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2, pp. 259-28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15 Nov 2018 Revised 13 Dec 2018 Accepted 14 Dec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12.72.259

전태일의 글쓰기 변화과정과 그 의미 : 『내 죽음을 헛되이 말라』를 중심으로
이정안*
*고려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Transformation of Jeon Tae-Il’s writing and its implication
Lee, Jung-An*

초록

1970년대에는 죽음정치적 노동에 종사하던 노동자들이 어떻게 자신의 생명이 착취당하고 있는가를 생생히 기록한 글들이 증가한다. 전태일의 수기와 편지, 일기 등은 1970년대 노동소설, 노동수기의 출현과 1980년대 노동열사 서사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전태일의 수기, 편지, 일기 등을 모은 『내 죽음을 헛되이 말라』을 살펴보면 전태일의 글쓰기가 일기, 회상수기, 편지, 소설초안의 순으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열병과 같은 짝사랑의 감정을 토로한 전태일의 일기는 노동열사로서 완결된 그의 서사를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추후 평전에서 제외되게 된다. 사적공간에 남아있던 전태일의 글쓰기는 그가 바보회를 조직하였던 1969년을 기점으로 수신자를 의식한 글쓰기로 바뀌게 된다.열병과 같은 짝사랑의 감정을 토로한 전태일의 일기는 노동열사로서 완결된 그의 서사를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추후 평전에서 제외되게 된다. 사적공간에 남아있던 전태일의 글쓰기는 그가 바보회를 조직하였던 1969년을 기점으로 수신자를 의식한 글쓰기로 바뀌게 된다.

전태일은 원섭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운전수 모자를 쓴 사내를 통해 유적 존재를 탈취당하는 노동자의 모습을 형상화하였으며, 이러한 전형적 인물의 형성화는 그동안 일기라는 사적 공간에 머물러있던 전태일의 글쓰기 공간이 확장됨을 시사된다. 또한 같은 내용을 두고 시점과 특정 장면의 연출을 달리하여 다시 쓰기를 시도하고 있는 전태일의 회상수기에는, 사건을 극적으로 ‘보여주고’ 싶어 하는 전태일의 욕망이 드러난다. 서사가 부재하였던 일기와 달리 그의 회상수기는 강한 서사성을 띤다. 전태일의 자기서사 안에 내장되어 있던 소설에 대한 욕망은 그로 하여금 세 편의 소설 초안을 작성하게 만든다.

전태일은 허구적 인물을 창조하고 서사를 구축함으로써 소설쓰기에 도전한다. 이와 같이 전태일의 글쓰기는 독자를 두지 않는 글쓰기에서 청자(독자)를 의식하는 글쓰기이자 서사성을 지향하는 글쓰기로 바뀌어갔다. 전태일의 글쓰기가 점차 소설에 가까운 형태를 취하게 된 이유는, 당시 소설이 사회 전반에 행사하고 있던 막강한 영향력과 관계가 있다.

Abstract

In the 1970s, a different genre of literature has been salient in Korean literature. Namely, the labors who were in necropolitical labor vividly described how their lives have been exploited. In particular, Jeon Tae-Il’s diaries, letters and memoirs played a vital role in contributing to both arising labor literature and labor memoirs in the 1970s and narrativizing the workers’ rights activists in the 1980s.

Do Not Make My Death Futile is the collection of Jeon Tae-Il’s memoirs, letters, and diaries. In the book, it is noticeable that Jeon Tae-Il’s writings were gradually transformed in a distinctive way. To be more specific, while Jeon Tae-Il wrote mainly diaries and memoirs in the early stage of his writings, he wrote letters and a draft for a novel in the late stage. Thus, Jeon Tae-Il writings had been stylistically sophisticated and he had been slowly aware of the readers. Interestingly, Jeon Tae-Il’s biography excludes his diaries about his unrequited love because this kind of diaries would blemish his reputation as workers’ rights activists.

From 1969, when he organized Babohoe (literally The Fools), Jeon Tae-Il’s writing was not confined into a private area. Rather, his writing was turned into reader-oriented writing and he was clearly aware of readers. In his letter to Won-Seop, describing a man with driver’s hat, Jeon Tae-Il configured a labor who was in extreme work condition and was estranged from human being’s Gattungswesen (species-essence). By configuring a typical character instead of describing the inner world and private experience, Jeon Tae-Il’s scope of writing was extended.

