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0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0, pp. 267-312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8
Received 20 Jan 2018 Reviewed 28 May 2018 Accepted 15 Jun 2018 Revised 26 Jun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6.70.267

본처의 관점에서 본 한국 근대 서사
전봉관*
*KAIST 인문사회과학부 교수

A Study on Korean Modern Narr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gal Wives
Jun, Bong-Gwan*

Copyright Ⓒ 2018

초록

한국 근대 소설에서는 조혼한 기혼 남성이 주도적인 인물로 등장하는 서사가 적지 않다. 서사에 등장하는 조혼한 기혼 남성들은 흔히 아내 아닌 다른 여성과 이상적 사랑을 추구하는데, 이러한 인물 유형은 한국 근대 소설의 주요한 서사적 특징이라 할 만하다. 한국 근대 서사에서 조혼한 기혼 남성은 아내 아닌 다른 여성과 사랑을 추구하면서도 아내에게 죄의식을 느끼거나 스스로 나쁜 행위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더 나아가 그 행위의 법적 윤리적 정당성을 적극적으로 옹호한다. 심지어는 그것이 봉건적 인습을 타파하기 위한 진보적이고 바람직한 행위라고 항변하기도 한다.

그에 반해 조혼한 기혼 남성의 아내는 남편의 사랑을 가로막는 장애물로서 서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서사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드물고, 서사의 표면에 전혀 등장하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다. 또한 조혼한 기혼 남성이 다른 여성을 사랑하는 것이 법적, 윤리적으로 정당한가의 판단에서 아내의 처지는 전혀 고려되지 않는다. 그러한 의미에서 한국 근대 서사에서 조혼한 아내는 투명인간 같은 존재였다.

본 논문은 염상섭의 「만세전」, 『삼대』, 이기영의 『고향』, 채만식의 「과도기」 등의 서사 구조를 본처의 관점에서 다시 읽음으로써 일제강점기 한국 근대 소설에서 조혼한 구여성 본처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자유연애에 관한 연구들은 한국 사회에 자유연애가 이식되는 과정을 전통적 가치들과 근대적·서구적 가치의 충돌과 투쟁이라는 관점에서 주로 설명해 왔다. 하지만 구여성 본처와 같은 소외된 존재에 주목하면, 한국 근대의 자유연애는 지향해야 할 근대적인 문화일 뿐 아니라 그 자체가 남성중심주의와 봉건적 폭력성을 함축하고 있었음이 드러난다.

Abstract

Not a few heroes and main characters in Korean modern novels were married men who were victims of the pre-modern custom of early marriage. They usually sought ideal love with a “new woman” who was not their wife. In doing so, they did not feel guilty to their wife, or think they were having an affair. They also actively advocated a legal and moral justification of their affairs and even protested that they were engaging in progressive and desirable acts to resist the feudal conventions. This type of characters can be classified as one of the noticeable features of Korean modern novels.

On the other hand, their wives were described as passive characters and did not appear on the surface of the narratives in many novels, despite that they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narratives as an obstacle to their husband’s love. When their husbands agonized over the legal and moral justification for loving other women, their predicaments we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at all. In this sense, the wives who were victims of early marriage in Korean modern novels were essentially invisible.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the legal wives who were victims of early marriage through rereading Korean modern novels such as Yeom Sang-seop’s Mansejeon (Before the March 1st Movement), Samdae (The Three Generations), Lee Gi-yeong’s Gohyang (Hometown), and Chae Man-sik’s Gwadogi (The Transitional Period). Previous studies have explained the transplantation of free love in colonial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flicts and struggles of values between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Eastern and Western, etc. Focusing on the specific aspect of “the old-fashioned women” wives , however, it was found that free love in colonial Korea was not just an unfamiliar aspect of modern cultures but was itself implicated in androcentrism and feudal violence.


Keywords: early marriage, old-fashioned woman, legal wife, Yeom Sang-seop, Lee Gi-yeong, Chae Man-sik, Mansejeon, Samdae, Gohyang, Gwadogi
키워드: 조혼, 구여성, 본처, 염상섭, 이기영, 채만식, 「만세전」, 『삼대』, 『고향』, 「과도기」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1. 강경애, 「어머니와 딸」, 이상경 편, 『강경애 전집』, 소명출판, 1999.
2. 심훈, 『직녀성』, 김종욱, 박정희 편, 『심훈 전집』 제3,4권, 2016.
3. 염상섭, 「만세전」, 김경수 편, 『염상섭 중편선: 만세전』, 문학과지성사, 2005.
4. 염상섭, 『무화과』, 류보선 편, 『한국소설문학대계』 제6권, 1995.
5. 염상섭, 『삼대』, 문학사상사, 1986.
6. 이광수, 「무정」(단편), 『이광수 전집』 제1권, 삼중당, 1971.
7. 이광수, 「소년의 비애」, 『이광수 전집』 제8권, 삼중당, 1971.
8. 이광수, 「어린 벗에게」, 『이광수 전집』 제8권, 삼중당, 1971.
9. 이기영, 『고향』, 풀빛, 1989.
10. 전영택, 「혜선의 사」, 『창조』 창간호, 1919.
11. 채만식, 「과도기」, 『채만식 전집』 제5권, 창작사, 1987.

2. 단행본
12. 김경일, 『근대의 가족, 근대의 결혼』, 푸른역사, 2012.
13. 전봉관, 『경성고민상담소』, 민음사, 2014.

3. 논문
14. 김두헌, 「조선의 조혼과 그 기원에 대한 일 고찰」, 『진단학보』 제2호, 1935, 46-86면.
15. 김병구, 「염상섭 소설의 탈식민성」, 『현대소설연구』 제18호, 2003, 173-195면.
16. 김정숙, 「이기영의 『고향』에 나타난 인물의 행위항적 구도」, 『어문론집』 제26호, 1998, 209-223면.
17. 소현숙, 「강요된 ‘자유이혼’, 식민지 시기 이혼 문제와 ‘구여성’」, 『사학연구』 제104호, 2011. 123-164면.
18. 이상경, 「근대소설과 구여성: 심훈의 직녀성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제19호, 2001, 174-199면.
19. 이수영, 「「만세전」과 두 개의 개인」, 『한국현대문학연구』 제13호, 2003, 165-191면.
20. 이채원, 「젠더정치학의 관점에서 본 이기영」,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58호, 2013, 27-54면.
21. 이행미, 「이광수의 『재생』에 나타난 식민지 가족법의 모순과 이상적 가정의 모색」, 『한국현대문학연구』 제50호, 2016, 71-107면.
22. 임선애, 「강경애 소설, 제도 뛰어넘기 방식 -「어머니와 딸」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제46호, 2005, 406-432면.
23. 홍양희, 「조선총독부의 가족정책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18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