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2, pp. 153-193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30 Oct 2018 Revised 13 Dec 2018 Accepted 14 Dec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12.72.153

박완서 창작집에 등장한 노년문학 연구 : ‘심리학적ㆍ사회학적 노년학’ 이론을 중심으로
박태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A Study on the old aging Literature in Park Wan-seo's Works : Focused on Psychological Sociological Theory
Park, Tai-Sang**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대한민국은 2000년에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드디어 2017년에는 ‘고령사회’로 들어섰다. 박완서는 2011년 작고하기까지 장편소설 20여 편과 단편소설 140여 편을 펴낸 소설가이다. 이중에서 노년의 삶과 서사를 다룬 단편소설로는 1970년대 6편, 1980년대 15편, 1990년대 10편, 그리고 2000년대 11편 등 총 42편으로 박완서의 단편소설 전체의 약 30%를 차지할 정도로 편수가 많다. 박완서의 단편 중에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이후에 창작된 작품인 「그리움에 대하여」(『현대문학』, 2001. 2)를 비롯한 6편을 대상으로 심리학적ㆍ사회학적 노년학이론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해보았다.

박완서 문학에서 독자의 입장에서 흥미로운 것은 질병을 앓고 있는 노년의 여성 화자를 등장시키면서 여성적 소통방법인 ‘밥과 음식 나눠 먹기’를 소통의 매체로 활용하고 있으며, 소멸과 생성의 상징인 붉은 노을, 불빛, 밝은 톤의 색채감(노란 은행잎이 푸른 잔디 위로 지는 곳, 섹시한 어부가 방금 청정해역에서 낚아 올린 분홍빛 도미, 자지러지게 붉은 단풍 등)을 절묘하게 묘사하고 있는 점, 삶과 죽음의 경계선인 약물(비아그라 vs 양귀비)이나 몸살ㆍ독감ㆍ폐렴 등의 가벼운 질환과 죽음에 이르는 병을 반복해서 병치하는 방법 등을 부각시키고 있는 수사기교가 드러나고 있는 점이다.

여섯 작품을 세밀하게 분석한 결과, 박완서 노년문학의 특징은 크게는 ‘부정적 인식과 소멸하기’를 드러내는 글쓰기와 ‘긍정적 인식과 대안 모색의 글쓰기’로 대별된다. 첫째의 경우, ①세대 간 갈등(「촛불 밝힌 식탁」), ②문화적 갈등과 정체성 혼란(「후남아 밥 먹어라」), ③배제와 편견(「대범한 밥상」), ④상실과 무력감(「그리움을 위하여」), ⑤폭력적인 성적 욕망과 인고의 삶(「친절한 복희씨」), ⑥기억과 망각(「석양을 등에 지고 그림자를 밟다」)의 사회적 문제성을 던져주는 비판의식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둘째, 작가 박완서는 노년문학을 통해 삭막한 사회현실에 대한 비판에만 몰두하지 않고 노년의 ‘모범적인 노후설계’(「촛불 밝힌 식탁」, 89쪽)에 대한 대안도 모색한다. 그러한 방법론으로는 ①황혼의 성숙한 통찰을 통한 자아의 정체성 획득, 즉 실존성 확보, ②관계 단절과 소외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관계 맺기와 손잡기’라는 소통의 방안 추구, ③자연과의 친화성을 통한 생태학적 인식, ④모성적 생명력의 한계와 상생 도모, 즉 ‘순응과 상생’의 세계관 모색 등이 제시되고 있다.

2000년대에 주로 출간된 박완서 노년문학은 이전의 ‘망각과 기억하기’를 토대로 한 ‘회상과 분노의 글쓰기(증언하기)’를 벗어나 ‘거듭된 회상의 글쓰기’ 단계에서 ‘포용의 글쓰기’를 거쳐 ‘상생의 글쓰기’로 지평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Abstract

Applying the methodology of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theories of the elderly to six episodes including “About the longing” (“Modern Literature”, 2001. 2), a piece created after entering the aging society of Park Wan-seo's short stories.

