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4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4, pp. 247-27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9
Received 30 Apr 2019 Revised 11 Jun 2019 Accepted 12 Jun 2019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9.06.74.247

서정인 소설의 ‘희생양’과 상대주의적 세계관
박희현*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The scapegoat and the relativistic worldview In Seo, Jeong-in's novels
Park, Hee-Hyun*

초록

서정인의 소설에는 ‘희생염소’, ‘속죄염소’가 언급, 서술된다. 서정인은 ‘희생양’의 무고함과 군중의 만장일치적 폭력을 계시에 의해 보여준 인류사적 사건으로 ‘예수(Jesus Christ)’의 죽음을 이야기하면서 인류의 역사를 ‘희생양’의 역사라 주장한다. 이에 대한 이유로 그는 모든 다툼의 이면에 인간의 배타주의적 태도가 내재해 있음을 들고 있다. 서정인은 자신의 옳음에 대한 지나친 신념이 타인을 적 또는 악으로 규정하게 만들고, 이 배타적 태도가 수많은 희생양을 낳았다고 지적한다. 그는 지롤라모 사보나롤라(Girolamo Savonarola, 1452~1498)를 『용병대장』과 『말뚝』에 등장시켜 종교적 희생양의 전형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러나 희생양 메커니즘의 본질은 소수에 대한 다수의 폭력이다. 서정인은 사보나롤라를 통해 종교가 흥성하던 시대에도 희생양은 만들어졌으며 희생양 메커니즘이 아직까지 유효하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서정인은 희생양이 “분풀이” 대상으로 책임을 떠넘기기 위해 임의로 지정된 존재임을 분명히 한다. 어떻게든 화풀이 대상을 만들어내고자 하는 인간의 심리를 바탕으로 한다는 것이다. 서정인은 한국 사회가 희생양을 만들어내기에 급급한 시간들을 보내왔다고 진단한다. 그는 4.19 혁명, 부마민주항쟁, 5.18 민주화 운동 등을 들어 특정인들의 정치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한 방편으로 ‘희생양 메커니즘’이 이용되었고 이러한 일들이 반복되었음을 개탄하고 있다. 부패한 정권이 만들어낸 희생양에게는 죄가 없을뿐더러 스스로를 보호할 힘도 미약하다. 부패한 정권은 이를 잘 알고 있었으며 자신들에 대한 불만과 불평이 체제 외부를 향하도록 적극 유도했다. 다양한 의견과 생각을 존중하지 않는 사회는 강압적이고 폭력적이다. 서정인은 다양한 목소리들이 공존하는 사회를 우리가 지향해야 이상적 사회로 보았으며, 이는 결국 민주주의에 대한 사회적 열망과 맞물려 있었다. 서정인의 다양성에 대한 추구는 ‘상대주의’로 이어지며 그의 문학 세계의 본류를 이루고 있다.

Abstract

In Seo, Jeong-in's novel, the scapegoat is mentioned and described. Seo, Jeon-in argues that the history of mankind is the history of the scapegoat, talking about the death of Jesus as a humanistic event that showed the innocence of scapegoat and the unanimous violence of crowd by revelation. As a reason for this, he holds that the exclusive attitudes of human beings are inherent behind all the disputes. He points out that the excessive faith in his right is to make others as enemies and evils, and therefore the exclusive attitude has produced many scapegoats. He also shows Girolamo Savonarola in his novels ‘Yong Byeong Dae Jang’ and ‘Malttug’ to illustrate the epitome of the religious sacrifice. However, the essence of the scapegoat mechanism is the majority's violence toward the minority. Seo, Jeong-in indicates that the scapegoat was created even in the peak period of religion through the use of Girolamo Savonarola, and the mechanism is still valid.

Seo, Jeong-in clearly states that the scapegoat is an arbitrarily designated person to take it out on and shift blame. It is based on the human psychology that wants to create person to take it out on anyhow. He recognizes that Korean society has been busy to spend time to create the scapegoat. He deplores that the scapegoat mechanism has been used as a way to solidify the political power of certain people, including 4.19 revolution, the pro-democracy movement in Busan and Masan, and the Gwangju democracy movement on May 18, and these have been repeated. The scapegoat created by the corrupt regime has no sin and has little power to protect itself. The corrupt regime knew it well and actively induced their complaints toward the outside of the system. Societies that do not respect various opinions and ideas are oppressive and violent. Seo, Jeong-in regards the society in which various voices coexist as an ideal society, which ultimately leads to social desire for democracy. His pursuit of diversity is associated with relativism and forms the mainstreams of his literary world.


Keywords: Seo, Jeong-in, Scapegoat, Victim mechanism, Exclusivism, Relativism, Diversity, Democracy
키워드: 서정인, 희생양, 희생양 메커니즘, 배타주의, 상대주의, 다양성, 민주주의

References 1. 기본자료
1. 서정인, 『철쭉제』, 민음사, 1986.
2. 서정인, 『봄꽃 가을열매』, 현대소설사, 1991.
3. 서정인, 『달궁 둘』, 민음사, 1988.
4. 서정인, 『붕어』, 세계사, 1995.
5. 서정인, 『베네치아에서 만난 사람』, 작가정신, 1999.
6. 서정인, 『용병대장』, 문학과지성사, 2000.
7. 서정인, 『말뚝』, 작가정신, 2000.
8. 서정인, 『빗점』, 양영, 2011.

2. 논문
9. 김경수, 「<달궁>의 언어에 이르는 길」, 『작가세계』 제21호, 작가세계, 1994.5, 18-35면.
10. 김주현, 「서정인 문체의 양면성」, 『어문론집』 제32집, 중앙어문학회, 2006.8, 271-297면.
11. 김재영, 「서정인 소설 『달궁』의 서술특성과 ‘현실성’」 『상허학보』 제20집, 상허학회, 2007, 415-442면.
12. 변선경, 「사보나롤라와 덕의 공화국」, 『서양사론』 제125호, 한국서양사학회, 2015.06, 206-234면.
13. 오양진, 「부조리의 현실과 수수께끼의 서사-서정인의 「뒷개」에 나타난 서술과 독자에 대하여」, 『국제어문』 제56집, 국제어문학회, 2012.12, 293-320면.
14. 이종원, 「희생양 메커니즘과 폭력의 윤리적 문제-르네 지라르의 모방이론과 희생양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철학탐구』 40,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11, 273-301면.
15. 이진경, 「장자의 인식론에서 상대주의와 보편주의의 문제」, 『도교문화연구』 34, 한국도교문화학회, 2011.4, 143-178면.
16. 주영중, 「모호한 언어와 불확실성의 세계-서정인의 「미로」에 나타난 언어관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제42집, 중앙어문학회, 2009.11, 437-459면.

3. 단행본
17. Girard, René, 김진식 역, 『희생양』, 민음사, 2016.
18. Girard, René, 김진식·박무호 역, 『폭력과 성스러움』, 민음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