275-297면.
36. 이선미, 「박완서 소설의 ‘공모’의식과 마음의 정치」, 반교어문연구, 2014.08, 371-400면.
37. 이혜령, 「빨치산과 친일파 – 어떤 역사 형상의 종언과 미래에 대하여」, 대동문화연구 100집, 2017.12, 465-474면.
38. 이희환, 「인천상륙작전에 가려진 월미도 원주민들의 아픔」, 황해문화 68. 2010.9, 244-310면.
39. 이희환, 「반공도시 인천과 맥아더 동상의 냉전 정치학」, 황해문화, 2017 겨울, 386-397면.
40. 정영권, 「남북한 전쟁영화의 민족 재현 비교연구」, 씨네포럼 11, 2010.12, 185-209면.
41. 정종현, 「최재서의 ‘맥아더’ -맥아더 표상을 통해 본 한 친일엘리트의 해방전후」, 동악어문학 59, 2012.8, 183-222면.
42. 한인덕, 「68년 전의 월미도 미군폭격, 아직도 피난중인 원주민들」, 황해문화 81, 2013.12, 209-22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