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5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5, pp. 5-38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9
Received 14 Aug 2019 Revised 07 Sep 2019 Accepted 10 Sep 2019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9.09.75.005

이청준 초기 소설에서 나타나는 남성 동성사회성 연구 : 소거된 여성 젠더를 둘러싼 비대칭적 삼각형을 통하여
박인성*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우교수

A study on male homosociality in Lee Chung-Joon's early novels
Park, Inseong*

초록

본고의 목적은 이청준 초기 소설의 표면적인 담화 구조 이면에 작동하는 남성 동성사회성의 구조와 그 작동방식을 밝히는 것이다. 억압적 현실과 갈등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청준 소설의 남성 서술자 및 인물들은 자기 내부의 분열을 극복하기 위해 의도적인 상징적 재배치를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상징적인 아버지를 대신하는 다른 남성과의 유대, 그리고 그러한 유대를 구성하는 상징적 거래 관계에 주목할 경우, 여성은 거래의 대상이거나 자신의 내적 분열을 감추는 편리한 도구로 활용되거나 더 나아가 그 역할을 다하고 나면 차츰 주변화되어 텍스트 중심으로부터 사라지는 것처럼 보인다.

우선 본고는 이청준의 초기 텍스트 내부에서 남-남-여의 상징적인 삼각형 구도의 활용을 살펴본다. 「퇴원」은 오이디푸스 삼각형의 변형이면서, 여성을 매개물로 활용하는 원형적인 구도를 제시한다. 분열의 극복과 남성적 기능의 회복을 위해 오이디푸스적 구도를 반복하는 과정 속에서, ‘나’와 ‘준’은 일종의 공모적 관계에 있으며, ‘윤’ 간호사는 그러한 남성 간의 공모에 편의적으로 제공되는 매개물이다. 이어서 이러한 삼각형의 변형되면서 조금 더 섬세하게 작동하는 과정을 살핀다. 「아이 밴 남자」와 「병신과 머저리」에서 남성 사회 내부에서 복합적인 의미로 무능력한 상황에 놓인 남성들은 스스로의 분열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성의 분열을 활용한다. 이때의 여성은 편의적으로 ‘혐오’나 ‘유혹’의 대상으로 쪼개지는데, 이러한 여성의 분열과 무능력을 전시함에 따라서 남성의 내재적 분열을 감추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청준의 초기 텍스트들이 집대성된다고 말할 수 있는 두 개의 연작 <언어사회학 서설>과 <남도 사람> 내부에서는 여성이 육체성을 상실하거나 차츰 주변화된다. 최종적으로는 탈성화되어 더 이상 텍스트의 중심이나 상징적 현실과는 무관한 것처럼 배치되고 활용된다. 여성이 마치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이청준 소설이 예술적 형식의 탐색 과정을 거쳐 나갈수록 텍스트의 예술 및 윤리의 결합은 탈성화된 방식으로 완성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 과정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할 경우 여성은 언제나 온전히 사라질 수 없는 타자로서 이청준 텍스트를 읽어낼 수 있는 핵심적 위상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structure of male homosociality that works behind the discourse structure of Lee Chung-Joon's early novels and its operation. The male narrators and characters in Lee Chung-joon's novel, which appear to be in conflict with oppressive reality, perform intentional symbolic relocation to overcome the division within themselves. In this process, when attention is paid to ties with other men on behalf of the symbolic father, and to the symbolic relationships that make up such ties, women are the object of trading, or are used as a convenient tool to conceal their inner division, or even their role. After doing so, it seems to be gradually marginalized and disappearing from the text center.

First of all, this article examines the use of the symbolic triangle composition of male-male-female within Lee's early text. “Discharge” is a transformation of the Oedipus triangle and suggests a circular composition using women as a medium.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Oedipus composition to overcome division and to restore male function, ‘I’ and ‘Jun’ are in a kind of conspiracy relationship, and ‘Yun’ nurses are a convenient medium for collusion between such men. to be. We then look at how these triangles deform and work a bit more delicately. In the “A pregnant Man” and “A Fool and an Idiot”, men in a complex sense of incompetence within the male society use women's divisions to overcome their own divisions. At this time, women are conveniently broken down into objects of hate or seduction, and as the exhibition of women's divisions and incompetences, they hide the inherent divisions of men.

