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8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8, pp. 5-3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0
Received 11 May 2020 Revised 11 Jun 2020 Accepted 12 Jun 2020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0.06.78.005

염상섭 소설의 전쟁 미망인
공종구*
*군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The War Widows in Yeom Sang-seop's Novels
Kong, Jong-Goo*

초록

‘리얼리즘’과 ‘민족문학’은 해방 이후에도 여전히 염상섭의 소설들을 지탱하고 있는 두 기둥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출발했고 그러한 문제의식을 논증하기 위해 연작 소설에 해당하는 두 장편인 『미망인』과 『화관』을 집중적인 분석 대상으로 소환했다.

무엇보다 이 두 작품을 민족문학과 리얼리즘의 해석 코드로 접근하게 만든 가장 중요한 이유는 그 두 장편이 전후 한국사회의 가장 심각한 사회적 증상 가운데 하나였던 ‘전쟁 미망인’의 문제를 서사의 전면에 소환하여 적극적인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서 그들의 운명의 추이를 추적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후 한국사회에서 전쟁 미망인들은 한국전쟁의 직접적인 피해자였다. 따라서 이들을 지원하고 보호하는 것은 국가 사회가 짊어져야 할 마땅한 책임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사회 구성원들은 전쟁 미망인들을 차별과 배제의 대상으로 타자화했다.

그 연장선에서 당시 사회구성원들은 전후의 사회적 혼란이나 무질서의 책임을 전가할 수 있는 희생양이나 완충지대를 필요로 했다. 그 희생양이나 완충지대로 지목된 대상은 당시 한국사회의 권력 위계에서 최하위 포식자의 자리에 위치했던 전쟁 미망인들이었다. 전쟁 미망인들이야말로 사회 구성원들의 심리적 충격이나 공격성의 독소나 악취를 흡수하거나 완화시켜 줄 수 있는 가장 만만한 집단이었기 때문이다.

등단 이후 일관되게 리얼리스트로서의 세계관과 창작 방법을 작가적 화두로 삼아 온 염상섭에게 이와 같은 전쟁 미망인의 문제는 결코 외면해서도 안 되고 외면할 수도 없는 문제였다. 『미망인』과 『화관』 두 연작 장편은 바로 그러한 작가적 관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작품들이다. 그 두 장편을 통해 염상섭은 당시 전쟁 미망인을 방치하는 것은 국가·사회의 직무유기이며, 따라서 그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보호해야 하는 일은 국가·사회적 책무임을 환기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이나 해법으로 전쟁 미망인의 결혼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It is not easy to deny the criticism that Yeom Sang-seop's novels, especially full-length novels, after liberation in 1945 are relatively less dense in style or the perfection of the narrative compared to his previous works. Nevertheless, his novels after liberation are still working in the fields of realism and ethnic minorities functioning as two pillars supporting his literature. This paper started with this sense of problem and two novels 『The Widow』, 『The Wreath』 are called out for intensive analysis to demonstrate the awareness.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factor leading the two works to the interpretation code of ethnic literature and realism is to summon the issue of ‘war widows’ to the front of the narrative which was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symptoms in the post-war Korean society and track the changes of their fate. Supporting and protecting war widows in post-war Korean society was a proper responsibility for the nation. Nevertheless, the work was forced to fall behind in the priorities. However, despite such realistic circumstances, it could not but be a problem to otherize these war widows, who are direct victims of the Korean War, as objects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Nevertheless, members of the society at that time consistently treated war widows with discrimination and coldness.

In that extension, members of Korean society at the time needed a scapegoat or buffer zone where the responsibility of social chaos or disorder caused by the degradation of social customs or sexual ethics could be shifted. The victims or objects targeted as buffer zone were war widows who were at the bottom of the predators in the Korean social hierarchy. It was because war widows were the easiest group to absorb or alleviate the psychological shock or toxins and odors of aggression from members of the society.

For Yeom Sang-seop, who consistently used his view of the world as a realist and creative method as a writer's topic since his debut, the issue of war widows like this was something he should never disregard or could not turn away. The works 『The Widow』 and 『The Wreath』 actively reflect such writer's interest. Through those two works, Yeom Sang-seop reflected 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leaving war widows unattended is a dereliction of duty for the state and society and actively supporting and protecting them was a nati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it suggests marriage of war widows as a concrete way or solution to fulfill such social responsibilities.


Keywords: realism and ethnic literature, postwar society, war widows, social chaos and disorder, degradation of social customs or sexual ethics, scapegoat and buffer zone,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the delay and surplus of narrative
키워드: 리얼리즘과 민족문학, 전후사회, 전쟁 미망인, 사회적 혼란과 무질서, 사회 풍속의 타락과 성 윤리의 문란, 희생양과 완충지대, 배제와 차별, 서사의 지연과 잉여

References 1. 자료편
1. 염상섭. 『미망인』. 글누림, 2017.
2. 염상섭. 『화관』. 글누림, 2017.
3. 한기형·이혜령 엮음. 『염상섭 문장 전집』 Ⅲ. 소명출판, 2014.

2. 국내·외 논저
4.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1950년대편, 1·2·3권). 인물과 사상사, 2004.
5. 고은. 『1950년대』. 청하, 1989.
6. 공종구. 「염상섭의 『취우』에 나타난 한국전쟁」. 현대문학이론학회, 『현대문학이론연구』제78집, 2019, 5-25면.
7. 김경수. 「염상섭 장편소설의 시학」. 문학사와 비평연구회. 『염상섭 문학의 재조명』. 새미, 1998.
8. 김경수. 『염상섭 장편소설 연구』. 일조각, 1999.
9. 김윤식. 『염상섭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10. 김은하. 「전후 국가근대화와 위험한 미망인의 문화정치학」.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한국문학이론과 비평』49, 2010, 211-229면.
11. 김종욱. 「한국전쟁과 여성의 존재 양상: 염상섭의 『미망인』과 『화관』 연작」. 『한국근대문학연구』9. 태학사, 2004, 229-252면.
12. 김태진. 「전후의 풍속과 전쟁 미망인의 서사 재현 양상: 염상섭의 『미망인』·『화관』 연작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27, 2005, 84-105면.
13. 스테판 코올/여균동. 『리얼리즘의 역사와 이론』. 한밭출판사, 1982.
14. 위르겐 슈람케/원당희·박병화. 『현대소설의 이론』. 문예출판사, 1995.
15. 이임하.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서해문집, 2004.
16. 이진경. 『외부, 사유의 정치학』. 그린비, 2009.
17. 정보람. 「전쟁의 시대, 생존의지의 문학적 체현: 염상섭의 『취우』, 『미망인』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49. 2012, 328-356면.
18. 정보람. 「‘탕녀’와 ‘가장’: 1950년대 전쟁 미망인의 이중적 표상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61, 2016, 229-262면.
19. 페터 V.지마/서영상·김창주. 『소설과 이데올로기』. 문예출판사, 1996.
2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전쟁과 사화구조의 변화』. 백산서당, 1999.
21. 한수영. 「소설의 일상성: 후기 단편소설」. 문학과 사상연구회. 『염상섭 문학의 재인식』. 깊은샘, 1998, 155-18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