In Park Wan-seo's literature, it is interesting to see the female speaker of old age who is suffering from illness while using the communication method of “sharing rice and food”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The red glow, the symbol of extinction and creation, A bright tone of color (yellow ginkgo leaves on green grass, sexy fisherman just pink sea breams caught in the clean waters, red leaves of chestnuts, etc.), drugs (Viagra vs. poppy ), And mild illnesses such as body aches, flu and pneumonia, and how to repeatedly juxtapose diseases that lead to dea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x works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Park Wan - seo's old aging literature are largely divided into writing that reveals ‘negative perception and annihilation’ and ‘writing of positive perception and alternative seeking’. In the first case, there are two types of conflicts: ① intergenerational conflict (“candle-lit dining table”), ② cultural conflict and identity confusion (“eat rice, Hunam”), ③ exclusion and prejudice (“About the longing”), ⑤ a violent sexual desire and a life of perseverance (“friendly Bokuhe”), and ⑥ a sense of criticism that throws the social problem of memory and oblivion (“stepping on the sun at sunset”).

But secondly, the author, Park Wan-seo, does not concentrate only on the criticism of the social reality, but also finds alternatives to the “exemplary old aging design” (“Candle-lit dining table”, p.89.) Such methodologies include ① acquisition of the identity of the self through the mature insights of twilight, ② securing of existence, that is, seek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and catching up” to overcome the disconnection and alienation, ③ the affinity with nature And ecological awareness through the use of the word “ecology”, and ④ the limits of maternal vitality and the pursuit of coexistence, that is, seeking a world view of ‘adaptation and coexistence’.


Keywords: Aged society, Park Wan-seo's old aging literature, negative perception and annihilation, positive perception and alternative seeking, old aging Literature, Writing of Hatch, Psychological Theory of Gerontology, The development task theory of the Havinghurst, Sociological Theory of Gerontology, Activity theory, Sustain theory, Life course theory, Healthy aging, Perform various social roles, Securing existence, acquiring peace of mind, Writing a Mutual Life, exemplary old aging design, Ecological perception through affinity with nature
키워드: 고령사회, 박완서의 노년소설, 부정적 인식과 소멸하기, 긍정적 인식과 대안 모색, 포용의 글쓰기, 노년문학, 심리학적 노년학 이론, 해빙허스트 발달과업이론, 사회학적 노년학 이론, 활동이론, 지속이론, 생애과정이론, 건강한 노화, 다양한 사회적 역할 수행, 실존성 확보, 마음의 평화 획득, 상생의 글쓰기, 모범적 노후설계, 자연과의 친화성을 통한 생태학적 인식

Acknowledgments

* 상기 논문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2018년도 2분기 학술연구비> 지원금으로 연구되었음을 밝혀둔다.


References 1. 작품텍스트
1. 박완서 외 여성작가 17인 신작소설, 『촛불 밝힌 식탁』, 동아일보사, 2005.
2. 박완서, 『친절한 복희씨』, 문학동네, 2007.
3. 박완서, 「석양을 등에 지고 그림자를 밟다」, 『기나긴 하루』, 문학동네, 2012.

