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Current Issue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 No. 9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8, pp. 5-4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Dec 2022
Received 01 Dec 2022 Revised 16 Dec 2022 Accepted 16 Dec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12.88.5

반사경으로 역사 쓰기 : 최정희 장편소설 『그와 그들의 연인(1956)』과 『인간사(1964)』를 중심으로
구자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Writing History with a Specular : An Analysis of Choi Jung-hee's Literature Centered on She and Their Lovers (1956) and Human History (1964)
Koo, Jayeon*

초록

이 글에서는 최정희의 장편소설 『인간사(1964)』를 작품 속에 배치된 사물들의 의미에 주목하여 재독해하되, 1950년대에 작가가 창작했던 장편소설 『그와 그들의 연인(1956)』과 견주어 함께 분석함으로써 1950년대에서 1960년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일하는 여성’에 관한 최정희의 시각이 어떻게 변모하였는지를 추적해보고자 한다. 작가는 『그와 그들의 연인』에서는 윤상매라는 여성 인물을 통해 6·25 전쟁으로 남성들이 부재했던 1950년대 한국사회에서 직업여성으로서 성공적인 삶에 도전할 수 있었던 장면을 낙관적인 시선으로 소설화했다. 그러나 『인간사』에 와서는 마채희라는 여성인물을 통해 아이를 낳고 아픈 남편을 돌보며 고단한 삶을 살면서도 직업여성으로 살아갔으나, 장애를 가진 아이들을 낳은 뒤 전업 돌봄 담당자가 되어 가정으로 돌려보내지고 만 서사를 그려냈다. 4·19 혁명이라는 역사의 현장에서 밀려난 채 가정으로 돌려보내진 마채희의 형상은 『사상계』와의 갈등 이후 작가가 한국여류문학인회의 창립 멤버가 되고 이후 2대 회장을 역임하는 과정과도 무관하지 않다.

이러한 최정희의 역사관은 4·19를 기점으로 1960년대를 고평해온 한국 문학사의 통념적 시선과는 반전(反轉)된 양상을 보여준다. 최정희가 1950-60년대 한국사회를 이해한 방식은, 마치 윤상매가 『그와 그들의 연인』에서 6·25 전쟁이 발발하기 전날 밤 모두가 서울을 떠나 피난길에 오를 때 꿋꿋이 기차를 타고 서울로 향하던 장면과도 같이 거꾸로 인식한 것이었다. 이는 특히 『인간사』의 결말부에서 강문오가 마채희를 ‘잔해’로 묘사한 것을 어떻게 해석하면 좋을지의 문제와도 직결되는 것이기도 하다. ‘잔해’라는 평가는 강문오로 대표되는 남성적 시선에 의할 때만 가능한 것일 뿐, 『인간사』 속 사물들의 의미를 경유하여 이 작품을 재독해할 때 마채희라는 여성인물의 저항성을 간취해낼 수 있게 된다. 결국 최정희의 장편소설 『그와 그들의 연인』과 『인간사』는 1950년대와 1960년대의 한국 여성들이 아이를 기르며 어떻게 직업을 영위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짝패를 이루는 두 가지 사고실험으로서, 두 시대적 배경이 여성들에게 어떤 의미로 작용하였는지를 추론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일하는 여성이 봉착하는 딜레마를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현재적 의의를 갖는다. 요컨대 최정희 문학의 양가성은 반사경(specular)을 통해 동굴의 수인을 들여다본 것을 소설화하는 동시에, 수인을 자궁 밖으로 꺼내고 싶었던 산파로서의 욕망을 소설화하는 두 역할이 충돌하며 빚어졌던 모순적인 장면들이었던 것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Abstract

The paper revisited and made a new interpretation of Choi Jung-hee's novel Human History (1964) by focusing on its juxtaposition of objects and what it signifies. On the other hand, the paper also analyzed the novel in relation to Choi's 1950s work, She and Their Lovers (1956), to trace how her viewpoint on "working women" transitioned from the 50s to the 60s. In She and Their Lovers, Choi introduced a female protagonist, Yun Sang-mae, and drew a positive picture of how women could win successful lives by becoming working women as the Korean War's drafting of men left a vacuum in society. However, in her later work, Human History, Choi portrays a different female protagonist, Ma Chae-hui, who strives to keep her job despite having to care for a sick husband and nurse a baby. Still, after giving birth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e is eventually diminished to a full-time carer and dismissed from her workplace. Powerless against the historic maelstrom of the April 19 Revolution, the circumstance of Ma being rejected and sent back home is not unrelated to Choi's personal life, her conflict with the magazine Sasanggye, leading her to become a founding member of Korean Women Writers Association and later serve as its 2nd president.

