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69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9, pp. 71-112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18
Received 25 Feb 2018 Reviewed 07 Mar 2018 Accepted 09 Mar 2018 Revised 18 Mar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3.69.71

1920년대 이광수의 신문연재 장편소설 연구
이선경*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A Study on Serial Novels of Newspaper of Yi, Kwang-Su in 1920s
Yee, Sun-Kyung*

초록

본 연구는 춘원 이광수의 1920년대 신문연재 장편소설에 주목한다. 이광수는 1920년대 『동아일보』를 통해 총 아홉 번 연재장편소설을 시도했으며 이 중 다섯 편을 완결했다. 이광수 장편소설의 거의 대부분이 신문에 연재되는 방식으로 창작되었지만, 1920년대의 신문연재 장편소설은 보다 주목을 요한다. 1920년 조선 민간이 발행한 신문들(『조선일보』, 『동아일보』, 『시사신문』)이 최초로 출범했고, 이광수는 동아일보에서 기자와 편집국장으로 근무하며 민족지의 매체적 관점에서 신문을 활용하게 되었다. 1920년대의 신문연재 방식을 통해 이광수는 장편소설의 양식적 안정화를 이루어냈고, 소설을 통해 일반에 공론을 확장하고 내러티브를 재생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민족지 신문이라는 매체적 관점을 전제하고, 이광수의 1920년대 미완결된 연재 장편소설까지를 포함하여 그 통시적 과정을 살핀다.

1920년대 이광수의 신문연재 장편소설은 세 단계로 파악해 볼 수 있다. 2장의 분석 대상인 미완작들에는 공통적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나’라는 1 인칭 서술자가 등장한다. 소설가와 언론인으로서의 화자가 미분화된 양상을 보이는 이들 소설에서 식민지 조선의 소설이 담당하던 공론적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3장에서는 1920년대 초중반에 완성된 세 편의 개작소설을 살핀다. 『허생전』, 『재생』, 『일설춘향전』에서는 당대의 진부하고 통속적인 내러티브를 다시 쓰는 과도기적 양상이 나타나는데, 세 편의 개작소설들은 신문 매체의 맥락을 적극 활용하여 대중적 공감대를 확보한다. 그러나 소설자체의 자율적 동에 대한 필요와 공적 주체의 자리에 대한 형상화가 요구 되는데, 이것이 최종적으로 역사소설을 등장하게 한다. 4장에서는 1920년대 후반에 발표된 두 편의 역사소설 『마의태자』와 『단종애사』를 다룬다. 비극적 국체(國體)를 재현하는 역사소설들은 『단종애사』에서 ‘실국-충의’의 플롯으로 양식적 안정화를 보여준다. 이는 신문의 독자들에게까지 공론 참여의 기회를 제공했으며,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 반복 확장되는 플롯의 하나가 되었다는 데에서, 식민지 조선의 망탈리테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따라서 1920년대 이광수의 장편소설을 신문연재라는 관점에서 통시적으로 살피는 본 연구는 두 가지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하나는, 이광수 문학 내부적 측면에서의 의의이다. 장편소설 창작의 시행착오를 분석하는 것을 통해 이광수가 역사소설을 선택하고 이어나간 과정의 필연성을 알 수 있는것이다. 다른 하나는, 식민지 조선의 민족지를 통해 내러티브와 공론이 확산되는 한 단면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광수에 기댄 바 있는, 실국과 충의를 구심점으로 하는 식민지 조선의 내러티브들에는 어떤 식으로든 역사적 허구를 빌려 비극적 국체를 논의하는 공통적인 망탈리테가 작용하고있다. 이광수의 1920년대 창작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하는 본 연구는 그러한 식민지 조선적 내러티브의 구성과 내면을 알 수 있게 한다.

Abstract

This article focuses on serial novels of Yi, Kwang-Su, which were published in Dong-A Daily News in 1920s. Yi started to publish novels serially nine times, but only five of those were completed. Including unfinished works, Yi’s novels in 1920s show one of representative model novels of colonial Korean Literature. Yi’s novels had developed three stages diachronically in 1920s. Four unfinished works in the early to mid 1920 shows unripe narrator between the journalist and the novelist. As a novelist and journalist of Dong-A Daily News, Yi agonized both roles in this period of time. In the early to mid 1920, Yi completed three novels, and all of them were adapted novels using the classics or popular novels at that time. Through borrowing the familiar story, plot and narrative, the writer could express his implied opinions about the colonial era which he was facing. In the late 1920s, Yi wrote two historical novels, Ma-ui-tae-ja(Crown Prince Maui) and Dan-jong-ae-sa(The Tragedy of King Danjong). These two historical novels completed his archetypal plot in 1920s: the plot about ‘ruined nation’ and its ‘faithful retainer’. It is valuable that his archetypal plot became to extend the one of the model plots of colonial Korean Literature and induce the mantalité from the Korean people under the colonial Japan.


