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2, pp. 123-151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15 Nov 2018 Revised 13 Dec 2018 Accepted 14 Dec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12.72.123

『무정』에서의 숭고와 욕망의 문제
박진영*
*고려대 기초교육원 초빙교수

The question of sublime and desire appeared in Moo Jeong
Park, Jin-Young*

초록

이광수의 『무정』은 근대형성기 세속화의 흐름을 배경으로, 문명진화의 이상을 향한 염원과 개인의 사적 욕망 간의 갈등을 재현하고 있는 텍스트이다. 이 글은 『무정』의 독특한 이중성, 애정서사에 기반한 대중적인 통속성과 민족구원을 위한 자기희생의 숭고미의 공존에 주목하였다. 전근대성과 근대성이 혼재하는 『무정』의 서사적 상황에서 숭고에의 지향과 세속적인 것의 공존이야말로 『무정』이 갖는 근대성을 적실히 표현해준다고 할 수 있다.

칸트에 의하면 숭고는 우리가 평소 배려하는 재산, 건강, 생명과 같은 일상의 가치를 사소한 것으로 만들어버리는 정신적 관념체로, 무한이라는 이념을 감지하는 인간의 마음에 존재한다. 『무정』의 형식·영채는 자기희생의 대가를 치르더라도 고결한 정신성을 입증하려는 인물이며, 외부 명령에 구속되지 않는 근대적 자아의 각성은 과거와 절연하고 새롭게 전신(轉身)하는 고양의 언술로 채워진다. 『무정』에서의 “무정한 세상”을 “유정하게” 만들고 잠자던 “속사람”이 깨어 “참생활”을 하는 계기는 숭고함에의 열망을 동력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이광수는 영채의 몸값 “천 원”을 통해 금력이 지배하는 근대적 세계의 단면을 무정한 것으로 그린다. 영채는 평양에 갈 여비 “오 원”이 없어 울지만, 역시 “오 원”이 없어 이를 빌리려던 형식은 결국 김장로의 돈과 지위를 선택한다. 물질과 부의 증대는 문명의 발전과정에 있어 필수적이며, 세속화 또한 전근대적 봉건사회에서 근대세계로 진입하는 과정의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이 글은 『무정』에서 돈과 욕망을 중심으로 한 세속화의 흐름과, 문명진화를 향한 민족계몽의 이상이 어떻게 접합 및 결렬되는지 그 구체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Abstract

Lee Kwang-Soo’s Moo Jeong is readable in relation to secularization in the modern period. This novel reproduces the conflict between the cause of self-immolation and individual personal desires. This paper analyses the coexistence of popular and sublime appeared in Moo Jeong. It is mixed with its former age and modernity in the narrative of Moo Jeong. Also, Moo Jeong well expresses coexistence of the pursuit of sublime and secular things in the modernness of the novel. Kant explains that the sublime is a psychological entity that turns daily values into trivial. It exists in the human mind to detect the idea of infinity. Lee Hyung-Sik and Park Young-Chae try to prove their high spirituality. The narrative is characteristic of the art of speaking that encourages the awakening of the ethnic ideals of civilization and of modern self. A commitment to modern times leads to an anxiety for nobility.

However, Lee Kwang-Soo describes the modern secular world, where the influence of money dominates, as ruthless through Young-chae’s ransom of 1,000 won. The author understands modernity as the direction to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through the growth of material and wealth. After all, secularization is the natural flow of the process of moving from pre-modern feudal society into the modern world. This paper analyses how both specific aspects of the secularization flow of money and desire and the ideal of enlightenment toward the evolution of civilization, are combined and broken, in the novel.


Keywords: Lee Kwang-Soo, Moo Jeong, Sublime, Secularization, Money, Desire
키워드: 이광수, 무정, 숭고, 세속화, , 욕망

References 1. 기본자료
1. 이광수, 『무정』, 문학과지성사, 2005.

2. 논문 및 단행본
2. 김지영, 「『무정』에 나타난 ‘사랑’과 ‘주체’의 근대성」,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6, 한묵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5.3.
3. 김종대, 「칸트의 숭고미에 대해」, 『외국문학연구』 53,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4. 김행숙, 「이광수의 감정론」, 『상허학보』 33집, 상허학회, 2011.10.
5. 박상준, 「『무정』의 계몽주의 재고」, 『동남어문논집』 38, 동남어문학회, 2014.
6. 박헌호 편, 『센티멘탈 이광수―감성과 이데올로기』, 소명출판, 2013.
7. 서영채, 「‘무정’ 연구」, 서울대 석사, 1992.
8. 서영채, 『사랑의 문법: 이광수, 염상섭, 이상』, 민음사, 2004.
9. 서영채, 『아첨의 영웅주의: 최남선과 이광수』, 소명출판, 2011.
10. 손유경, 「1910년대 이광수 소설의 개인과 인류」, 『현대소설연구』 46,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4.
11. 신성환, 「‘무정’의 세 가지 연애담, 이성애와 나르시시즘―‘무정’ 새롭게 다시 읽기의 한 방법」, 『한국언어문화』 62권, 한국언어문화학회, 2017.4.
12. 안성찬, 『숭고의 미학』, 유로서적, 2004.
13. 에드먼드 버크, 김동훈 옮김,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탐구』, 마티, 2006.
14. 오윤호, 「근대 과학지식의 재현과 진화론적 상상력」, 『한민족문화연구』 52, 한민족문화연구회, 2015.12.
15. 이경재, 「이광수의 ‘무정’에 나타난 근대의 부정성에 대한 비판」, 『민족문학사연구』 54, 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16. 이수형, 「이광수 문학에 나타난 감정과 마음의 관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54집,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3.
17. 이수형, 「이광수 문학과 세속화 프로젝트」, 『인문과학연구논총』 38,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2.
18. 이영아, 「이광수 ‘무정’에 나타난 육체의 근대성 고찰」, 『한국학보』 28, 2002.
19. 이철호, 「세속화 이후의 한국문학―기독교, 모더니티, 우주」, 『문학과 사회』 27, 2014.11.
20. 이혜령, 「‘무정’의 그 많은 기생들: 이광수의 민족 공동체 또는 식민지적 평등주의」, 『상허학보』 44집, 상허학회, 2015.6.
21. 정혜영, 「근대를 향한 시선」, 『여성문학연구』 3, 한국여성문학학회, 2000.
22. 한동원, 「칸트 철학의 숭고에 관한 연구」, 『철학』 54집, 한국철학회, 1998.3.
23. 황종연, 「신 없는 자연」, 『상허학보』 36, 상허학회, 2012.10.
24. 게오르그 짐멜, 김덕영·윤미애 옮김, 『짐멜의 모티니티 읽기』, 새물결, 2005.
25. 마샬 버만, 윤호병·이만식 옮김, 『현대성의 경험』, 현대미학사, 2004.
26. 장-뤽 낭시 외, 김예령 옮김, 『숭고에 대하여: 경계의 미학, 미학의 경계』, 문학과지성사, 2005.
27. 하타노 세츠코, 최주한 옮김, 『무정을 읽는다』, 소명출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