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2, pp. 325-368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15 Nov 2018 Revised 13 Dec 2018 Accepted 14 Dec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12.72.325

식민지 아카데미즘과 조선의 지식인 청년들
정하늬*
*한국과학기술원(KAIST) 대우교수

The Colonial Academism and The Intellectual Youth of Joseon
Jung, Ha-nie*

초록

이 논문은 식민지 조선의 학계에 들어가려고 하는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 청년들을 보여주는 소설에 나타나는 식민지 아카데미즘에 대해 살펴보았다. 식민지 조선에는 대학이 경성제국대학 한 곳뿐이었다. 그러니 식민지 조선의 지식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본고에서 논의하는 『낭비』(김남천), 『푸른 탑』(이효석), 『수난의 기록』(유진오), 『화상보』(유진오)에는 논문을 쓰는 지식인 청년들이 등장한다. 본고는 이들의 논문 쓰기가 지식인들의 지적 욕구 충족이라는 문제는 넘어서서 조선의 현실을 보여주려고 한 지식인들의 책무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그들의 논문은 영문학을 통해 제국-식민지 관계의 조선을 비유적으로 이야기하기도 하고, 조선에서 아카데미 확립이 불가능한 현실을 방증하기도 하였다. 또한 조선적인 것이 제국의 것의 일부가 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결국 식민지 아카데미즘의 불가능성을 알고 있었던 식민지 작가들은 오히려 그 불가능성 안에서도 지식 재생산을 열망하고 있었던, 그렇게 학문과 현실 사이를 분주하게 오갈 수밖에 없었던 조선의 지식인 청년들의 지적 욕망과 한계, 좌절, 그러면서도 그것을 뛰어넘는 새로운 지식 재생산의 가능성을 장의 폐쇄성을 통해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던 것이다.

Abstract

The paper looked at the colonial Academyism in a novel that shows young people who were intellectuals of the colonial Joseon who wanted to enter the academic world of the colonial Joseon. In colonial Joseon, there was only one university. So it was very difficult to develop knowledge of the colonial Joseon. In The Waste(『낭비』, Kim Nam-cheon), Blue Tower(『푸른 탑』, Lee Hyo-seok), Record of Suffering(『수난의 기록』) and Hwasangbo(『화상보』)Yu Jin-oh), Joseon’s young intellectuals write papers. Their writing is related to intellectuals' responsibility to show the reality of Joseon beyond the question of meeting intellectual desires. Their paper used English literature to talk metaphorically about the establishment of an Imperial-colony relationship, and also corroborate the fact that an academy was not established in Joseon. It also showed the reality that Joseon's things must be part of the empire. After all, the colonial writers show paradoxically the possibility of a new knowledge-reproduction of Joseon, through the young intellectuals who already knew the closeness of the knowledge-field fight the reality, and show their intellectual desire, limitations and frustration.


Keywords: the colonial academism, the intellectual youth, English literature, economics, science, reproduction of knowledge
키워드: 식민지 아카데미즘, 지식인 청년들, 영문학, 경제학, 자연과학, 지식의 재생산

References
1. 김남천, 『낭비』, 1940.
2. 유진오의 『수난의 기록』, 『봄』, 한성도서주식회사, 1940.
3. 유진오, 『華想譜』, 민중서관, 1959.
4. 이효석, 『푸른 탑』, 『이효석 전집』 4권, 창미사, 2003.
5. 김필동, 「지식 변동의 사회사-과제와 방법」, 한국사회사학회, 『지식 변동의 사회사』, 문학과지성사, 2003, 13-43면.
6. 류준필, 「식민지 아카데미즘의 ‘조선문학사’ 인식과 그 지정학적 함의-자국(문)학 형성의 맥락에서」, 『한국학연구』 32, 2014, 93-124면.
7. 박명규, 「지식 운동의 근대성과 식민성」, 한국사회사학회 편, 『지식 변동의 사회사』, 문학과지성사, 2003, 119-150면.
8. 배상미, 「아일랜드 문학을 경유한 제국주의 넘어서기-이효석과 사토 기요시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69, 2015, 487-525면.
9. 사노 마사토, 「경성제대 영문과 네트워크에 대하여」, 『한국현대문학연구』 26, 2008, 319-336면.
10. 서은주, 「1930년대 외국문학 수용의 좌표」, 민족문학사연구소 기초학문연구단, 『탈식민의 역학』, 2006, 252-279면.
11. 송효정, 「비국가와 월경(越境)의 모험-1930년대 대중소설과 청년 코스모폴리탄」, 『대중서사연구』 24, 2010, 7-43면.
12. 유문선, 「화상보론」, 『문학정신』, 1991.6.
13. 윤대석, 「아카데미즘과 현실 사이의 긴장-박치우의 삶과 사상」, 『우리말글』36, 2006.4, 371-397면.
14. 윤대석, 「<화상보>에서의 교양과 과학」, 『우리말글』 70, 2016, 369-395면.
15. 이승희, 「조선문학의 내셔널리티와 아일랜드」, 민족문학사연구소 기초학문연구단, 『탈식민의 역학』, 소명출판, 2006, 280-307면.
16. 이양숙, 「이효석의 『푸른 탑』에 나타난 내선결혼의 전략 : 서양고전의 차용과 변용」,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55, 2012, 143-174면.
17. 이정, 「식민지 과학 협력을 위한 중립성의 정치」, 『한국과학사학회지』 37권 1호, 2015, 265-298면.
18. 이재옥, 「리카도의 소득분배론 연구」, 『論文集』 16권 1호, 1999, 1457-1467면.
19. 이행선, 「일제말기 유진오의 문화 인식」, 『국제어문』 53, 2011, 183-215면.
20. 이행선, 「식민지 조선의 경제공황과 경제상식」, 『한국민족문화』 54, 2015.2, 235-270면.
21. 장문석, 「소설의 알바이트화, 장편소설이라는 (미완의) 기투」, 『민족문학사연구』 46, 2011, 216-257면.
22. 장성규, 「일제 말기 소설의 영문학 작품 수용과 상호텍스트성의 기획」, 『민족문학사연구』 47, 2011, 193-223면.
23. 장성규, 「식민지 조선에서 ‘헨리·제임스·조이스’라는 기호」, 『한국근대문학연구』 29, 2014, 7-31면.
24. 정하늬, 「일제 말기 소설에 나타난 ‘청년’ 표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5. 홍종욱, 「‘식민지 아카데미즘’의 그늘, 지식인의 전향」, 『사이間SAI』 11, 2011, 93-134면.
26. 김윤식, 『최재서의 『국민문학』과 사토 기요시 교수』, 역락, 2009.
27. 막스 베버, 전성우 역, 『직업으로서의 학문』, 나남, 2017.
28. 윤수안, 윤수안·고영진 역, 『‘제국일본’과 영어·영문학』, 소명출판, 2014.
29. 에드워드 W. 사이드, 전신욱·서봉섭 역, 『권력과 지성인』(개정판), 창, 2011.
30. 이매뉴얼 윌러스틴, 유희석 역, 『지식의 불확실성』, 창비, 2007.
31. 이효석, 『헨리 제임스의 영미문화 비판』, 아카넷, 2008.
32. 정근식·정진성·박명규·정준영·조정우·김미정, 『식민권력과 근대지식 : 경성제국대학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33. 조남현, 『한국지식인소설연구』, 일지사, 1984.
34. 유진오, 「편편야화」 29, 『동아일보』 1974.4.3.
35. 조용만, 「晩餐」, 『春秋』 19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