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1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1, pp. 321-351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8
Received 25 Aug 2018 Revised 12 Sep 2018 Accepted 14 Sep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9.71.321

이광수의 『재생』에 나타난 재생의 의미
이경재*
*숭실대 국문학과 교수

The meaning of rebirth in Lee Kwang-soo's 『Rebirth』
Lee, Kyung-Jae*

초록

1910년대와 1920년대 이광수 문학은 각각 근대성과 전근대성이라는 말로 구별되고는 하였다. 이 때의 근대성이 주로 개성이나 개인의식과 관련 되었다면, 전근대성은 공동체 의식과 관련되어서 논의되었다. 이 때의 공동체 의식은 주로 조선(민족)과 관련되며, 1920년대 대표작인 『재생』도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많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필자는 『재생』에 나타난 공동체 의식은 민족으로 환원되지 않는 대칭성의 사고와 관련되는 것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재생』은 3.1 운동 이후 비대칭적인 사고에 깊이 침윤된 세상의 모습을 치밀하게 보여준다. 3.1 운동이 실패한 자리에는 ‘소화기(돈)와 생식기(애욕)의 세상’이 펼쳐진다. 『재생』에서 돈은 조선 사회의 주인이라고 할 만큼 그 힘이 강력하며,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인물은 김순영이다. 자본의 배후에 놓여진 교환의 원리는 비대칭성의 세계를 만들어 내는 핵심적인 힘을 지니고 있다. 본래 교환은 증여와는 상반된 작용을 하며 비대칭성의 원리와 깊은 관련을 맺는다. 『재생』에 드러난 사랑도 이기적 애욕에 바탕한 것으로서, 그것 역시 비대칭성의 세계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힘이 된다. 봉구 역시도 두 번째 감옥 체험을 하기 전까지는 순영과 마찬가지로 비대칭적인 사고에 빠져 있는 것으로 형상화된다. 백윤희가 돈의 힘으로 순영을 물건처럼 소유하려고 했다면, 신봉구는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순영을 물건처럼 소유하려고 하는 것이다. 『재생』에서는 3.1 운동과 같은 정치적 활동도 개인적인 욕망이나 이익을 추구하려는 비대칭성에 바탕하고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봉구는 억울한 누명을 쓰고 감옥에서 머물때, 비대칭성의 사고로부터 벗어나 대칭성의 사고를 깨닫는다. 이 때의 감옥은 대칭성의 세계로 진입하는 이니시에이션(initiation)의 장소라고 볼 수 있다. 봉구의 대칭적 사고가 적용되는 범주는 민족을 넘어 인류(‘천하 사람’)의 차원으로 확장되고, 이는 다시 인류애를 넘어 천지 만물의 단계로 나아간다. 이것은 자기라는 존재는 ‘종(種)’으로서의 사회의 일원이자 자연의 일원이며, 우주 속의 미미한 일원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는 대칭성의 사고와 그대로 일치하는 것이다. 봉구가 감옥을 나와 농촌인 금곡에서 농민들을 위해 헌신하는 것은 자신이 깨달은 대칭성 사고를 실천하는 일에 해당한다. 봉구를 통해 작가가 지향하는 대칭성의 사고가 드러났다면, 『재생』의 또 다른 주인공인 순영을 통해서는 작가가 부정하는 비대칭성의 사고가 드러난다. 이광수는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비대칭적인 사고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 순영에게 비참한 삶과 죽음을 선사함으로써, 비대칭적 세계에 대한 부정적 의식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Abstract

In the 1910s and 1920s, Lee Kwang-soo's literature was distinguished by the words modernity and premodernity. If modernity at this time was mainly concerned with personality or individual consciousness, premodernity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community consciousness. The sense of community at this time was mainly related to Joseon(nation), 『Rebirth』 was discussed in a similar way. I wanted to understand that the sense of community displayed in the 『Rebirth』 relates to the idea of symmetry that is not returned to the nation. 『Rebirth』 shows the world deeply affected by asymmetrical thinking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The money is so powerful that it is the owner of Joseon society, and Kim Soon-young is the person who best represents it. The principle of exchange behind capital has a core power that creates an asymmetric world. The original exchange works in contrast to the gift giving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principle of asymmetry. The love shown in 『Rebirth』 is also based on selfish desires, which also serve as an important force in creating an asymmetric world. Bonggu is also portrayed as being in an asymmetrical state of mind, just like Soon-young, until his second prison experience. If Baek Yoon-hee tried to own Soon-young like a thing with the power of money, Shin Bong-gu tries to own Soon-young like a thing in the name of love. In 『Rebirth』, political activities such as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re also portrayed as based on asymmetry of personal desires or interests. When Bonggu stays in prison with a false charge, he realizes the idea of symmetry away from asymmetry. The prison at this time can be seen as a place of initiations entering a world of symmetry. The category, which applies Bonggu's symmetrical thinking, extends beyond the race to the human level, and goes beyond human to the stage of universal existence. This is in line with the idea of symmetry that the existence of self is a member of society as a species and a member of nature and has meaning as a small member in the universe. Bonggu left the prison and devoted himself to the farmers in the rural practicing the symmetry he realized. If the idea of symmetry that the writer pursues is revealed through Bonggu, the writer's denial of asymmetry is revealed through Sunyoung, another protagonist of 『Rebirth』. Lee Kwang-soo clearly reveals his negative sense of the asymmetrical world by giving Soon-young a miserable life and death.


