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1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1, pp. 5-31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8
Received 30 Jul 2018 Revised 12 Sep 2018 Accepted 14 Sep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9.71.5

독자로서의 작가 : 최인훈 『화두』의 문학독서 현상학
김근호**
**전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The Author as a Reader : phenomenology of literary reading in Choi In-hoon’s “Whadoo
Kim, Keun-Ho**

초록

최인훈의 『화두』는 독서에 관한 소설이다. 압도적으로 서사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주인공의 독서행위는 작품의 주제 해석을 위한 중요한 단서가 된다. 특히 『화두』에서는 문학 독서가 비문학 독서와 다른 성격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그 비중이 상대적으로 막대하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런 점에서 『화두』에 형상화된 문학 독서의 참된 의미를 깊이 해석할 필요가 있다.

『화두』의 주인공은 자신의 독서와 창작이 갖는 근본적인 가치를 ‘문학사의식’에서 찾고 있다. 문학사의식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선배 작가들의 문학작품을 깊이 독서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그것은 미적 전유의 태도로 드러난다. 작품에서 그러한 독서행위는 근본적으로 타자로 빙의하고 환생하는 체험으로 서사화되는바, 주인공은 그 과정에서 느끼는 감정을 ‘열락’이라고 거듭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열락의 독서는 궁극적으로 윤리성을 지닌다고 해석할 수 있다. 나아가 선배 작가와 그의 작품을 독자 자신에게 빌려 와 자신을 해방시키는 체험이 독서의 열락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그것은 정체성과 주체성의 통합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즉 『화두』의 문학독서가 갖는 궁극적인 의미는 정체성과 주체성의 통합이고 화해로운 조화인 것이다.

최인훈은 『화두』를 통해 소설 독서의 한 가지 좋은 모델을 구축해놓았다. 즉 『화두』는 작가(인물)와 독자가 둘이되 하나이고 그렇지만 결코 하나가 아니라 둘이면서 스스로 다름을 찾아나가는 소설 독서의 모델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화두』는 작가 최인훈이 한 사람의 독자로서 문학 독서의 윤리성과 함께 문학사적 이정표를 주체적으로 모색해나간 결과물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Abstract

Choi In-hoon’s “Whadoo” is a novel about reading. The main actor’s reading act overwhelmingly occupying a large part of the narrative is an important clue to interpret the theme of “Whadoo”. Especially, “Whadoo” is important not only because literary reading is different from other non-literary reading, but also because it is relatively large.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deeply interpret the true meaning of literary reading shaped in “Whadoo”.

The main character in “Whadoo” is looking for the fundamental value of his so-called reading and creative work in ‘literary history consciousness’. As a way of literary practice, the main character shows deeply reading literature of senior authors. This can be the attitude of aesthetic appropriation. Such a reading activity is basically formed as an experience of possession and reincarnation. The main character repeatedly defines the feelings in the process as a ‘delight’. This kind of reading has ultimately an ethical value. Furthermore, since the experience of liberating himself to borrow senior authors and his works is the delight of reading, ultimately it has the meaning of integration of identity and subjectivity. The ultimate meaning of literary reading in “Whadoo” is the union of identity and subjectivity and reconciliatory harmony.

Choi In-hoon had built a good model of how to read novels through “Whadoo”. He made the model of reading novel proving that writer(character) and reader are not one but two, and the reader pursuit himself different subject. This novel shows that Choi In-hoon, as a reader, sought the milestone of literary history in addition to the ethics of literary reading.


Keywords: Choi In-hoon, Whadoo, reader, literary reading, literary history consciousness, aesthetic appropriation, delight, ethics, identity, subjectivity
키워드: 최인훈, 화두, 독자, 문학 독서, 문학사의식, 미적 전유, 열락, 윤리, 정체성, 주체성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제53회 한국현대소설학회 전국학술대회(2018년 5월 26일, 경희대학교)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당시 학술대회에서 토론을 맡아 논문의 구상을 보완하는 데 도움을 준 김경은 선생(서울대학교)께 감사드린다.


References

1. 기본자료
1. 최인훈, 『화두』(1권/2권), 문학과지성사, 2008.

2. 단행본
2. 강영안, 『주체는 죽었는가』, 문예출판사, 1996.
3. 김인호, 『해체와 저항의 서사: 최인훈과 그의 문학』, 문학과지성사, 2004.
4. 연남경, 『최인훈의 자기 반영적 글쓰기』, 혜안, 2012.
5. 정영훈, 『최인훈 소설의 주체성과 글쓰기』, 태학사, 2008.
6. H. 포터 애벗, 우찬제 외 역, 『서사학 강의』, 문학과지성사, 2010.
7. R. G. 콜링우드, 김혜련 역, 『상상과 표현: 예술의 철학적 원리』, 고려원, 1996.
8. 뤼시앙 골드만, 조경숙 역, 『소설사회학을 위하여』, 청하, 1982.
9. 자크 랑시에르, 양창렬 역,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전면개정판)』, 길, 2013.
10. 폴 리쾨르, 박병수·남기영 편역, 『텍스트에서 행동으로』, 아카넷, 2002.

3. 논문 및 기타
11. 권성우,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책과 독서에 대하여」, 『우리文學硏究』제49집, 우리문학회, 2016, 199-228면.
12. 손유경, 「혁명과 문장」, 『민족문학사연구』제63권, 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323-347면.
13. 윤지관, 「상품인가 물건인가: 국가경쟁력과 민족문학」, 『창작과비평』, 1994 여름호, 50-69면.
14. 정미지, 「『화두』의 자전적 글쓰기와 ‘책-자아’의 존재 방식」,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55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2, 203-221면.
15. 정호웅, 「최인훈의 <화두>와 일제 강점기 한국문학: <낙동강>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제45호, 한중인문학회, 2014, 179-202면.
16. 정호웅, 「최인훈 문학과 한국현대문학의 타자들」, 『우리말글학회』제68집, 우리말글학회, 2016, 439-46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