Keywords: Yi, Kwang-Su, 1920s, Serial Novel of Newspaper, Novel, Newspaper, Dong-A Daily News, Nationalism, Mantalité
키워드: 이광수, 1920년대, 신문연재소설, 장편소설, 신문, 동아일보, 민족주의, 망탈리테

참고문헌

1. 1차 문헌
1. 『개벽』.
2. 『동아일보』.
3. 『삼천리』.
4. 『이광수 전집』 (전 11권), 우신사, 1979.
5. 『학지광』.

2. 단행본 및 논문
6. 공임순, 「일제 말 흥망사 이야기와 타락의 표지들에 관한 연구」, 『국어국문학』 141, 2005.
7. 김남이, 「‘연암(燕巖)’이라는 고전의 형성과 그 기원 (1) - 19세기⦁20세기 초연암 박지원이 소환되는 방식을 중심으로 -」, 『어문연구』 58, 2008.
8. 김동식, 「민족개조와 감정의 진화 : 1920년대 이광수 문학론에 대한 예비적고찰」, 『한국학연구』 29, 2013.
9. 김동인, 「춘원연구」, 『김동인전집』 6, 삼중당, 1976.
10. 김명구, 「1920년대 국내 부르주아 민족운동 우파계열의 민족운동론 - ≪동아일보≫ 주도층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20, 2002.
11. 김병길, 『역사소설, 자미(滋味)에 빠지다 : 새로 쓰는 한국 근대 역사소설의 계보학』, 삼인, 2011.
12. 김성철, 「『단종대왕실기』와 〈단종애사〉의 허구적 여성인물에게 투영된 작가의식」, 『우리문학연구』 43, 2014.
13. 김영범, 「망탈리테사 : 심층사의 한 지평」, 『사회와 역사』 31, 1991.
14.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1, 2, 솔, 1999.
15. 김정인, 「1920년대 전반기 민족담론의 전개와 좌우투쟁」, 『역사와현실』 39, 2001.
16. 김창식, 『대중문학을 넘어서』, 청동거울, 2000.
17. 김태준, 『증보조선소설사』(1933), 박희병 교주, 한길사, 1990.
18. 김행숙, 「이광수의 감정론」, 『상허학보』 33집, 2011.
19. 대중문학연구회, 『신문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996.
20. 박진영, 「“이수일과 심순애 이야기”의 대중문예적 성격과 계보 - <장한몽>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23집, 2004.
21. 서영채, 「자기희생의 구조 – 이광수의 『재생』과 오자키 고요의 『금색야차』」, 『민족문화연구』 58호, 2013.
22. 손유경, 『고통과 동정』, 역사비평사, 2008.
23. 신봉승, 「역사소설 연구 - 『단종애사』와 『춘원연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24. 오인문, 「신문 연재소설의 변천」, 『관훈저널』 25, 1977.
25. 유승환, 「이광수의 『춘향』과 조선 국민문학의 기획」, 『민족문학사연구』 56, 2014.
26. 윤덕영, 「1920년대 전반 동아일보 계열의 정치운동 구상과 ‘민족적 중심세력’론」, 『역사문제연구』 24, 2010.
27. 이선경, 「이광수의 고전 활용법- 허생 이야기 장르 개작 - ‘허생 이야기’의 장르 개작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4집, 2017.
28. 이지영, 「이광수의 <일설춘향전>에 대한 再考」, 『한국현대문학연구』 49, 2016.
29. 이혜령, 「正史와 情史사이: 3ㆍ1운동, 후일담의 시작」, 『민족문학사연구』 40, 2009.
30. 임주탁, 「1920년대 초반 소설의 근대적 특성 연구 - 『동아일보』 연재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제42집, 2006.
31. 정끝별, 『패러디』, 모악, 2017.
32. ______, 『패러디 시학』, 문학세계사, 1997.
33. 정진석, 『언론인 춘원 이광수』, 기파랑, 2017.
34. 최미진, 임주탁, 「한국 근대소설과 연애담론 – 1920년대 『동아일보』 연재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제44집, 2006.
35. 최주한, 「문화횡단적 경합으로서의 『일설춘향전』 - 〈춘향전〉의 번역과 개작을 둘러싼 문화횡단적 경합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60, 2016.
36. ______, 『이광수와 식민지 문학의 윤리』, 소명출판, 2014.
37. 한원영, 『한국 신문연재소설의 사적 연구』 1, 2, 푸른사상, 2010.

3. 외국 원서
38. Franco Moretti, “Evolution World System Weltliteratur”, Distant Reading, Verso,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