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0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0, pp. 147-17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8
Received 30 May 2018 Reviewed 15 Jun 2018 Accepted 15 Jun 2018 Revised 26 Jun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6.70.147

「무정」에 구현된 도산의 정의돈수사상과 유정한 사회에 대한 연구
송현호*
*아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Dosan's idea of enlightenment of friendship and a heart-warming society realized in 「Mujeong」
Song, Hyun-Ho*

Copyright Ⓒ 2018

초록

신문 연재 100주년에 즈음하여 「무정」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고 문학사적 의의도 새롭게 정립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최근 들어 제3세대 연구자들은 도산과의 관련성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춘원이 무정한 세상에서 유정한 세상 만들기 혹은 억압과 차별에서 벗어나 평화를 찾으려는 의지를 심어주고 있다는 새로운 평가를 내놓고 있다.

「무정」에는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일제 강점기에 이르는 조선의 열악한 현실이 잘 드러나 있고, 일제의 억압으로 무정한 사회에서 살고 있는 영채의 삶이 생생하게 형상화되고 있다. 이 작품에서 ‘무정’이라는 용어는 제목을 포함하여 30회에 걸쳐 등장하는데 모두가 영채가 살고 있는 세상과 영채가 처한 현실 그리고 영채를 구원하지 못한 형식의 상황에 집중되어 있다. 춘원이 당시 조선을 무정한 세상으로 본 것은 일제의 식민화정책과 무관하지 않다. 당시 조선인들은 무정한 세상에서 자유롭지도 평등하지도 않은 삶을 살고 있었다.

「무정」에는 ‘동정’이라는 용어가 ‘무정’이라는 용어 다음으로 빈번하게 구사되고 있다. 총 23회에 걸쳐 사용되고 있는데, 동정을 살핀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1회를 제외하면 22회에 걸쳐 사용된 ‘동정’이란 단어는 정의돈수사상과 연결되어 있다. 노파는 형식이 영채에게 무정한 사람이었음을 일깨워주면서 박 진사가 형식에게 얼마나 친애한 사람이었는가를 일깨워준다. 노파를 통해 형식은 정의가 되살아나며, 우리 사회를 무정한 사회에서 유정한 사회로 변모시키는데 일익을 담당하는 인물로 성장해간다. 춘원은 무정한 세상인 조선을 유정한 사회로 만들기 위해 도산의 정의돈수사상을 수용한다. 식민지 수탈 정책으로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백성들을 교육하여 일제의 압제로부터 벗어나 스스로 자립 갱생할 수 있는 힘을 줄 수 있는 조선의 지식인들을 양성하기 위해 형식을 교육학의 요람인 시카고대학으로 보내고 많은 유학생들을 구미 지역으로 보낸다. 도산과 춘원의 미국 지향성은 ‘선진화된 교육의 자양분을 공급받을 공간’을 통해 구체화된다. 그들은 무정한 사회인 조선은 미국과 같은 유정한 사회로 만들려고 한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무정」은 지금까지의 평가와 달리 평화에 대한 염원과 유정한 세상에 대한 염원을 담은 소설로 볼 수 있다. 억압과 차별 그리고 미움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평등하고 사랑을 주고받는 세상에 대한 염원을 그린 소설, 당대의 징후를 포착하여 새로운 전망을 제시한 소설이라 할 수 있다.

Abstract

Celebrating 100th anniversary of 「Mujeong」, the evaluation of 「 Mujeong」 has changed and its significance in the literary history is also about to change. Recently, the third generation of modern literary scholars is reevaluating their relevance to Dosan, giving a new evaluation that Chunwon was building a well-founded world in a heartless world, or building a will to seek peace from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In 『Mujeong』 the poor reality of Jose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til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s well known, and the life of Park Young-chae, who lives in a heartless society due to Japanese repression, is vividly shaped. In this work, the term 'amorphous' appears over 30 times, including the title, and it focuses on the situation in which all people are living in the spiritual life, the reality in which the spiritual life exists,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spiritual life is not saved. It is not unrelated to the colonization policy of the Japanese colonialism that Chunwon saw Chosun as a heartless world at the time. At that time, the Koreans lived a life that was neither free nor equal.

In 「Mujeong」, the term "sympathy" is often followed by "amorphous". It is used 23 times in total. The word "sympathy", which is used 22 times, except for one which means to look for sympathy, is connected with the idea of justice. The old woman reminds her that the form was a heartless person for Young-chae, and reminds her how dear Park was. Through old age, the form revives justice and grows into a person who plays a role in transforming our society from a heartless society to a well-founded society. Chunwon accepts Dosan's idea of enlightenment of friendship in order to make Chosun a heart-warming society, by describing Chosun in 「Mujeong」 as a place of a heartless society where heartless people live. To educate people who have lost their place of life by the colonial policy and to make them Pestalozzi of Korea that can give the power to the nation to recover from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rehabilitate itself, he sent Lee Hyungshik to the University of Chicago, the cradle of education. Especially, the orientation towards the US of Dosan and Chunwon is embodied through 'space for supply of nurturing of advanced education necessary for transformation of Chosun and enlightenment of the people'. It was intended to transform Chosun, a heartless society, into a well-established society like the United States.