Keywords: Lee Kwangsoo, 『Rebirth』, Symmetry, bestowal, exchange, pure bestowal, community
키워드: 이광수, 『재생』, 대칭성, 증여, 교환, 순수증여, 공동체

References

1. 기초자료
1. 이광수, 「『재생』 作者의 말」, 『동아일보』, 1924.11.8.
2. 이광수, 「余의 作家的 態度」, 『동광』, 1931.4.
3. 이광수, 「재생」, 『한국의 근대성 소설집』, 문성환 엮음, 북드라망, 2016.

2. 논문 및 단행본
4. 강헌국, 「계몽과 사랑, 그 불편한 관계에 대하여 - 「개척자」와 「재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61집, 2013.12, 120면.
5. 권보드래, 「3·1 운동과 ‘개조’의 후예들-식민지시기 후일담 소설의 계보」, 『민족문학사연구』 58권. 2015년 가을, 236면.
6. 김경미, 「이광수 연애소설의 서사전략과 민족담론-『재생』과 『사랑』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57집, 2012년 겨울, 5면.
7. 김기진, 『김팔봉문학전집1』, 문학과지성사, 1988, 116-119면.
8. 김동인, 「춘원연구」, 『김동인 전집』 16권, 조선일보사, 1988, 84-94면.
9. 김병구, 「이광수 장편소설 『재생』의 정치 시학적 특성 연구」, 『국어문학』 54집, 2013.3, 187면.
10.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3』, 한길사, 1986, 821면.
11. 김현주, 「이광수의 문화적 파시즘」, 『문학 속의 파시즘』, 삼인, 2003, 100면.
12. 류수연, 「타락한 ‘누이’, 그리고 연애서사」, 『구보학보』 13집, 2015, 242면.
13. 박혜경, 「계몽의 딜레마:이광수의 「재생」과 「그 여자의 일생」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46집, 317면.
14. 서여진, 「『재생』에 나타난 『장한몽』의 구조」, 『춘원연구학보』 5집, 2012, 305-329면.
15. 서영채, 「이광수, 근대성의 윤리」, 『한국근대문학연구』 19호, 2009.4., 156면.
16. 서영채, 「자기희생의 구조-이광수의 『재생』과 오자키 고요의 『금색야차-」, 『민족문화연구』 58호, 2013.2, 207면.
17. 서희원, 「근대의 영웅, 부자의 탄생 - 『재생』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34집, 2014.8, 115면.
18. 신윤주·권혁건, 「나쓰메 소세키의 『풀베개(草枕)』와 이광수의 『재생』 비교연구-주인공의 온천체험을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49집, 2011.2, 287-301면.
19. 윤영옥, 「자유연애, 문화자본, 그리고 젠더의 역학-이광수의 『재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88집, 2014, 244면.
20. 이경재, 「이광수의 『무정』에 나타난 근대의 부정성에 대한 비판」, 『민족문학사연구』 54호, 2014.4, 247-269면.
21. 이수형, 「이광수 문학과 세속화 프로젝트-「무정」과 「재생」의 탈주술화와 재주술화」, 『인문과학연구논총』 38권 1호, 2017.2, 88면.
22. 이행미, 「이광수의 『재생』에 나타난 식민지 가족법의 모순과 이상적 가정의 모색」, 『한국현대문학연구』 50집, 2016.12, 71-107면.
23. 이혜령, 「正史와 情史 사이:3.1운동 후일담의 시작」, 『민족문학사연구』 40권, 2009년 가을, 234면.
24. 정하늬, 「회개와 거듭남, 정결한 지도자 되기 – 이광수의 『재생』론-」, 『현대소설연구』 68호, 2017.12, 479-514면.
25. 정혜영, 「李光洙와 幻影의 近代 文學-『再生』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 10집, 2001.12, 221면.
26. 홍혜원, 「『재생』에 나타난 멜로드라마적 양식」, 『한국근대문학연구』 10호, 한국근대문학회, 2004.10, 64-92면.
27. 三枝壽勝, 「『再生』의 뜻은 무엇인가」, 『동방학지』 83집, 1994, 212면.
28. 中沢新一, 『대칭성 인류학』, 김옥희 역, 동아시아, 2005.
29. 中沢新一, 『사랑과 경제의 로고스』, 김옥희 역, 동아시아, 2004.
30. Levi Strauss, Claude, 『야생의 사고』, 안정남 역, 한길사, 1996, 91면.
31. Pecheux, M, trans. Harbans Nagpal, Language, Semantics, and Ideology, Macmillan, 1982, pp.36-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