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8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8, pp. 109-13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0
Received 31 May 2020 Revised 11 Jun 2020 Accepted 12 Jun 2020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0.06.78.109

속물의 고고학 : 이호철의 『소시민』 연구
김영찬*
*계명대학교 국어국문학전공 부교수

Archaeology of Snobs : A Study on Lee Ho-cheol's “Sosimin
Kim, Young-Chan*

초록

이호철의 「소시민」은 모든 정신적인 가치가 무너진 자리에서 속물이 대세를 형성해가는 과정을 기록한다. 이를 통해 『소시민』은 먹고 살아야 한다는 생존의 논리가 모든 가치와 염치를 집어삼키던 전시 자본주의의 시대가 어떻게 속물을 만들어내는가에 대한 하나의 사례를 보여준다. 그러면서 작가는 그러한 과정이 먹고 사는 것 외에 중요한 가치는 아무 것도 없다는 생존 이데올로기가 사회 전체를 지배하는 과정과 동시적인 것이었음을 보고한다. 『소시민』은 먹고 사는 일이 다른 모든 가치를 압도해버렸던 사회변동의 시대가 어떻게 속물을 만들어내고 그들이 어떻게 자신의 속물성을 합리화하면서 시대의 주류가 되었는가를 냉철하게 포착한다. 그럼으로써 이호철의 『소시민』은 파행적인 근대화가 만들어낸 근대 한국의 독특한 인간형인 속물의 탄생에 대한 고고학적 탐구이자 임상보고서가 될 수 있었다. 그런 측면에서 『소시민』의 의의는 단순히 1960년대 소시민의 기원에 대한 보고서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소시민』은 이후 1960년~1970년대를 거쳐 포스트-IMF 시대에 절정에 이르는 ‘속물의 시대’가 발원하는 원초적 장면을 상연한다. 이것이 속물의 고고학으로서 『소시민』이 갖는 현재적 의의다.

Abstract

Lee Ho-cheol's novel “Sosimin”(『소시민』) shows an example of how the era of wartime capitalism, in which the logic of survival that he should live on, devoured all values and shame, creates snobbery. The novel “Sosimin”coolly captures how the age of social change, in which food and living dominated all other values, created snobbery and how they became the mainstream of the times by rationalizing their snobbery. Thus, “Sosimin” was able to become an archaeological exploration and clinical report on the birth of snobs as a unique human form of modern Korea created by disruptive modernization. The novel “Sosimin” will then present a primitive scene in which the “age of snob” originates from the 1960s to the 1970s to the peak of the post-IMF era. This is the present significance of the “Sosimin” as the archaeology of the snob.


Keywords: petit bourgeois, snob, archaeology, survival, modernization, Korean War, people, study cases, experience of modernity
키워드: 소시민, 속물, 고고학, 생존, 근대화, 한국전쟁, 국민, 스터디케이스, 현대성의 경험

References 1. 논문
1. 강인철, 「한국전쟁과 사회의식 및 문화의 변화」, 윤해동 外 엮음, 『근대를 다시 읽는다 1』, 역사비평사, 2006, 355면.
2. 강진호, 「이호철의 『소시민』 연구」, 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연구』 11호, 1997, 142면.
3. 구재진, 「이호철의 『소시민』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 8호, 1998, 103면.
4. 김미란, 「시민-소시민 논쟁의 정치학–주체 정립 방식을 중심으로 본 시민‧소시민의 함의」, 한국문학연구학회, 『현대문학의 연구』, 29호, 2006, 264면.
5. 김한식, 「전쟁과 유민, 도시에서 살아남기 – 이호철의 『소시민』 연구」, 한국비평문학회, 『비평문학』 34호, 2009, 136면.
6. 박진영, 「전쟁의 유산: 이념의 해체와 그 애도로서의 소시민화-이호철의 『소시민』(1964)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현대문학이론연구』 57호, 2014, 82면.
7. 심진경, 「소시민, 천박하거나 가련한」, 『국민일보』, 2017년 6월 2일.
8. 이호철, 「自序」, 『소시민』, 강미문화사, 1979, 7면.
9. 임경순, 「폐쇄된 시간과 정신성으로서의 이념」, 겨레어문학회, 『겨레어문학』, 39호, 2007, 310면.
10. 정명환, 「실향민의 문학–이호철의 『소시민』을 중심으로」, 『창작과비평』, 1967년 여름호, 241-243면.
11. 정원채, 「이호철의 『소시민』에 나타난 인식적 특성과 소설미학적 특징」,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159호, 2011, 375-399면.
12. 정호웅, 「탈향, 그 출발의 소설사적 의미–이호철의 『소시민』론」, 문학사와비평연구회, 『1960년대 문학연구』, 1993, 85-92면
13. 최원식, 「1960년대의 세태소설」, 이호철, 『소시민/심천도』 해설, 청계, 1991

2. 단행본
14.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15. 장은주, 『인권의 철학』, 새물결, 2010.
16. 마샬 버먼, 윤호병·이만식 옮김, 『현대성의 경험』, 현대미학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