From this perspective, 「Mujeong」 can be seen as a novel about the desire for peace and the well-deserved world, unlike it was in the previous evaluation. It is a novel that seeks the desire for a world free from oppression, discrimination, and hatred, and a world of freedom, equality and love, a novel that captures the signs of the time and presents new prospects.


Keywords: discourse of migration, heartless society, heart-warming society, Dosan, idea of enlightenment of friendship
키워드: 이주담론, 무정한 사회, 유정한 사회, 도산, 정의돈수사상

참고문헌

1. 자료
1. 『이광수 전집 1』, 우신사, 1979.
2. 『이광수 전집 6』, 우신사, 1979.
3. 『이광수 전집 7』, 우신사, 1979.
4. 『이광수 전집 8』, 우신사, 1979.
5. 『이광수 전집』 별권, 우신사, 1979.

2. 단행본
6. 김동인, 『춘원 연구』, 신구문화사, 1956.
7. 김영민, 『한국근대소설의 형성과정』, 소명, 2005.
8.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①』, 한길사, 1986.
9.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②』, 한길사, 1986.
10.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③』, 한길사, 1986.
11. 류보선, 『한국문학의 유령들』, 문학동네, 2012.
12. 송현호, 『한국현대문학의 이주담론 연구』, 태학사, 2017.
13. 윤홍로, 『이광수 문학과 삶』, 한국연구원, 1992.
14.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 홍성사, 1984.
15. 이재선, 『이광수 문학의 지적 편력』,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0.
1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 지식산업사, 1994.
17. 하타노 세츠코, 『이광수, 일본을 만나다』, 최주한 역, 푸른역사, 2016.

3. 논문
18. 김경수, 「현대소설의 형성과 겁탈-「무정」의 근대적 재론」, 『한국 현대문학과 근대성의 탐구』, 새미, 2000, 121면.
19. 김지영, 「「무정」에 나타난 ‘사랑’과 ‘주체’의 근대성」,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6호, 2005.
20. 류수연, 「응접실, 접객공간의 근대화와 소설의 장소-이광수의 「무정」과 「재생」을 중심으로」, 『춘원연구학보』 11, 2017, 7-32면.
21. 리범수, 「중국에서의 「무정」에 대한 평가와 문학사적 의의」, 『춘원연구학보』 10, 2017, 107-134면.
22. 방민호, 「무정 독해의 국면들과 무정·유정의 사상」, 『춘원연구학보』 10, 2017.6.
23. 서영채,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양상과 의미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2.
24. 송현호, 「「무정」의 이주담론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 『한국현대소설』 54, 2017.3, 105-128면.
25. 송현호, 「문학이란 무엇인가-춘원의 삶과 문학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67, 2017, 5-30면.
26. 송현호, 「춘원의 「사랑인가」에 나타난 이주담론의 연구」, 『韓國學報』, 2017.1, 3-29면.
27. 송현호, 「춘원의 이주담론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51, 2016.6, 23-42면.
28. 송현호, 「흙에 구현된 도산의 정의돈수사상과 유정한 사회에 관한 연구」, 『현대소설연구』 69, 2018.
29. 이영아, 「1910년대 『 매일신보』 연재소설의 대중성 획득 과정 연구」, 『한국현대문학연구』 23, 2007.12.
30. 이유진, 「일본에서의 「무정」에 대한 평가와 문학사적 의의」, 『춘원연구학보』 10, 2017, 71-106면.
31. 장영우, 「「무정」의 맥락화와 문학사적 의의」, 『춘원연구학보』 10, 2017, 11-42면.
32. 진상범, 「이광수 소설 「무정」에 나타난 유럽적 서사구조」, 『독일어문학』 제17집, 2002.
33. 최선호, 「「무정」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 『춘원연구학보』 8, 2015, 83-108면.
34. 최주한, 「‘번역된 (탈)근대론’으로서의 「무정」 연구사」, 『한국근대문학연구 』 27, 2013, 287-313면.
35. 최혜림, 「「무정」 탄생 100년, 번역사 고찰」, 『춘원연구학보』 11, 2017, 33-60면.
36. 하타노, 「「무정」의 문체와 표기에 대하여」, 『제24屆중한문화관계국제학술연토회』, 2016.12.
37. 허병식, 「한국 근대소설과 교양의 이념」,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2005.
38. 황정연, 「여성주의적 시각과 「무정」 연구사」, 『춘원연구학보』 11, 2017, 61-92면.
39. 황정현, 「이광수 소설 연구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