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Current Issue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 No. 9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9, pp. 133-160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23
Received 20 Feb 2023 Revised 08 Mar 2023 Accepted 08 Mar 2023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3.03.89.133

소통의 불가능성과 가능성의 형식 : 한강의 『희랍어 시간』을 중심으로
이하은**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The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The form of possibility : focused on “The Greek Lecture”
Lee, Ha-eun**

초록

이 논문은 『희랍어 시간』에 나타난 소통의 불가능성과 가능성의 형식에 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강의 소설은 섬세한 언어 표현을 통해 언어나 글쓰기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사유해 나간다. 이러한 특징에 비해 한강 소설은 주로 『채식주의자』 등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의 경향이나 『소년이 온다』를 중심으로 역사적 재현과 애도의 측면이 연구되었다. 이 논문은 『희랍어 시간』을 통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한강 소설이 지닌 고유의 시학을 발견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희랍어 시간』은 한강 소설 중 언어와 소통의 문제를 전면에 다룬다는 점에서 독특한 위치를 점유한다. 동시에 『희랍어 시간』은 언어가 기호의 영역을 넘어 윤리적 차원으로 확대된다. 이러한 점에서 『희랍어 시간』은 한강 소설에 일관되게 흐르는 주제의식을 언어와 소통의 문제로 풀어낸다는 특이성이 있다. 따라서 『희랍어 시간』에 나타난 언어 형식을 고찰하는 작업은 한강 소설 시학의 특징과 그것의 가치를 규명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희랍어 시간』에서 언어는 인간 존재의 거주 방식을 상징한다. 일찍이 하이데거는 인간이 언어로 거주하는 존재라고 말한 바 있다. 이에 주목할 때, 『희랍어 시간』의 작중인물들이 겪는 소통에의 장애는 그들이 삶에 적용한 형식의 불완전함과 관련이 있다. 여자는 의미의 우글거림 속에 살아가나 그것을 체계화 할 언어 형식이 부재한다. 또한 남자는 의미를 논리적으로 구축할 수 있지만 그 형식은 존재가 거주할 수 없는 공허한 대상이다. 그들은 가능성의 형식을 되찾기 위해 낯선 언어, 즉 희랍어의 세계에 몰입한다. 희랍어는 정교한 체계를 갖췄으면서도 의미의 차이화를 용인하는 독특한 언어이다. 그렇지만 희랍어는 두 사람의 삶에 공통된 의미를 되돌려 줄 언어의 시원으로 기능하지 못한다. 희랍어는 그들의 삶과 유리된 언어에 속하기 때문이다.

『희랍어 시간』에서 언어는 불완전한 형식을 지닌 작중인물들이 접촉하며 충돌 할 때, 가능성의 형식으로 전환된다. 이때 여자와 남자는 분할된 소통의 형식을 유지하면서도 의미를 온전히 전달하는 단수성을 이룬다. 『희랍어 시간』에서 그것은 연인의 공동체로 표상된다. 연인의 형상은 서로의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차이를 용인하며 구축된 가능성의 형식이다. 그것은 과거와 달리 그들의 삶에 사랑과 자유, 신뢰와 연대 등의 인륜적 정신을 생성한다. 이때 언어의 문제는 기호의 차원을 초월하여 인간 존재와 윤리의 영역으로 이행한다. 다시 말해, 『희랍어 시간』에서 상실된 언어는 공동체를 지탱할 윤리가 두 작중인물의 삶에 정박할 때 도래한다. 이것이 『희랍어 시간』이 언어와 형식을 통해 형상하고자 한 윤리의 실천이다.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the form of possibility through “The Greek Lecture” in Gang-Han's novel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co-feminist perspective in “Vegetarian” and the historical context in “Human Acts”, this paper has a purpose to uncover the poetics of Han's novels by examining “The Greek Lecture.” This particular work stands out for its exploration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By examining the form of language in “The Greek Lecture,” we can gain an insight into the broader poetics of Han's novels.

According to Heidegger, language is the house of being, and human lives in the way of language. Similarly, the language in “The Greek Lecture” symbolizes the way of life for the two main characters. Their communication disorders are related to incomplete language forms. While the woman can hear the voice of being, she lacks an appropriate form to interpret it, whereas the man has a logical construction for communication but cannot contain the meaning of being. “The Greek Lecture” explores how to restore the broken system of meaning, and the main characters turn to the Greek language to achieve this goal.

