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Current Issue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 No. 9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92, pp. 313-358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Dec 2023
Received 27 Nov 2023 Revised 11 Dec 2023 Accepted 11 Dec 2023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3.12.92.313

민족에서 블록으로 : 이순탁의 『최근 세계 일주기』의 아시아 인식 전환에 대한 연구
차혜영*
*한양대학교 한국언어문학과 교수

From nation to Block : Perception of Asia in Lee Soon-tak's 『Recent Round the World』(1934)
Cha, Hye-Young*

초록

본고는 이순탁의 1934년 여행기 『최근 세계 일주기』에 나타난 아시아 지역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그의 여행기에서 동경, 상해, 홍콩, 싱가폴은 서구의 경제상황변모,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극심한 우려 이후에, ‘그럼 우리는?’이라는 질문과 대답속에 단행본에서 추가되어 서술된 지역이다.

1930년대 세계경제 변화의 시기에, 아시아 지역 곳곳은 일본의 전쟁 선택에 의해 거대한 전환을 맞이했고, 일본권 내에 속한 조선인의 아시아 관계양상도 많은 변화를 보였다. 본고는 경제학자 이순탁이 이 변화를 어떻게 수용해, 아시아 인식을 수정 전환해갔는지를 그의 세계여행기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의 아시아 지역 여행기에는, 일본의 경제적 이익이 위기에 부딪히며 시행된 중국 침탈, 동남아 시장 확대 노력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대한 동의와 긍정이 관철되어있다. 이는 상해 경유지에서 드러낸 중국인 혐오와 중국 내셔널리즘 회피, 비난, 인종적 편견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1932년 기점으로, 중국(상해)의 조선인 사회의 민족주의적 정치색과의 단절 및 상업주의적 기업가적 발전 지향으로의 변모주장과 연결되는 기조이기도 하다. 또한 동남아시아 지역을 대하는 우정, 환대, 편안한 공존의 정서는, 일본의 외지들의 연결이라는 감각하에 자기를 배치하는 정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인도와 만주 서술에서 보인 일본 시장 상실의 위기에 대한 초조함이나 만주국 불승인안 결정에 대한 자극적이고 수사적인 울분의 감정은, 이순탁의 아시아 지역 관찰과 기술의 중심축을 잘 보여준다.

이순탁 여행기의 아시아 지역인식과 기록은, 식민모국의 패권확대에 자기 위치를 설정한 식민지 경제학자시선 변경과, 대공황 이후 “일본 패권 내 동아시아 지정학”의 변경이 연동되며 만들어낸 1932년의 전환의 지점을 잘 보여준다.

아시아 지역을 바라보는 이런 전유방식은, 1920년대와도 다르고, 해방 후 우리에게 익숙한 저항적 민족주의 관점에서도 이질적이다. 또한 월북한 맑스주의자라는 이념적 일관성에서도 매우 불편한 단절 혹은 협곡 같은 지점이다. 이순탁을 포함한 유럽행 여행기들의 경유지 아시아 기록은 바로 그 ‘단절이 일어난 협곡 지대’의 실체성을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자료적 가치를 갖고 있다. 본고는 그 하나의 대상으로 이순탁의 여행기 중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Asian region as revealed in Lee Soon-tak's 1934 travelogue 『A Recent Round the World』.

In his travelogue, Tokyo, Shanghai, Hong Kong, and Singapore were added and described in a book in the question and answer 'Then what about us?' after extreme concerns about the changing economic situation in the West, the pound bloc, the gold standard economy, and protectionism. It is a region.

During the period of global economic change in the 1930s, various parts of Asia faced a huge change due to Japan's choice of wa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within the Japanese region and Asia also showed many changes. This paper examines how economist Lee Soon-tak accepted this change and changed his perception of Asia through his world travel story.

In his travels in Asia, there is deep and consistent agreement and affirmation of Japan's invasion of China and efforts to expand the Southeast Asian market, which were implemented as Japan's economic interests faced a crisis.

This manifests itself in the unfamiliar and direct hatred of Chinese people and the avoidance of Chinese nationalism, criticism, and racial prejudice bordering on hatred, which were revealed during the stopover in Shanghai. And, starting in 1932, this is a keynote that is connected to the strong argument for a break with the nationalistic political color of the Korean society in China (Shanghai) and a transformation toward commercialistic and entrepreneurial success.

The attitude with which he describes episodes of personal experience in the Southeast Asian region is one of warm friendship, hospitality, and comfortable coexistence. This can be said to be an emotion that places oneself in the sense of connection between Outside of Japan(外地)

In addition, the sections on India and Manchuria, which were written at length and in detail even though he did not visit them in person, revealed his impatience over the crisis of losing the Japanese market and his provocative and rhetorical anger over the decision to disapprove of Manchukuo.

The recognition and records of the Asian region in Lee Soon-tak's travelogue are a turning point in 1932 created by the change in the perspective of colonial economists who positioned themselves in the expansion of the hegemony of the colonial mother country and the change in “East Asian geopolitics within Japanese hegemony” after the Great Depression. It shows well.

This way of thinking about the Asian region is a very heterogeneous disconnect or rift, different from that of the 1920s and from our resistant nationalism after liberation.

Records of Asia as a stopover for Europe-bound travellers, including Lee Soon-tak's, have a variety of material values t h at provide a glimpse into the reality of the ‘canyon area where the disconnection occurred.’ This paper examines the Asian region from Lee Soon-tak's travelogue as one of its subjects.


