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7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7, pp. 463-488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0
Received 28 Feb 2020 Revised 05 Mar 2020 Accepted 11 Mar 2020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0.03.77.463

타자와 환대, 이호철 소설의 한 원형
전소영**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초빙교수

The study for the 1950s fictions written by Lee Hochul : the literary methods that triggered the contradiction of separation system and ideology by community problems
Jeon, So-Young**

초록

이호철은 데뷔 초기에 써낸 작품들이 자신이 토해낸 핏자국과 같다고 고백하였다. 그가 피난선을 타고 남면으로 내려온 이후 겪어야 했던 삶의 고통스러운 흔적이 1950년대 단편 소설들 안에 고스란히 담겨 있는 것이다. 그런데 북쪽에 가족을 두고 홀로 남하하여 외로운 생활을 이어가야 했던 그는, 초창기 소설들 속에서 개인이 아니라 관계, 즉 공동체의 이합집산 과정을 반복해서 그려낸다. 여기에 작가의 원형적 기억 혹은 자의식이 담겨 있음은 물론이다. 이호철은 해방 직후 북한의 사회주의 정권 수립기에 원산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 수학했다. 당시 강력한 이념의 전파 장소였던 교실에서 이데올로기의 투사로 만들어진 인물과 마주쳤고, 적을 만들어내고 또 소거하는 과정을 통해 동일화와 타자화의 폭력을 행사하는 체제의 부조리를 느끼게 된다. 이때의 경험은 이후 작가의 기억에 원형적인 문제로 남아 역시 분단 이데올로기에 장악되었던 남한 사회의 문제를 포착하게 하는 매개가 된다. 그리하여 이호철은 1950년대 작품들에서 타자와 환대의 문제를 통해 분단 체제와 이데올로기의 모순을 발화하는 소설적 방법론을 마련해 나갔다.

Abstract

Lee Hochul confessed that the works at the early stage after his debut seemed like coughed bloodstains. His 1950s fictions contained the signs of painful life that he experienced since he had moved to the south boarding the boat for refugees. He, who had to continue the lonely life in the south after leaving his family in the north, writes the processes of meeting and parting of the community rather than the individuals in his early novels, repeatedly. Of course, they have the writer’s original memory or self-consciousness.

Lee Hochul studied at Wonsan middle and high schools when socialist’s regime was established in the north right after liberation. At that time, he faced the fighter characters of ideology at the classroom where was the place for propagation of strong ideology. He felt the violence of the system that broke up the existing community or made the individual members as a homogenous group in terms of ideology by the process to make or eliminate enemies. Experiences at that time remained as the original problems of the writer and became media to capture the social problems in the south where separation ideology was prevailed. Hence, Lee Hochul prepared the literary methods that triggered the contradiction of separation system and ideology by community problems in his novels in 1950s.


Keywords: Lee Hochul, 1950’s fictions, refugees, community, Wonsan
키워드: 이호철, 탈향, 타자, 환대, 월남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 이호철 통일로 문학상 및 문학 포럼에서 발표한 글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References 1. 기본 자료
1. 이호철, 『이호철 전집 1 – 판문점』, 청계, 1988.
2. 이호철, 『이호철 전집 2 – 빈 골짜기』, 청계, 1988.
3. 이호철, 『세기말의 사상 기행』, 민음사, 1993.
4. 이호철, 『선유리』, 미뉴엣, 2010.
5. 이호철, 『문단골 사람들—이호철의 문단 일기』, 프리미엄북스, 1997.
6. 이호철, 『무궤도 2장』, 북치는 마을, 2013.
7. 이호철, 『우리네 문단골 이야기』 1,2, 자유문고, 2018.

2. 단행본 및 논문
8. 강진호 편, 『이호철‑원융의 삶과 곧은 지향의 문학』, 글누림, 2010.
9. 구재진, 「1950년대 이호철 소설 연구」, 『인문과학연구논총』 38, 2017.
10. 김귀옥, 「냉전 시대의 경계에 선 사람들 – 월남자, 월북자, 납북자」, 『황해문화』, 2010.6, 46-68면.
11. 김춘식, 「소시민적 체험과 분단인식의 문학」, 『한국문학연구』 19,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996, 12, 169-183면.
12. 박은태, 「이호철의 1950년대 소설 연구」, 『수련어문학회』 28, 2003, 55-81면.
13. 서세림, 「1960년대 이후 이호철 소설에 나타난 월남민 형상화 연구」, 『한어문교육』 32권, 2015, 159-180면.
14. 음영철, 「이호철 소설의 분단서사 양상 연구」, 『통일인문학』 54,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11, 171-197면.
15. 전소영, 「월남 작가의 문학 세계에 나타난 주체 형성 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6. 정호웅 외, 『1960년대 문학연구』, 예하, 1993.
17. 정호웅 외, 『이호철 문학앨범』, 웅진출판, 1993.
18. 조현일, 「이호철의 1950년대 소설 연구 : 감정과 눈물의 윤리적 의미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37, 2008, 349-382면.
19. 한성훈 외, 『분단시대 월남민의 사회사-정착, 자원, 사회의식』, 혜안.
20. 황태묵, 「이호철 소설에 나타난 분단의식 변모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