However, the exotic language alone cannot provide a solution. To regain the right system of meaning, the two incomplete forms must collide. This happens incidentally when the main characters face each other's weaknesses, leading to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of lovers. The community of lovers is a form of possibility that is constructed by embracing their incompleteness and differences. As a result, ethical values such as solidarity, love, liberty, and trust are generated in their lives. The matter of language form and communication in “The Greek Lecture” shifts from semiotics to ethics, suggesting that ethical values are the key to overcoming the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In conclusion, an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gets over, when ethical values settle down in human being’s lives. This is the practice of ethics that “The Greek Lecture” shows through the matter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Keywords: “The Greek Lecture”, uncertainty of linguistic sign, the form of possibility, primitive(origin) language, form, Gang-Han, ethics, community of lover
키워드: 『희랍어 시간』, 언어의 불완전성, 가능성의 형식, 시원의 언어, 형식, 한강, 인륜적 정신, 연인의 공동체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2년도 한국리터러시학회 9월 학술발표대회에서 발표한 원고를 수정 보완한 것이다.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1. 한강, 『희랍어 시간』 문학동네, 2018.

2. 논문 및 평론
2. 강계숙·한강, 「작가 인터뷰-삶의 숨과 죽음의 숨 사이에서」, 『문학과사회』 2010. 봄호, 333-348면.
3. 강소희, 「오월을 호명하는 문학의 윤리」, 『현대문학이론연구』 62, 201, 5-31면.
4. 강지희. 「작가 인터뷰-고통으로 ‘빛의 지문’을 찍는 작가」, 『작가세계』 2011 봄호, 43-58면.
5. 김재경, 「소설에 나타난 음식과 권력의 문화기호학-김이태 「식성」과 한강 「채식주의자」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2, 2009, 251-281면.
6. 박진, 「한강 소설에 나타난 주체화의 양상과 타자 윤리 문제」, 『한국언어문화』 59집, 2016, 287-309면.
7. 박진, 「표상 불가능한 타자의 현전과 비표상적 글쓰기의 가능성」, 『현대소설연구』 71, 2018, 123-150면.
8. 신수정, 「한강 소설에 나타나는 ‘채식’의 의미」, 『문학과환경』, 9권 2호, 2010, 193-211면.
9. 심영의, 「5·18 소설에서 항쟁 주체의 문제」, 『민주주의와 인권』 15권 1호, 전남대 5·18연구소, 2015, 39-67면.
10. 우찬제, 「진실의 숨결과 서사의 파동」, 『문학과사회』 23, 2010 봄호, 349-363면.
11. 이선민·송지은, 「문학적 장애재현의 물질성과 생성력」, 『장애의 해석』 1호, 2018, 2-45면.
12. 이숙, 「예술가의 사회적 책무;폭력의 기억과 기억의 본질」, 『현대문학이론연구』 60, 201, 439-462면.
13. 이찬규·이은지, 「한강의 작품 속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 연구-「채식주의자」를 바탕으로」, 『인문과학』 46, 성균관대 인문과학연구소, 2014, 43-67면.
14. 장수익, 「감각과 분열증―한강 소설 연구1」, 『한국현대문학연구』 58, 2019, 393-431면.
15. 조연정, 「광주를 현재화하는 일」, 『대중서사연구』 20권 3호, 2014, 101-138면.
16. 함정임, 「2000년대 한국 소설의 생태학적 고찰」, 『한국문예창작』 9권 1호, 2010, 213-234면.

3. 단행본
17. 이정우, 『사건의 철학』, 그린비, 2016.
18. F-W. 폰 헤르만, 『하이데거의 예술철학』, 이기상·강태성 역, 문예출판사, 1997.
19. 게오르그 루카치, 『소설의 이론』, 반성완 역, 심설당, 1998.
20. 게오르그 루카치, 『영혼과 형식』, 홍성광 역, 연암서가, 2021.
21. 장-뤽 낭시, 『무위의 공동체』, 박준상 역, 인간사랑, 2017.
22. 질 들뢰즈, 『프루스트와 기호들』, 서동욱·이충민 역, 2004.
23. 질 들뢰즈, 『의미의 논리』, 이정우 옮김, 한길사, 2017.
24. 질 들뢰즈, 『주름, 라이프니츠와 바로크』, 이찬웅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9.
25. 모리스 블랑쇼, 『문학의 공간』, 이달승 역, 그린비, 2016.
26. 모리스 블랑쇼, 『카프카에서 카프카로』, 이달승 역, 그린비, 2015.
27. 마르틴 하이데거, 『언어로의 도상에서』, 신상희 역, 나남, 2012.
28. 폴 드 만, 『독서의 알레고리』, 이창남 역, 문학과지성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