Keywords: Nation, bloc, controlled economy, East Asian geopolitics within Japanese hegemony after the Great Depression, Soontak Lee, Ok Gwan-bin, European route, Asian stopover, economic survivalism, First Shanghai Incident, Boycott Japanese money, Shanghai Korean Community, Outside of Japan (inside/outside Japan), disapproval of Manchukuo, Abrogation of Japan-India trade treaty, geopolitics of emotions
키워드: 민족, 블록, 통제경제, 대공황 이후 일본 패권내 동아시아 지정학, 이순탁, 옥관빈, 유럽항로 아시아 경유지, 경제적 생존주의, 제1차 상해사변, 일화배척(日貨排斥), 상해한인사회, 외지(일본 내지/외지), 만주국 불승인, 일인통상조약

참고문헌 1. 주요텍스트
1. 이순탁, 『최근세계일주기-일제하 한 경제학자의 제국주의 현장답사』, 1997, 학민사.
2. 조선일보, 이순탁 여행기 연재본, 1933.9.8~1934.4.13.

2. 참고문헌
3. 김광재, 『근현대 중국관내지역 한인사 연구』, 경인문화사, 2016.
4. 김세호, 「1920년대 한국언론의 중국국민혁명에 대한 반응-동아일보특파원 주요한의 「신중국방문기」(1928-1929) 취재를 중심으로」, 『중국학보』 제40집, 1999.
5. 김세호, 「북벌직후 신흥 중국에 대한 일 시각-조선일보 특파원 이관용의 취재를 중심으로」, 『중국근현대사연구』 61, 2016.
6. 김지환, 「만주사변기 중국의 일화배척과 재화일본 방직공업」, 『평화연구』, 2005.
7. 박제균, 「중국국민당의 민족주의 이념과 혁명외교」, 『중국근현대사연구』 31집, 2006.
8. 박훈, 「일본중국사학자의 중국인식과 공동체론-혐중의 기원」, 『동아시아문화연구』 73집, 2018.5.
9. 방기중, 「1930년대 농공병진정책과 경제통제」, 『동방학지』 12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3.6.
10. 서정익, 「세계대공황기(1929~1936년) 일본의 무역구조와 무역정착」, 『응용경제』 5-1, 2003.6.
11. 손과지, 『상해한인사회사(1910~1945)』, 한울아카데미, 2012.
12. 손승회, 「만주사변 전야 만주한인의 국적문제와 중국`일본의 대응」, 『중국사연구』 31, 2004.
13. 송가배, 「1920년대말 1930년대초 상하이 일본인 거류민사회의 중국인식과 정치행동」, 『아세아연구』, 66권 2회, 2023.5.
14. 송규진, 「만주사변이 조선경제에 미친 영향-대만주국 무역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105.
15. 유신순, 신승하 외 역, 『만주사변기 중일외교사』, 고려원, 1994.
16. 이기훈, 「1920년대 동아일보의 중국인식-계몽과 혁명,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시각의 부침과 교차」, 『동방학지』 제178집, 2018.3.
17. 이송순, 「1930-40년대 일제의 통제경제정책과 조선인 경제전문가의 인식」, 『한국사학보』 17호, 한국사학회, 2004.7.
18. 이수열, 『일본지식인의 아시아 식민도시 체험』, 선인, 2018.
19. 이시카와 요시히로, 손승회 역, 『중국근현대사』 3 (1925~1945), 삼천리, 2013.
20. 이옥순, 『식민지 조선의 희망과 절망, 인도』, 푸른 역사.
21. 이형식, 「지나통 야노진이치의 중국인식과 대중 정책」, 『사림』 58, 2016.
22. 이호룡, 「아나키스트들의 민족해방운동」,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45, 2008.
23. 지수걸 「1930년대 전반기 부르주아 민족주의자의 ‘민족경제 건설전략-조선공업화와 엔블럭재편정책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국사관논총』 51, 1994.
24. 차혜영, 「1930년대 일본체험 회고담 연구1, 로맨스의 공통기억과 식민지의 문화적 위치」, 『한국언어문화』 46집, 2011.12.
25. 차혜영, 「대공황 이후 블록경제하의 유럽여행과 서구시좌의 변경, 1936년 정인섭의 유럽여행체험에 대하여」, 『비교한국학』, 2015.12.
26. 차혜영, 「1930년대 자본주의 세계체제 전환과 동아시아 지역패권의 지정학-이순탁의 『최근세계일주기』를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24-3, 2016.12.
27. 차혜영, 「3post 시기 식민지조선인의 유럽항로 여행기와 피식민지 아시아연대론」, 『서강인문논총』 47, 2016.12.
28. 차혜영, 「식민지 조선의 언어민족주의자, 인도양 위에서 약소민족을 만나다. -김선기의 「유구도중기(遊區途中記)」(1934)연구」, 『비교한국학』 31, 2023.12 참조.
29. 카터 에커트, 주익종 역, 『제국의 후예-고창 김씨가와 한국 자본주의 식민지 기원 1876-1945』, 푸른역사, 2008.
30. 한시준, 「윤봉길의사의 홍구공원 의거에 관한 중국신문의 보도」,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2, 2009.
31. 홍성찬, 「한국근현대 이순탁의 정치경제사상 연구」, 『역사문제연구』 창간호, 1996.
32. 홍종욱, 「‘식민지 아카데미즘의 그늘, 지식인의 전향」, 『사이間SAI』 2011.11.
33. 和田博文, 『言語都市`上海: 1840~1945』, 藤院書店, 1999.
34. B.R.톰린스, 이옥순 역, 『인도 경제사 : 탈식민화와 경제학』, 신구문화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