2. 연구 논저
4. 간호옥, 「현대소설에 나타난 노인부양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사업적 접근-박완서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제11호, 강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1.
5. 김두섭 편, 『변화하는 노인의 삶과 노인복지』, 한양대출판부, 2001.
6. 김미숙 외, 『고령화사회의 사회경제적 문제와 정책대응방안 –OECD 국가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7. 김미영, 「한국 노년기 작가들의 노년소설 연구 –최일남, 박완서, 이청준, 홍상화, 김원일의 작품을 중심으로」, 『어문논총』 제 64호, 2015.
8. 김미영, 「소설에서의 치매 서사의 수용」, 국어문학제63호, 국어문학회, 2016.
9. 김미현, 「이 노년을 보라」, 문학과 의학 7호, 문학의학학회, 2014. 2.
10. 김병익, 「험한 세상, 그리움으로 돌아가기-박완서의 『친절한 복희씨』」, 박완서, 『친절한 복희씨』, 문학과 지성사, 2009.
11. 김보민, 「노년소설에 나타난 노년의 성 –김원일, 박완서, 한승원 작품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제8권 제3호, 2017.
12. 김영택ㆍ신현순, 「박완서 노년 소설 연구-동거자와 여성 노인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제68집, 2011.
13. 김윤식ㆍ김미현 엮음, 『소설, 노인을 말하다』, 황금가지, 2004.
14. 김수영, 모선희, 원영희, 최희경, 『노년사회학』, 학지사, 2009.
15. 김윤정, 『박완서 소설의 젠더의식 연구-수행성을 중심으로』(이화여대 박사학위 논문, 2012).
16. 김윤정, 『박완서 소설의 젠더의식 연구』, 역락, 2013.
17. 김은정, 「현대소설에 나타난 ‘치매’의 의미」, 한민족어문학제63호, 한민족어문학회, 2013.
18. 김은정, 「박완서 노년소설에 나타나는 질병의 의미」,한국문학논총제70호, 한국 문학연구회, 2015.
19. 김형석, 『백년을 살아보니』, Denstory, 2016.
20. 남미영, 『한국 현대 성장소설 연구』(숙명여대 박사학위 논문, 1991).
21. 박산향, 「박완서 소설의 치매 서사와 가족 갈등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제 19권 제2호, 2018년.
22. 박성혜, 「박완서 단편소설에 나타난 노년의 삶과 서사」, 한국문화기술제15호,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3.
23. 박재간 편, 『고령화사회와 노인복지의 과제』, 푸른북, 2003.
24. 박창제 외, 『복지국가의 고령자 보건의료정책』, 공동체, 2008.
25. 박혜란, 『다시, 나이듦에 대하여』, 웅진지식하우스, 2010.
26. 백지연, 「황혼의 삶을 향한 따뜻한 시선」, 『동서문학』, 1999년 봄호.
27. 송명희, 「노년 담론의 소설적 형상화 -박완서의 「마른꽃」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3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2.
28. 엄미옥, 「고령화사회의 문학-‘치매’를 다룬 소설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제 24-1호, 대중서사학회, 2018.
29. 오준심・김승용,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노인에 대한 가족부양 갈등 연구」, 한국노년학제29-4호. 한국노년학회, 2009.
30. 우현주, 「박완서 소설의 환대 양상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1. 유남옥, 「풍자와 연민의 이중성」, 『어문논총』 5, 숙명여자대학교, 1995.
32. 이경란, 「노년은 타자이기만 한 것인가 : 여성 노년소설의 노년과 성숙」, 『젠더 하기와 타자의 형상화』, 이화인문과학원 편, 2011.
33. 이재선, 『현대한국소설사』(1945~1990), 민음사, 1991.
34. 이희경, 『박완서를 읽다』, 도어즈, 2016.
35. 전흥남, 「박완서 노년 소설의 담론 특성과 문학적 함의」, 『국어문학』 제42집, 국어문학회, 2007. 1.
36. 전흥남, 「박완서 노년 소설의 시학과 문학적 함의(Ⅱ)」, 『국어문학』 제49집, 국어문학회, 2010. 8.
37. 정미숙, 유제분, 「박완서 노년 소설의 젠더시학」, 『한국문학논총』 제54집, 2010.4.
38. 정진웅, 『노년의 문화인류학』, 한울아카데미, 2006.
39. 조성남, 『에이지붐 시대–고령화 사회의 미래와 도전』, 이화여대 출판부, 2004.
40. 최명숙, 『한국 현대 노년소설연구』(경원대 박사학위 논문, 2005).
41. 최성재ㆍ장인협, 『노인복지학』(제2개정판), 서울대출판부, 2006.
42. 현외성, 『노인복지학 신론』, 양서원, 2010.
43. 홍숙자, 「노년학개론」, 하우, 1999.
44. 한림대 고령사회연구소 편, 『고령사회의 이해 –노년과 사회』, 소화, 2010.
45. 시몬 드 보부아르, 『노년 -나이듦의 의미와 그 위대함』, 홍상희, 박혜영 옮김, 책세상, 2002.
46. 폴 어빙 엮음, 『글로벌 고령화 위기인가 기회인가』, 김선영옮김, 아날로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