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69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9, pp. 349-386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18
Received 11 Feb 2018 Reviewed 07 Mar 2018 Accepted 09 Mar 2018 Revised 18 Mar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3.69.349

게임이론과 공감이론의 유교적 형상화 방식 : 류은경의 소설 『선덕여왕』과 김영현 · 박상연의 드라마 ≪선덕여왕≫을 중심으로
장사흠*
*강릉원주대학교 강의전담교수

A Confucian shaping way of game theory and empathy theory : centering the Eun-kyung Ryu’s novel Queen Seondeok and same drama of Kim Young-hyun Kim and Sang-yeon Park
Jang, Sa-Heum*

초록

류은경의 소설 『선덕여왕』과 이를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 ≪선덕여왕≫은 공감이론 및 게임이론을 통해 유가의 인(仁)이나 수기치인(修己治人)의 개념을 형상화하고 있다. 게임이론에 입각해서 형상화된 사건은 독자들로 하여금 주어진 것에 피동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인물과 인물, 행태와 행태가 부딪치며 진행되는 국면들에 즉해서 판단하도록 한다. 이는 신의 죽음과 함께 시작된 자본주의 안에서 살아가는 근대인이 마주해야 하는 패러다임적 현실을 직시하게 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신을 잃어버린 근대인은 자본주의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나가야 한다. 게임과 공감, 황금률 등과 같은 개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으로 발견된 것들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이들 작품이 이타적 게임을 하는 천명공주, 김춘추 등 유신·덕만 측이 승리하는 이유, 그리고 이기적 게임을 하는 세종, 설원 등 미실·비담 세력의 패배를 형상화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본다. 유신이 비담에 대해 승리를 거두는 것은 이타적인 집단을 형성하여 이기적인 구성원들이 모인 집단을 물리쳤기 때문이다. 이 성공은 우리가 모방할 수 있는, 자본주의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책이다. 이는 ‘인간의 본성과 흡사한 이데올로기’인 자본주의를 존재로 인정하고, 그 안에서 해결방식을 찾으려는 우리 시대의 시대정신이 이들 작품을 통해 발현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bstract

The original novel, Queen Seondeok, by Eun-kyung Liu, and its drama, which is based on the novel, shape the concept of 'benevolence' or 'self-governing people' in Confucianism with the empathy theory and game theory. The events that were shaped in the framework of game theory allow readers to judge what is given in terms of the conflicts between behaviors as well as between characters rather than passively judge it. This is a way of facing up to the reality of paradigm which modern people live in capitalism starting with the death of God. The modern people who have lost God must solve the problems of capitalism on their own. The concepts such as game, empathy, and golden rule are regarded as the methods to solve these problems. Within the framework of game theory, this study seeks to explain how the party of Deokman, Yusin Kim, and Chunmeung, Chunchoo Kim who play altruistic games won and how the other party which supports Sejong, Misil, and Bidam playing selfish game was defeated. The reason for the victory of Deokman and Yusin over Misil and Bidam is that the former organized a group using altruistic game strategies with people who were dedicated and was able to defeat the other group of selfish members. We can follow such a model to settle the problems caused by capitalism; through acknowledging the existence of capitalism which is the ‘ideology similar to human nature', and seeking a solution within it, which can be said the spirit of the times.


Keywords: benevolence, empathy, game theory, golden law(rule), implied adjustment, mirror neuron, perspective taking, silver law(rule)
키워드: 거울뉴런, 게임이론, 공감, 묵시적 조정, 상호주관성, 수기치인, 은백률, , 황금률

참고문헌
1. 김용옥, 『중용 인간의 맛』, 통나무, 2011.
2. 다윈, 찰스, 김관선 옮김, 『인간의 유래』, 한길사, 2007.
3. 드 발, 프란스, 오준호 옮김, 『착한인류: 도덕은 진화의 산물인가』, 미지북스, 2014.
4. 류은경, 『선덕여왕』①~③, MBC프로덕션, 2009.
5. 리프킨, 제러미, 이경남 옮김, 『공감의 시대』, 민음사, 2014.
6. 최, 마이클 S., 허석재 옮김, 『사람들은 어째서 광장에 모이는 것일까?: 게임이론으로 본 조정 문제와 공유지식』, 후마니타스, 2017.
7. 박성희, 『공감학: 어제와 오늘』, 학지사, 2014.
8. 박세일, 「아담 스미스의 도덕철학 체계 : 철학·윤리학·법학·경제학의 내적연관에 대한 통일적 파악을 위하여」, 애덤 스미스, 박세일·민경국 공역, 『도덕감정론』, 비봉출판사, 2009: 661~699면.
9. 박주현, 『게임이론의 이해』, 도서출판해냄, 2001.
10. 박홍균·김근홍 연출, 김영현·박상연 극본, ≪선덕여왕≫MBC, 2009.05.25.~2009.12.22.
11. 셸링, 토마스 C., 최동철 옮김, 『갈등의 전략: 게임이론과 전략이론』, 나남출판, 2001.
12. 스미스, 애덤, 박세일·민경국 공역, 『도덕감정론』, 비봉출판사, 2009.
13. 장사흠, 「자본주의적 게임의 서사화 양상 : 최인호의 소설 “상도”의 도덕주의와 드라마 <상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서사학회, 『내러티브』제16호, 2010. 5.: 121~154면.
14. ______, 「게임과 협상의 자본주의 도덕 형성 원리: 박현욱의 ≪아내가 결혼했다≫가 의무론적 윤리주의를 넘어서는 방식」,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44호, 2010. 8.: 317~350면.
15. ______, 「1970년대 선덕여왕과 2000년대 선덕여왕 서사의 거리: 게임이론을 통해 본 손소희와 MBC프로덕션의 선덕여왕 이야기의 차이와 그 의미」,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 60호, 2015. 12.: 445~471면.
16. 정용환, 『인의 재발견: 사랑과 협력의 근거』 인간사랑, 2016.
17. 지그프리드, 톰 『게임하는 인간 호모 루두스: 존 내시의 게임이론으로 살펴본 인간본성의 비밀』, 자음과모음, 2010.
18. 朱熹·韓相甲 譯, 『孟子·大學』, 삼성출판사, 1987.
19. 최정규, 『이타적 인간의 출현: 게임이론으로 푸는 인간 본성 진화의 수수께끼』, 뿌리와이파리, 2009.
20. Neumann, von John·Oskar Morgenstern, Theory of Games and Economic Behavi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