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3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3, pp. 257-28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19
Received 11 Feb 2019 Reviewed 12 Mar 2019 Accepted 15 Mar 2019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9.03.73.257

테크노-파시즘의 문학적 형상화 연구 : 일제 말기 소설에 나타난 기술-주체의 윤리를 중심으로
황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A Study on the Literary Formulation of Techno-Fascism : In the End of Japanese Novels Focused on the Ethics of the technology-subject
Hwang, Ji-Young*
Funding Information ▼

초록

일제 말기에 창작된 리얼리즘 소설들 속에는 이 시기를 ‘테크노-파시즘’으로 규정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주체들이 등장한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특등의 대우를 받기 시작한 기술-주체들은 제국 일본의 기술관료들이 만들어낸 ‘신체제’와 ‘동아협동체론’, ‘대동아공영권’ 등의 담론을 수용하고, 기술의 우월성을 인정하면서 자신의 직분에 충실한 삶을 살아간다. 그러나 이들은 사회주의자들처럼 새로운 세계에 대한 꿈을 펼치지 못한 채, 지금 진행되고 있는 전쟁을 지원해야만 하는 현재의 시간 속에 갇힌다. 또한 이들은 사회가 요구하는 가치를 개인적인 ‘욕망’을 소거한 상태에서 기능적으로 실행한다. ‘테크노’와 친연성을 지닌 이들은 ‘파시즘’과 거리를 두는 듯 보였으나, 기술적 원리로 작동하는 ‘테크노-파시즘’ 속으로 이끌려 들어간다. 그래서 전쟁이 끝나고 해방을 맞이한 후 새롭게 자주 민족국가를 건설해야 하는 자유롭고 열정적인 주체들 틈에서, 기능주의에 중점을 둔 기술-주체들의 윤리는 더 이상 문학 작품 속에서 긍정적으로 그려질 수 없었다.

Abstract

In a realism novel made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echnology-subject are emerging that can define this era as ‘techno-fascism’. As the war became prolonged, technology-subject began to receive excellent evaluations. And they accepted without criticism the discourse created by the technocrats of Imperial Japan. They appreciate the excellence of technology and lead a faithful life in their spiritless profession. But like socialists, they did not dream of a new world. Instead, they are trapped in the current time when they have to support the ongoing war. They also eradicate individual needs by functionally performing the values society demands. After the war, we had to build a new nation through free and enthusiastic subjects. In this gap, the ethics of the technology subject focused on functionalism can no longer be used.


Keywords: Techno-fascism, technocracy, technocrat, technology-subject, Mechanical ethics, production novels
키워드: 테크노-파시즘, 테크노크라시, 기술관료, 기술-주체, 기계적 윤리, 생산소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6S1A5B5A01021633)


References 1. 기본 자료
1. 김남천, 「길우에서」, 『문장』, 1939.7
2. 김남천, 『사랑의 수족관』, 인문사, 1940. (『조선일보』, 1939.8.1.~1940.3.3.)
3. 김남천, 『김남천 전집 1,2』, 정호웅 편, 박이정, 2000
4. 석인해, 「歸去來」, 『춘추』, 1943.6
5. 윤세중, 「白茂線」, 『인문평론』, 1940.11., 1941.1., 1941.3., 1941.4
6. 이북명, 「氷原」, 『춘추』, 1942.7
7. 최인욱, 「멧돼지와 木炭」, 『춘추』, 1942.12

