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69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9, pp. 139-16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18
Received 10 Feb 2018 Reviewed 07 Mar 2018 Accepted 09 Mar 2018 Revised 18 Mar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3.69.139

백석 소설 「그 母와 아들」 연구
남지현*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졸업

A Study on Baek Seok's Short Story, “The Mother and the Son”
Nam, Ji-Hyun*

초록

이 연구는 백석의 첫 번째 단편 소설인 「그 母와 아들」에 나타난 현실인식과 주제의식을 탐구하였다. 백석은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단편소설로 등단한 이후 시뿐만 아니라 단편소설과 수필, 동화시, 번역, 평론 등 다양한 장르의 글을 남겼다. 특히 백석의 초기 작들은 대부분 소설 장르에 집중되어 있다. 그 가운데 「그 母와 아들」은 백석 문학의 첫 출발점일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문학 수업을 받기 전 발표한 유일한 작품이다. 또한 「그 母와 아들」은 물활론적인 환상성이 가미된 다른 소설들과 달리 현실주의 계열의 작품이다. 따라서 시인 백석이 당대의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또 어떻게 현실 그 이상의 서사적 의미를 만들어냈는지 가늠할 수 있게 해 준다. 「그 母와 아들」에는 남아선호사상이나 가부장적 가치관과 같은 전통적인 삶의 방식과 그것을 거스르는 인간 욕망의 분출과 소멸이 잘 드러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욕망이 좌절된 인간이 다시 전통적인 질서 속으로 돌아와 남은 생을 이어가는 모습 또한 제시되 어 있다. 이러한 서사의 후반부는 면면하게 이어지는 삶의 본질을 되새기게 하며 작품의 주제의식을 형성한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Baek Seok's first short story, “Mother and Son,” the reality recognition and the thematic consciousness. Baek Seok is a poet who represents Korean literature. However, Baek Seok's first work was short story and later he wrote various genres such as short stories, essays, children's literature, translations and criticisms. In particular, Baek Seok's early works are mostly focused on novel genres.

“The Mother and the Son” is not only the first starting point of Baek Seok's literature, but the only work published before receiving literary classes in Japan. And “The Mother and the Son” is a work of a realism, unlike other short stories with animated fantasy. In this perspective, there is an authoritarian meaning that poet Baek Seok's reality cognition. “Mother and Son” shows the clash of traditional ways of life such as male preference ideas and patriarchal values and human desire to counter them. And the desperation of a frustrated charactor returning to such a traditional order leads to a reminder of the nature of the life that leads to the end of life.


Keywords: Baek Seok, Baek Seok's short story, rumor as a motif, family community, thematic consciousness
키워드: 백석, 백석 소설, 그 모와 아들, 소문의 모티프, 가족공동체, 주제 의식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1. 백석, 「그 母와 아들」, 김문주·이상숙·최동호 편, 『백석 문학전집2』, 서정시학, 2012.

2. 단행본
2. 고형진, 『정본 백석 시집』, 문학동네, 2007.
3.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2.
4. 김수영, 『김수영 전집2』, 민음사, 2012.
5.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6. 김재용, 『백석전집』(개정증보판), 실천문학사, 2011.
7. 박헌호, 『한국인의 애독작품-향토적 서정소설의 미학』, 책세상, 2005.
8. 신경림, 『시인을 찾아서』, 우리교육, 1998.
9. 안도현, 『백석 평전』, 다산책방, 2014.
10. 유종호, 『비순수의 선언』, 민음사, 1995.
11. 조남현, 『한국현대소설사 1』, 문학과지성사, 2012.
12. 게리 솔 모슨·캐릴 에머슨 저, 오문석·차승기·이진형 역, 『바흐친의 산문학』, 책세상, 2006.
13. 마르틴 하이데거 저, 오병남·민형원 역, 『예술작품의 근원』, 예전사, 1996.
14. 밀란 쿤데라 저, 권오룡 역, 『소설의 기술』, 민음사, 2008.
15. 베네딕트 데 스피노자 저, 강영계 역, 『에티카』(개정판), 서광사, 2012.

3. 논문
16. 강외석, 「일제하의 사회 변동과 문학적 대응 – 백석의 시와 소설을 중심으로」, 『배달말』26호, 배달말학회, 2000, 97-127면.
17. 강헌국, 「김동인의 창작방법론과 그 실천 : 1920년대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77호, 국어국문학회, 2016, 275-305면.
18. 고형진, 「백석의 소설과 수필의 판본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Vol.26,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83-128면.
19. 김명인, 「한국 근대시의 토착어 지향성 연구 : 1930년대 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Vol.25,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267-292면.
20. 김성수, 「현진건 소설의 리얼리즘 - 「운수 조흔 날」, 「고향」을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Vol.3, 반교어문학회, 1991, 246-260면.
21. 김종태, 「백석 시에 나타난 절망」, 『한국문예비평연구』 48집, 학회, 2015, 33-52면.
22. 김휘정, 「「만세전」과 근대성」, 『여성문학연구』 Vol.7,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192-216면.
23. 김혜영, 「소설 장르의 허구성 연구」, 『현대소설연구』 21, 한국현대소설학회, 2004, 47-65면.
24. 손혜민, 「소문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신여성”의 기표 – 나혜석의 단편 「경희」(1918)를 중심으로」, 『사이(SAI)』 Vol.7,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9, 141-168면.
25. 송기섭, 「백석의 산문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 Vol.4,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999, 265-285면.
26. 한명환, 「백석 소설 연구 – 소설 내용 및 형식의 특성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No.128, 국어국문학회, 291-317면.

4. 기타
27. 계간 ≪미네르바≫, 2008년 가을호(통권 31호).
28. 한국일보 2008년 8월 19일 기사 <백석 네 번째 단편 ‘사생첩의 신화’ 햇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