Furthermore, Jeon Tae-Il attempted to revise his memoir by shifting viewpoints on the same event and describing the same event differently. These attempts reflect his desire to dramatize events. While his diary lacks a coherent narrative, his memoir shows an impressive narrativity. The latent desire to the novel in his memoir and his narrative made Jeon Tae-Il write three drafts for novels. In the end, by creating fictional characters and constructing plots, Jeon Tae-Il attempted to write a novel.

The transformation of Jeon Tae-Il’s writing can be wrapped up in two aspects: First, the scope of his writing had been gradually extended from private writing to reader-orient writing. Second, his writing evolved into narrative-oriented writing. The reason why Jeon Tae-Il attempted to write a novel seems to be related to the strong social impact of a novel in the 1970s.


Keywords: Jeon Tae-Il, diary, memoir, letter, 1970s, Do Not Make My Death Futile, labor literature
키워드: 전태일, 일기, 수기, 편지, 1970년대, 내 죽음을 헛되이 말라, 노동문학

References 1. 논문
1. 김성연, 「“자전문집”의 출판과 사회적 정체성 형성」, 『민족문화연구』71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7-39면.
2. 김성환, 「1970년대 노동수기와 노동의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37권, 한국현대문학학회, 2012, 353-386면.
3. 김예림, 「어떤 영혼들」, 『상허학보』40권, 상허학회, 2014. 339-380면.
4. 김원, 「전태일 분신과 80년대 “노동열사” 탄생의 서사들」, 『민족문학사연구』59권, 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105-143면.
5. 임송자, 「전태일 분신과 1970년대 노동‧학생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65권,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319-360면.
6. 박숙자, 「기억과 재현으로서의 애도: 『전태일 평전』」, 『국제어문』67권, 국제어문학회, 2015, 41-69면.
7. 신병현, 「민주노조운동의 전태일 애도와 재현」, 『역사연구』20권, 역사학연구소, 2011, 7-38면.
8. 오창은, 「민중의 자기서사와 한국 노동현실의 증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76집,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115-147면.
9. 용석원, 「1970년대 문학 장과 연작소설의 부흥」, 『대중서사연구』28호, 대중서사학회, 2012, 235-256면.
10. 천정환, 「서발턴은 쓸 수 있는가: 1970~80년대 민중의 자기재현과 ‘민중문학’의 재평가를 위한 일고」, 『민족문학사연구』47권, 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224-254면.
11. 홍성식, 「서발턴에 대한 진실한 기록, 1970년대 르포」, 『한국문예비평연구』42권,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399-418면.

2. 단행본
12. 권보드래‧천정환, 『1960년을 묻다』, 천년의 상상, 2012.
13. 김인환, 『언어학과 문학』, 작가, 2008.
14. 석정남, 『공장의 불빛』, 일원서각, 일월서각, 1984.
15. 이재선 외, 『노동과 예술』, 지양사, 1985.
16. 이진경, 나병철 역, 『서비스 이코노미』, 소명출판, 2015.
17. 전태일, 『내 죽음을 헛되이 말라』, 돌베개, 1988.
18. 조영래, 『전태일 평전』, 돌베개, 2009.
19. 조정래·나병철, 『소설이란 무엇인가』, 평민사, 1991.
20. 피터 브룩스, 이봉지·한애경 역, 『육체와 예술』, 문학과지성사, 2000.
21. 필립 르죈, 윤진 역, 『자서전의 규약』, 문학과지성사, 1982.
22. 천정환 외, 『한국 뉴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연세대출판부, 2007.
23. 황석영 외, 『민중을 기록하라』, 실천문학사, 2015.

3. 기사
24. 석정남, 「인간답게 살고 싶다」, 『대화』11월호, 1977.
25. 「새 차원에 들어선 최근의 문단」, 『경향신문』, 1973.11.13.
26. 「이달의 소설」, 『동아일보』, 1971.5.17.
27. 「책 발행 후 최고 기록-출협 75년 발간 도서집계」, 『매일경제』, 1976.02.03.
28. 「탄광참사 혹사 저임에 시달리다 간 뒤 남은 유족들은 살길이 막연」, 『동아일보』, 1973.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