As revealed in her works and activities, Choi's view of history was the polar opposite of Korean literary history's customary overevaluation of 1960s' works post-April 19 Revolution. Choi's perception of Korean society in the 1950s-60s was the reverse of what was the norm, as evidenced by Yun in She and Their Lovers, who unyieldingly jumps on a train to Seoul when everyone else is hurriedly evacuating Seoul the night before the Korean War began. On the other hand, the scene directly links to Kang Mun-o's description of Ma as "remains" near the ending of Human History and the issue of how Kang's words should be interpreted. Assessing Ma as "remains"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masculine gaze - symbolized by Kang in the novel - and only after we reinterpret the work through the meanings signified by the objects in the story could we detect Ma's spirit of resistance. Ultimately, She and Their Lovers and Human History are an interdependent pair of Choi's thought experiments on how it was possible for Korean women in the 1950s and the 1960s to raise children and work simultaneously. And not only do Choi's experiments allow us to infer how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respective decades had influenced women, but they are astonishingly contemporaneous to us in that they vividly depict the same dilemmas that have challenged working women in all eras. In other words, the contradictoriness in Choi's literary works must be understood as the paradoxical scenes produced by the conflicts between her choice to fictionize the prisoners in the cave through a specular (in the sense of Luce Irigaray) and her desire to rescue them just as a midwife would guide a baby out from the womb.


Keywords: Choi Jung-hee, She and Their Lovers, Human History, the 1950s-60s Korean literature, specular, Luce Irigaray, history of objects
키워드: 최정희, 『그와 그들의 연인, 『인간사』, 1950-60년대 문학, 일하는 여성, 반사경, 뤼스 이리가레, 사물들의 역사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여원』, 『조선일보』.
2. 최정희, 『人間事』, 新思潮, 1964.
3. 최정희, 이병순 편, 『떼스마스크의 悲劇, 그와 그들의 戀人: 1950년대 최정희 신문연재소설』, 푸른사상, 2018.
4. 최정희, 『최정희 隨筆集: 젊은 날의 證言』, 育民社, 1962.

2. 단행본
5. 권김현영,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 교양인, 2017.
6. 권보드래·천정환, 『1960년대를 묻는다』, 천년의상상, 2012.
7. 김건우, 『사상계와 1950년대 문학』, 소명출판, 2003.
8. 김복순, 『“나는 여자다”-방법으로서의 젠더: 최정희론』, 소명출판, 2012.
9. 김윤식·정호웅, 『개정증보판: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0.
10. 사단법인 한국여성문학인회, 『한국여성문학인회 50년사: 1965-2015』, 동학사, 2015.
11. 서동수, 『한국여성작가연구: 최정희·김지원』, 한국학술정보, 2010.
12.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원』 연구모임, 『『여원』연구-여성교양매체-』, 국학자료원, 2008.
13. 홍희담, 『깃발』, 창작과비평사, 2003.
14. 사라 아메드, 성정혜·이경란 역, 『행복의 약속』, 후마니타스, 2021.
15. 제인 베넷, 문성재 역, 『생동하는 물질』, 현실문화, 2020.
16. 캐서린 겔버, 유민석 역, 『말대꾸: 표현의 자유 VS 혐오 표현』, 에디투스, 2019.
17. 뤼스 이리가레, 심하은·황주영 역, 『반사경: 타자인 여성에 대하여』, 꿈꾼문고, 2021.
18. 조앤 W.스콧·루이스 A.틸리, 김영 역, 『여성 노동 가족』, 앨피, 2021.

3. 논문
19. 김양선, 「‘한국여류문학상’이라는 제도와 1960년대 여성문학의 형성」, 『여성문학연구』 31,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121-147면.
20. 김복순, 「전향자의 역사 다시쓰기」, 『여성문학연구』 24,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225-256면.
21. 김현, 「한국비평의 가능성」, 『68문학』, 한명문화사, 1969.
22. 나보령, 「부역작가도, 종군작가도 아닌―1950년대 최정희의 문학 활동에 대한 재조명」, 『현대소설연구』 83, 현대소설학회, 2021, 251-282면.
23. 박죽심, 「최정희 문학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4. 방민호, 「1930년대 후반 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의미」, 『현대소설연구』 30, 한국현대소설학회, 2006, 61-91면.
25. 배상미,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넘어서려는 연합적 정치들: 해방기 최정희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9,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64-90면.
26. 서영인, 「한일 여성문학과 전쟁협력-최정희와 하야시 후미코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69, 한국언어문화학회, 2019, 117-140면.
27. 소영현, 「애도하는 여자들-페미니즘 서사의 역사 다시 쓰기-」, 『현대문학의 연구』 74,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557-589면.
28. 손유경, 「일하는 사람의 ‘아플’ 권리-1980년대 소설에 나타난 노동자의 질병과 섹슈얼리티」, 『상허학보』 50, 상허학회, 2017, 223-250면.
29. 손유경, 「잔해(殘骸)의 목격: 최정희의 「人間史」론」, 『구보학보』 20, 구보학회, 2018, 423-450면.
30. 송은영, 「김병익의 초기 대중문화론과 4.19 세대의 문화민주주의」, 『대중서사연구』 20(3), 대중서사학회, 2014, 309-338면.
31. 오태영, 「전후 여성의 이동과 (반)사회적 공간의 형성-정비석의 『자유부인』과 손소희의 『태양의 계곡』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72, 한국문학연구학회, 2020, 63-97면.
32. 이병순, 「1950년대 중반 최정희의 장편소설 연구―<떼스마스크의 비극>과 <그와 그들의 연인>을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73,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83-105면.
33. 허윤, 「기억의 탈역사화와 사이의 정치학: 최정희의 『녹색의 문』 연작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28,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5, 109-13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