2. 논문
8. 공임순, 「식민지 시대 소설에 나타난 사회주의자의 형상 연구 : 김남천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근대문학회, 『한국근대문학연구』 Vol.7 No.1, 2006, 199-226면
9. 김병관, 「日帝下 朝鮮人技術者의 形成過程과 存在樣態」,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10. 김 철, 「우울한 형/명랑한 동생- 중일전쟁기 ‘신세대 논쟁’의 재독(再讀)」, 상허학회, 『상허학보』 25집, 2009, 153-191면
11. 류수연, 「기술자와 직업서사- 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현대문학이론연구』 제64집, 2016, 157-179면
12. 서영인, 「일제 말기 생산소설 연구- 강요된 국책과 생활현장의 리얼리티」, 한국비평문학회, 『비평문학』 41, 2011, 145-176면
13. 이경재, 「일제말기 생산소설의 정치적 성격 연구」, 한중인문학회, 『한중인문학연구』 Vol.29, 2010, 201-230면
14. 이병례, 「일제하 전시 기술인력 양성정책과 한국인의 대응」,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5. 이원동, 「이기영의 생산소설 연구- 『동천홍』, 「광산촌」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2004, 393-416면
16. 전상숙, 「일제 군부파시즘체제와 ‘식민지 파시즘’」,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동방학지』 제124집, 2004, 607-657면
17. 정종현, 「1940년대 전반기 이기영 소설의 제국적 주체성 연구 : 『동천홍』, 『광산촌』, 『생활의 윤리』, 『처녀지』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한국근대문학연구』, Vol.7 No.1, 2006, 1-19면
18. 정하늬, 「‘신시대’ 과학기술・과학기술자의 표상― 이광수의 사랑과 이북명의 빙원 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현대문학이론연구』 제67집, 2016, 337-360면
19. 조진기, 「일제 말기 국책의 문학적 수용」,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학』, 2003, 197-221면
20. 조진기, 「일제말기 생산소설 연구」,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42, 2008, 331-362면
21. 차승기, 「전시체제기 기술적 이성 비판」, 상허학회, 『상허학보』 23, 2008, 11-31면
22. 차승기, 「문학이라는 장치– 식민지/제국 체제와 일제말기 문학장의 성격」, 한국문학연구학회, 『현대문학의 연구』 제 44집, 2011, 179-209면
23. 차승기, 「‘비상시(非常時)’의 문/법- 식민지 전시(戰時) 레짐과 문학」,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사이間SAI 』 vol.12, 2012, 9-41면
24. 함동주, 「中日戰爭과 미키 키요시(三木淸)의 東亞協同體論」, 동양사학회, 『동양사학연구』 56, 1996, 157-188면
25. 황종연, 「기술 이성의 관념론」, 동악어문학회, 『동악어문학』 Vol.73, 2017.11, 9-55면
26. 황지영, 「식민지 말기 소설의 권력담론 연구 : 이기영·한설야·김남천 소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7. Michael Adas, 「The Science of Empire: Scientific Knowledge, Civilization, and Colonial Rule in India by Zaheer Baber」, Technology and Culture, Vol. 39 No. 2,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3. 단행본
28. 김효신, 『한국 근대문학과 파시즘』, 국학자료원, 2009
29. 나카무라 미츠오, 니시타니 게이지 편, 『태평양전쟁의 사상』, 이경훈 외 3명역, 이매진, 2007
30. 로버트 O. 팩스턴, 『파시즘-열정과 광기의 정치 혁명』, 손명희 외 역, 교양인, 2005
31. 마크 네오틀레우스. 『파시즘』, 정준영 역, 이후, 2002
32.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오생근 역, 나남, 1994, 60면
33.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식민지 유산, 국가 형성, 한국민주주의2』, 정근식 외편, 책세상, 2012
34. 방기중, 『일제하 지식인의 파시즘체제 인식과 대응』, 혜안, 2005
35. 방기중, 『식민지 파시즘론』, 연세대학교출판부, 2010
36. 방민호 외, 『파시즘 미학의 본질』, 예옥, 2009
37. 빌헬름 라이히, 『파시즘의 대중심리』, 황선길 역, 그린비, 2006
38. 사카이 나오키 외, 『총력전하의 앎과 제도 (1933∼1955년)』, 이종호 외 역, 소명출판, 2014
39. 야마모토 요시타카, 『나의 1960년대』, 돌베개, 2017
40. 이상경, 『일제 말기 파시즘에 맞선 혼의 기록』, 역락, 2009
41. 이현식, 『일제 파시즘체제하의 한국 근대문학비평』, 소명출판, 2006
42. 제니스 미무라, 『제국의 기획』, 박성진 역, 소명출판, 2015
43. 최재서, 「訓練と文學」, 『轉換期の朝鮮文學』, 인문사, 1943
44. 한국 타이완 비교문화연구회, 『전쟁이라는 문턱 (총력전하 한국 타이완의 문화 구조)』, 그린비, 2010
45. 한나 아렌트, 『전체주의의 기원1, 2』, 박미애・이진우 역, 한길사, 2006
46. 한민주, 『낭만의 테러 파시스트 문학과 유토피아적 충동』, 푸른사상, 2008
47. 황호덕, 『벌레와 제국- 식민지말 문학의 언어, 생명정치, 테크놀로지』, 새물결, 2011
48. 후지타 쇼조, 『천황제 국가의 지배원리』, 김석근 역, 논형, 2009
49. 히로마쓰 와타루, 『근대초극론』, 김항 역, 민음사, 2003
50. 三木清, 『三木清 全集 第7巻 : 哲学入門 技術哲学 他』, 岩波書店, 1985
51. 鵜飼哲, 『応答する力- 来るべき言葉たちへ』, 青土社, 2003
52. 池田浩士, 『石炭の文学史』, インパクト出版会, 2012
53. Hiromi Mizuno, Science for the empire : scientific nationalism in modern Japa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