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6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6, pp. 63-88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9
Received 15 Nov 2019 Revised 06 Dec 2019 Accepted 11 Dec 2019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9.12.76.063

변혁 주체로서의 농민과 동반자로서의 지식인 : 단편 「항진기」 다시 읽기
최성윤*
*상지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

Peasants as Revolutionary Subjects and Intellectuals as Companions : A Review of Hangjinki
Choi, Sung-Yun*

초록

일제 강점기 농촌을 배경으로 한 단편소설 「항진기」를 분석한 이 논문은 기존의 김정한 및 그의 문학에 대한 연구가 작품의 주제를 작가의 실천적 삶과 연관시킴으로써 반박하기 어려운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던 반면, 논의의 심화와 확장에 이르지는 못하였다는 문제제기로부터 출발하였다.

「항진기」의 인물 태호는 얼치기 사회주의자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시각을 드러낸 사례로 그동안 쉽사리 동의되어 왔다. 그러나 「항진기」에는 태호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들이 존재하고, 그것들은 빠짐없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작가는 박첨지나 두호 등 긍정적 농민 형상의 인물로 하여금 실천 없는 사회주의자의 부정적 측면을 신랄하게 공격하도록 하지만, 조금 다른 각도에서 여성 인물들의 태호에 대한 동정적 시선을 함께 드러내고 있다. 이는 1930년대 후반이라는 당대의 정세 속에서 지식인의 인물 형상을 균형 있게 자리매김하려는 작가 의도의 소산이다.

또한 태호를 바라보는 각 인물들의 시선에는 경멸이나 동정 등 긍·부정적 판단만이 개재하여 있는 것이 아니라 그들 지식인들에게 부여할 수 있는 기대치도 함께 반영되어 있다. 작가 김정한이 판단한 지식인의 시대적 소명은 변혁의 주체가 아닌 동반자의 역할이다. 그리고 「항진기」는 사회주의나 지식인에 대한 작가의 고정된 판단을 담은 작품이 아니라, 주의자의 행동반경을 파악하고 방향성을 모색하는 과정의 산물이다.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short story Hangjinki by Kim Jeong-Han set in the rural villag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xisting studies of Kim Jeong-Han and his literature could reach a clear conclusion by associating the subject of the work with the artist's practical life, but did not lead to deepening and expansion of discussion.

Tae-Ho, the character of Hangjinki, has been regarded as an example of the author's critical view of the incompetent socialist. However, in Hangjinki, there are various gazes that look at Tae-Ho, and they all need to be considered. The author makes a positive peasant character aggressively attack the negative aspects of a socialist without practice, but reveals the sympathetic gaze of a female characters from a different angle. This is the result of the author's intention to express the figure of the intellectual from a neutral point of view in the situation of the late 1930s.

In addition, the gaze of each person looking at Tae-Ho reflects not only positive or negative judgments such as disdain and sympathy but also expectations that can be given to intellectuals. Kim Jeong-Han thought that intellectuals should be companions, not subjects of revolution. And Hangjinki is not the work of the author's fixed judgment about socialism or intellectuals, but the work that expresses self-inspection and seeking prospects of intellectuals.


Keywords: Kim Jeong-Han, Hangjinki, Peasant, Intellectual, Ideologist, Companion
키워드: 김정한, 「항진기」, 농민, 지식인, 주의자, 동반자

References 1. 기본자료
1. 김정한, 「항진기」, 『조선일보』, 1937.2.2.-2.11.(6회-14회)
2. 김정한, 『김정한 단편선 사하촌』, 문학과지성사, 2004.

2. 논문 및 단행본
3. 강진호, 「1930년대 후반기 신세대 작가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4. 강진호, 「근대화의 부정성과 본원적 인간의 추구 – 김정한론」, 민족문학사연구소 현대문학분과 편, 『1960년대 문학연구』, 깊은샘, 1998, 251-271면.
5. 김윤식, 「추산당과 가야부인 – 김정한론」, 『한국문학논총』 50, 2008, 5-45면.
6. 김택호, 「김정한 소설의 저항의식과 유교적 세계관」, 『현대소설연구』 34, 2007, 249-264면.
7. 남상권, 「김정한 소설 연구 – 소설에 나타난 ‘숨은 힘’에 대하여」, 『어문학』 63, 1998, 225-243면.
8. 박재범, 「김정한 소설의 진보담론 연구 – 1960년대 이후 민족문학론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36, 2007, 147-162면.
9. 배경열, 「김정한 초기소설의 특질」, 『한국언어문학』 47, 2001, 299-325면.
10. 송명희, 「김정한의 「수라도」에 나타난 여성원리」, 『현대소설연구』 5, 1996, 261-289면.
11. 이상경, 「김정한 소설과 검열의 문제」, 조남현·김인환 외, 『근대의 안과 밖』, 민음사, 2008, 203-228면.
12. 이정석, 「김정한 문학 연구의 재정초를 위하여」, 『우리문학연구』 22, 2007, 355-376면.
13. 이희환, 「1930년대 신세대 작가의 두 갈래 길 – 김정한과 김동리의 등단작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17, 2007, 213-238면.
14. 조갑상, 「요산 김정한 소설과 부산」, 『현대소설연구』 35, 2007, 27-46면.
15. 최미진, 「김정한 소설의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문학논총』 54, 2010, 243-27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