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8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8, pp. 35-65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0
Received 31 May 2020 Revised 11 Jun 2020 Accepted 12 Jun 2020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0.06.78.035

김석범 대하소설 『화산도』에 나타난 장소와 공간의 의미 : 밀항, 이카이노, 경성(서울)에 대한 묘사를 중심으로
권성우*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부·한국어문화연구소 교수

The Meanings of Place and Space in Hwasando(Volcanic Island)
Kwon, Seong-Woo*

초록

김석범 작가의 대하소설 『화산도』에는 공간과 장소에 대한 정밀한 묘사와 밀항으로 대변되는 불법적 공간 이동 등 공간에 대한 민감한 감각이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화산도』에서 공간과 장소, 공간 이동은 작품 스토리 전개와 작가의 사유를 전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기능한다. 『화산도』의 무대는 소설 서사의 주 공간인 제주는 물론이거니와, 경성(서울), 목포, 부산, 일본 도쿄, 교토, 오사카 등을 포괄한다. 『화산도』에 대해 탐구한다는 것은 작품 속의 공간에 자연스럽게 스며든 작가의 문제의식, 장소의 인문지리학을 탐구하는 과정과 연결된다.

실제 김석범은 『화산도』 1부 집필을 위한 현장 답사를 거의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기억, 상상력, 자료, 증언을 활용해서 대하소설 『화산도』를 썼다. 제주, 서울, 이카이노 등의 공간에 대한 집요한 탐색과 장악, 기억이 동반되지 않았더라면, 『화산도』가 창작될 수 없었을 것이다. 『화산도』 전권을 통해, ‘밀항’은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소재이자 내용이다. 『화산도』의 밀항 장면에는 밀항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사회 정치적 맥락, 밀항에 대한 정념과 욕망이 생생하게 묘사돼 있다. 『화산도』에서 이토록 밀항에 대한 농밀하고 생생한 묘사가 가능했던 것은 무엇보다 작가 김석범이 밀항을 직접 체험했기 때문이다. 한편 작가 김석범을 조국의 운명과 민족의 진로에 대해 고뇌하는 청년으로 키운 것은 오사카 한인공동체 거주지인 이카이노의 민족적 분위기였다. 한 사람의 작가로서의 김석범의 여정에는 이카이노라는 장소가 깊이 각인돼 있다.

『화산도』에는 해방 직후 서울 중심부와 그 인근의 공간, 음식문화, 거리 풍경이 매우 세밀하고 생생하게 묘사된다. 『화산도』는 식민의 흔적이 깊이 배어든 경성(서울) 중심부 공간에 대한 밀도 깊은 묘사를 통해, 해방 후에도 여전히 그곳이 식민주의가 작동하는 장소임을 극명하게 환기한다.

Abstract

In Kim Seok-beom’s epic novel, Hwasando, his precise portrayal of space and sensitive senses are definitely notable. Space, place, and space movement are very important elements of the story in Hwasando. The setting of Hwasando covers Gyeongseong(Seoul), Mokpo, Busan, Tokyo, Kyoto, Osaka, Kobe, and Shimonoseki. Exploring Hwasando is also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author’s awareness of a problem that permeates the space of the work.

In fact, Kim Seok-beom was unable to make an on-site survey, but he wrote Hwasando using his memory, imagination, data, and testimony. ‘stow away’ is frequently mentioned material in Hwasando. This work vividly depicts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in which one has no choice but to choose secret passage and the spirit and desire for secret passage. The vivid description of the secret passage was possible in Hwasando because Kim Seok-beom experienced the secret passage firsthand.

What affected Kim Seok-beom as a young man agonizing over the fate of his country was the nationalistic atmosphere of Ikaino, a Korean-town in Osaka. Kim Seok-beom’s career as a writer is deeply imprinted with the place ‘Ikaino’.

Hwasando depicts the center of Seoul, food culture and street scenes right after liberation, in great detail. Hwasando clearly reminds us that South Korea is still a place where the shadows of colonialism linger even after liberation, through its dense portrayal of the space in central Seoul, where the remnants of colonialism have been embedded.


Keywords: Kim Seok-bum(金石範), Hwasando(火山島:The volcanic island), space, place, Ikaino(猪飼野), secret passage(密航), Gyeongseong(京城)
키워드: 김석범, 화산도, 장소, 공간, 이카이노, 밀항, 경성

References 1. 기본자료
1. 김석범, 『火山島』 1~12권, 김환기·김학동 역, 보고사, 2015.
2. 金石範, 『火山島』Ⅰ∼Ⅶ, 文藝春秋, 1983~1997.

2. 단행본
3. 고명철·김동윤·김동현, 『제주, 화산도를 말하다』, 보고사, 2017.
4. 권성우, 『비평의 고독』, 소명출판, 2015.
5. 권혁태·이정은·조경희 편, 『주권의 야만- 밀항·수용소·재일조선인』, 한울, 2017.
6. 김현경, 『사람, 장소, 환대』, 문학과지성사, 2015.
7. 조지현 사진집 『이카이노: 일본 속 작은 제주』, 도서출판 각, 2019.
8. 나카무라 일성[中村一成], 『사상으로서의 조선적』, 정기문 역, 보고사, 2020.
9. 나카무라 후쿠지[中村福治], 『김석범 화산도 읽기』, 삼인, 2001.
10. 미즈노 나오키[水野直樹]·문경수, 한승동 역, 『재일조선인- 역사, 그 너머의 역사』, 삼천리, 2016.
11. 송혜원, 『‘재일조선인 문학사’를 위하여-소리 없는 목소리의 폴리포니』, 소명출판, 2019.
12.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역,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3. 윤건차, 박진우 외 역, 『자이니치 정신사』, 한겨레출판, 2016.
14. 이붕언, 윤상익 역, 『재일동포 1세, 기억의 저편』, 동아시아, 2009.
15. 이-푸 투안(Yi-Fu Tuan), 구동회 역, 『공간과 장소』, 대윤, 2005.
16. 존 리, 『자이니치-디아스포라 민족주의와 탈식민 정체성』, 소명출판, 2019.
17. 토드 A. 헨리, 『서울, 권력도시』, 산처럼, 2020.

3. 논문
18. 곽형덕, 「‘망명자문학’으로서의 『화산도』」, 『한민족문화연구』 57호, 2017, 37~61면.
19. 김동현, 「김석범 문학과 제주-장소의 탄생과 기억(주체)의 발견」, 『영주어문』 35호, 2017, 293~318면.
20. 김동현, 「공간인식의 로컬리티와 서사적 재현양상: 『화산도』와 『지상의 숟가락 하나』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53호, 2016, 333~366면.
21. 김석희, 「자이니치 문학, 헤테로토피아를 살다」, 『작가들』 63호, 2017, 164~173면.
22. 양명심, 「재일조선인과 ‘이카이노(猪飼野)’라는 장소-재일조선인발행 잡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67집, 2016, 153~176면.
23. 이영희,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조선인부락-이카이노」, 『일본어문학』 75집, 2016, 287~300면.
24. 조경희, 「불완전한 영토, 밀항하는 일상」, 『사회와역사』 106호, 2015, 39~7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