Lastly, within two series, “An Introduction to Sociology of Language” and “Namdo saram”, where the early texts of Lee Chung-joon are collective, women lose or become marginal. Finally, it is denatured and placed and used as if it is no longer related to the center of text or symbolic reality. Just as women did not exist from the beginning, as Lee Chung-joon's novel goes through the search process of artistic form, the combination of art and ethics of text seems to be completed in a degeneration way. However, if we reconsider the process critically, we can see that women have a key position to read Lee Chung-Jun's text as a hitter who cannot always disappear completely.


Keywords: Lee Chung-Joon, female, male homosociality, Oedipus triangle, vanishing mediator, marginalization, desexualization
키워드: 이청준, 여성, 남성 동성사회성, 오이디푸스 삼각형, 사라지는 매개자, 주변화, 탈성화

References 1. 기본자료
1. 이청준, 『병신과 머저리 - 이청준 전집 1』, 문학과지성사, 2010.
2. 이청준, 『눈길 - 이청준 전집 13』, 문학과지성사, 2012.
3. 이청준,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 言語社會學序說 : 李淸俊 連作小說集』, 문학과지성사, 1981.
4. 이청준, 『남도사람』, 문학과비평사, 1988.

2. 학위논문 및 소논문
5. 강동호, 「전이의 소설학, 권력의 한 연구 -『씌어질 수 없는 자서전』과 『소문의 벽』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독해를 바탕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60호, 2016.
6. 곽정미, 「이청준 소설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 “언캐니(uncanny)”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6.
7. 김소륜,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누이의 서사」, 『현대소설연구』 제62권.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8. 김은정, 「질병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청준의 퇴원읽기」, 『우리말글』, 77집, 우리말글학회, 2018.
9. 김종주, 「이청준의 보로메오 매듭」, 현대정신분석 1호 1999.
10. 김형중, 「기나긴 fort-da 놀이 - 「남도 사람」 연작과 영화 <서편제>, <천년학>에 대하여」, 南道文化硏究, 16호, 2009;
11. 김형중, 「이청준 문학과 ‘한’(恨)」, 인문과학연구논총 33호. 2017.
12. 박숙자, 「해방 이후 고통의 재현과 병리성 - 이청준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어문논총 75호 2018
13. 마희정, 「이청준의 <눈길>에 나타난 “모성성”」, 『현대소설연구』 제47권,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14. 박인성, 「공안의 소설 쓰기」, 이청준, 『비화밀교』 해설. 문학과지성사, 2013.
15. 박인성, 「이청준 소설에서 나타나는 용서의 주제와 프로소포페이아의 사학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6. 송은정, 「불임의 시대, 생명상실에 대한 징후의 서사 -이청준의 「아이 밴 남자 (姙夫)」· 「무서운 토요일」·「거룩한 밤」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58호, 2018.
17. 오은엽, 「이청준 소설의 모성 은유와 열린텍스트의 상상력」, 『현대소설연구』 제47권,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18. 우찬제, 「이청준(李淸俊) 소설(小說)에 나타난 불안(不安) 의식(意識) 연구」, 語文硏究, 33호, 2005.
19. 이광호,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시선과 광기의 정치학 : 중편 「소문의 벽」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43호 2012.
20. 이은애, 「소설 속에 나타난 ‘반복강박’의 의미에 대한 고찰 - 이청준의 『조율사』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학회 58호, 2018.
21. 이현석,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성적 모티프의 담론화 방식 연구」, 『현대소설연구』 38호, 2008.
22. 채대일, 「이청준의 「퇴원」 연구 : 포르트-다(fort-da) 놀이를 하는 주체」, 시학과 언어학 22호 2012.
23. 최영자, 「이청준 소설의 여성성 연구: 물신적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제27집 1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0.
24. 한순미, 「한국 현대문학에서의 “어머니” 표상과 “희생” 서사」, 『석당논총』 제50권,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3. 단행본 및 외국저서
25. 김종주, 『이청준과 라깡』, 인간사랑, 2011.
26. 이승준, 『이청준 소설 연구: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한국학술정보, 2005.
27. 자크 라캉, 홍준기 등 옮김, 『에크리』, 새물결출판사, 2019.
28. 지그문트 프로이트, 임진수 옮김, 『정신분석의 탄생』, 열린책들, 2005.
29. Eve Kosofsky Sedgwick, Between Men: English Literature and Male Homosocial Desir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5.
30. Fredric Jameson. 1988. “The Vanishing Mediator: Narrative Structure in Max Weber”. The Ideologies of Theory: The syntax of history. Vol. 2.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1. Robert Harari, Lacan's Seminar on “Anxiety”: An Introduction, New York; Other Press,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