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0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0, pp. 369-393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8
Received 07 Jun 2018 Reviewed 15 Jun 2018 Accepted 15 Jun 2018 Revised 26 Jun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6.70.369

초기 광주항쟁 소설 「깃발」 연구 : 초점화 양상을 중심으로
채희윤*
*광주여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Study on the Early ‘May novel’ of 「Flag」 : Through the Focalization Mode of 「Flag」
Chae, Hee-Yoon*

Copyright Ⓒ 2018

초록

본고는 ‘5월 문학’에 대한 언급 때마다 항상 앞에 놓이는 홍희담의 「깃발」의 연구이다. 이 작품은 그 문학적 평가에 있어서, 텍스트의 예술적 형상화와 문학의 사회적 기능과 관련되어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킬 정도로 상반되고 있다. 「깃발」의 이러한 대립된 관점을 보다 객관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텍스트의 서사 기법 분석을 통해서, 이 소설의 목적과 지향성을 점검하고 그 소설적 성취를 살펴보았다.

「깃발」은 중요 기법은 초점화 양상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났다. 소설 내부의 인물들에게 초점을-내부초점- 맞추고, 서술자의 시선이 주·부인들 모두에게로 옮아가는-가변 초점- 기법을 활용한 복수서술자들의 교차서술이 그것이다. 「깃발」에 있어서, 홍희담은 그의 인물들 모두가 ‘5월 항쟁’이 역사적 사실이며, 그 의미를 이해하고 있었다는 사실의 공포를 목적으로 삼았으며, 그것을 성공적으로 성취시킬 수 있는 기법이 교차서술이라는 것을 확신하고 있었다. 이 작품의 발표 당시 사회 정치적 상황, 무모할 정도로 횡행하는 신군부의 ‘5월 항쟁’의 음모론과 언론의 등화관제에 의해서 ‘광주항쟁’의 진상이 왜곡되어 유포되는 상황이었다. 그러므로 일인칭 고백체나 다른 자기 서술의 위험을 피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물들의 다양한 초점 변화는 효과적이었을 것이다. 특히, 항쟁을 직접 체험한 작가의 내적 트라우마 극복과 ‘5월 항쟁’의 진정한 면모를 드러내기에는 가변초점을 이용한 교차서술은 작가가 선택할 수 있는 최적의 서술기법이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들이 앞으로 ‘5월 문학’의 개념들을 정교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며 차후에 진행하겠다.

Abstract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pattern of focalization of 「Flag」. This work is known as the most controversial work in ‘May Literature’. Even to present day, 「Flag」 has conflicting evaluations on the purpose and functionality of literature. In this situation, I would like to analyze the epic technique of text to examine it more objectively. Because I believe this is an effective method to examine the purpose and orientation of a narrative text.

In my opinion, 「Flag」 was using a very peculiar focalization pattern. First, it focuses on the characters inside the novel (internal focalization). Second, the narrator uses a focalization technique that moves the perspective freely (variable focalization) Such a focalization technique is a narrative strategy that tries to utilize the cross-narrating of characters, in the long run. In this work, Hong, Hee-dam tries to get all of his characters to testify that the ‘May uprising’ is a historical fact. And, she also wanted to declare the grief of the victims of the ‘May Uprising’. The author believed that the most effective way to achieve her goal was cross-narrating.

Until now, we did not have the academic definition of ‘May Literature’. Therefore, we should quickly establish the categorical concept of ‘May Literature’. For this reason, we need to study ‘May literature’ in a more diverse methodology.


Keywords: May Uprising, cross-narrative, fixed focalization, May Literature, mixed description, narrative device
키워드: 5월 항쟁, 교차서술, 고정 초점화, 오월문학, 내적 초점화

참고문헌

1. 연구 작품
1. 홍희담, 「깃발」(1988년), 『5월문학총서 2』, 518기념재단, 2012, 11-404면.

