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0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0, pp. 117-146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8
Received 07 Jun 2018 Reviewed 15 Jul 2018 Accepted 15 Jun 2018 Revised 26 Jun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6.70.117

일제 말기 일본어 소설에 나타난 ‘이완’의 계기 : 한설야의 「피(血)」, 「그림자(影)」를 중심으로
손정수*
*계명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Moments of detachment in Han, Seol-Ya's short stories in Japanese in the late colonial period
Son, Jeong-Soo*

Copyright Ⓒ 2018

초록

이 논문은 일제 말기 일본어로 창작된 소설의 한 가지 특징적인 양상을 이끌어내기 위해 한설야의 「피」와 「그림자」를 살펴보았다. 당대 비평 담론의 맥락에 비춰보는 한편 텍스트의 전체적인 구조를 객관화하는 작업을 통해 두 소설에서 긴장과 이완의 계기들이 병립하고 있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완의 계기들은 긴장의 계기들이 하나의 맥락으로 연결되어 의미화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절된 채로 텍스트 내에 산포되도록 기능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함께 확인했다. 부각되는 측면에 따라 긴장과 이완 어느 방향으로도 해석이 열려 있는 한편 두 방향의 의미 모두 희석되는 효과를 내포하고 있는 이 소설들은 일제 말기 일본어 소설의 특징적인 한 가지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is paper amis at drawing a new feature of Korean narratives written in Japanese in the late colonial period by way of reading Han, Seol-Ya’s “Blood(血)” and “Shadow(影)”. As a result, it can be revealed that moments of involvement and moments of detachments are combined but not organized in the text. That characteristic structure of detachment allows readers to interpret the text into manyfold direction and we may refer it a new type of responding to negative surrounding of writing.


Keywords: 한설야, 최재서, 「피(血)」, 「그림자(影)」, 하랄트 바인리히(Harald Weinrich), 긴장, 이완
키워드: Han, Seol-Ya(韓雪野), Choe, Jae-Seo(崔載瑞), “Blood(血)”, “Shadow(影)”, Harald Weinrich, Gespanntheit(tension or involvement), Entspanntheit(easing of tension or detachment)

참고문헌

1. 자료
1. 한설야, 「피」, 『국민문학』, 1942. 1, 김재용 외 편역, 『식민주의와 비협력의 저항』, 역락, 2003.
2. 한설야, 「그림자」, 『국민문학』, 1942. 12, 김재용 외 편역, 『식민주의와 비협력의 저항』, 역락, 2003.
3. 최재서, 「우감록」, 『전환기의 조선문학』, 인문사, 1943, 노상래 역,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6.
4. 최재서, 「국민문학의 작가들」, 『전환기의 조선문학』, 인문사, 1943, 노상래 역,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6.
5. 정인택 외, 「새로운 반도 문학의 구상」, 『녹기』, 1942. 4, 이경훈 편역, 『한국 근대 일본어 평론ㆍ좌담회 선집』, 역락, 2009.
6. 임화, 「조선소설에 관한 보고—보고자 안회남 씨의 결석으로 인하여 대행한 연설요지」, 『건설기의 조선문학』, 조선문학가동맹, 1946. 6, 『임화 문학예술 전집 5—평론2』, 소명출판, 2009.
7. 임화, 「조선 민족문학건설의 기본과제에 관한 일반보고」, 『건설기의 조선문학』, 조선문학가동맹, 1946. 6, 『임화 문학예술전집 5—평론2』, 소명출판, 2009.
8. 이태준 외, 「문학자의 자기비판—좌담회」, 『인민예술』 2호, 1946. 10, 송기한 외 편, 『해방공간의 비평문학』 2, 태학사, 1991.

2. 논저
9.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 2004.
10. 심진경, 「식민/탈식민의 상상력과 연애소설의 성정치」, 『민족문학사연구』 28, 2005, 163-189.
11. 윤대석, 「1940년대 ‘국민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207.
12. 이상경, 「일제 말기 소설에 나타난 ‘내선결혼’의 층위」, 『친일문학의 내적 논리』, 역락, 2003, 117-152.
13. 정주미ㆍ김순전, 「한설야의 일본어 소설에 나타난 이중적 장치—잡지 『國民文學』에 실린 「血」과 「影」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10, 2008, 269-294.
14. 조진기, 「내선일체의 실천과 내선결혼소설」, 『한민족어문학』 50, 2007, 433-466.
15. Weinrich, Harald, Tempus: besprochene und erzälter Welt, 6 Auflage, München: Beck,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