2. 단행본
2. 고 은, 『발간사』, 「5월문학총서 1」, 518기념재단, 2012, 04-510면.
3. 박찬부, 『에로스와 죽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xii-422면.
4. 한 강, 『소년이 온다』, 창비, 2014.
5. 한국소설학회,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한국소설학회 편 새문사, 1996, 291면.
6. G. 아감벤, 김항 역, 『예외상태』, 새물결출판사, 2009, 13-192면.
7. G. 프랭스, 최상규 역, 『서사학』, 문학과 지성사, 1988, 11-254면.
8. H. 포터 애벗, 우찬제 역, 『서사학 강의』, 문학과 지성사, 2010, 05-464면.
9. M. 발, 한용환 역, 『서사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99, 05-294면.
10. R. 인가르덴, 이동승 역, 『문학예술작품』,민음사, 1989, 05-465면.
11. R. 부르뇌프/ 레알 월레 고정/ 김화영 편역. 『현대소설론』,문학사상사, 1990, 13-368면.
12. S. 리몬-케넌, 『소설의 시학』, 문학과지성사, 1988, 11-228면.
13. S. 스나이더 랜서, 『시점의 시학』, 김형민 역, 좋은날, 07-300면.
14. S. 채트먼, 김경수 역,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15-341면.
15. F. Jameson, Maxism and Form: Twentieth-Century Dialectical Theories of Literature. Princeton Univ. Press, 1971, xix-432p.
16. Gerard Genette, Narrative Discourse, trans, Jane. E. Lewin, New York. Cornell UP, 1980, 05-285p.
17. J. Culler, Literary Theory, New York. Oxford U.P, 1997, 01-145p.

3. 논문
18. 김동춘, 「5·18, 6월항쟁 그리고 정치적 민주화」, 『5·18민중항쟁과 정치·역사·사회』 V.5. 5·18기념재단, 2006, 15-654면.
19. 김영삼, 「이중적 예외상태로서의 5·18과 민중·민족문학 담론」, 『현대문학이론연구』, 71집, 2017, 65-99면.
20. 김태현, 「광주민주항쟁과 문학」, 『518 민중항쟁과 문화·예술 1』, 518기념재단, 2006, 11-541면.
21. 김형중, 「『봄날』 이후」, 『518 민중항쟁과 문화·예술 1』, 518기념재단, 2006, 11-541면.
22. 방민호, 「광주항쟁의 소설화」, 『518 민중항쟁과 문화·예술 1』, 518기념재단, 2006, 11-541면.
23. 백지연, 「가능한 미래’를 성찰하는 문학」, 『창작과비평』, 43권 2호, 2015년, 15-31면.
24. 이가야·이주영, 「제노사이드와 예외상태의 인간, 그리고 증언: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고통』과 최윤의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를 중심으로」, 『불어불문학연구』 96호, 129-158면.
25. 이강은, 「광주민중항쟁에 대한 소시민적 문학관을 비판한다」, 『518 민중항쟁과 문화·예술1』, 518기념재단, 2006, 11-541면.
26. 이성욱, 「오래 지속될 미래, 단절되지 않는 ‘광주’의 꿈–광주민주항쟁의 문학적 형상화에 대하여」, 『518 민중항쟁과 문화·예술1』, 518기념재단, 2013, 11-541면.
27. 이종호, 「이무영〈農民〉의 서사 전략 연구」, 『 한민족문화연구』, 18권, 2006, 307-334면.
28. 이호, 「시점과 작가의 의도」,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한국소설학회 편 새문사, 1996, 291면.
29. 이황직, 「‘5월 시’의 사회적 형성」, 『518 민중항쟁과 문화·예술1』, 518기념재단, 2006, 11-541면.
30. 장성규, 「1980년대 논픽션 양식과 소설 개념의 재편 과정 연구」, 『민족문학사연구』 54권, 2014, 63-80면.
31. 정명중, 「‘5월’의 재구성과 의미화 방식에 대한 연구」, 『518 민중항쟁과 문화·예술1』, 518기념재단, 2006, 11-541면.
32. 채희윤, 「조선작 최인호의 유소년 연구」, 『 한국언어문학』 제99집, 2016, 387-421면.
33. 최원식, 「광주항쟁의 소설화」, 『창작과 비평』, 1988, 여름호, 286-29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