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Current Issue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 No. 9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7, pp. 541-56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2
Received 09 Aug 2022 Revised 14 Sep 2022 Accepted 14 Sep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09.87.541

기술철학적 관점에서 본 SF 성장소설과 인간-비인간의 앙상블 : 천선란의 『천 개의 파랑』을 중심으로
진선영**
**세종대학교 대양휴머니티칼리지 초빙교수

SF Bildungsroman and Human-NonHuman Ensemble from a Technological philosophical Perspective : Focusing on Cheon Seon-ran's A Thousand Blue
Jin, sun young**

초록

본고는 기술철학적 관점에서 천선란의 『천 개의 파랑』을 연구대상으로, 인간과 기계(비인간)의 새로운 관계성에 주목고자 하였다. 기계와 인간의 공존을 긍정하는 시몽동의 기술철학적 사유와 개체화론을 바탕으로, 휴머노이드가 보여주는 양립 불가능하고 불일치하는 것들(인간과 비인간) 사이를 연결하는 관계성은 기술과 인간이 함께하는 서사를 통해 인간 중심의 휴머니즘과 다른 새로운 휴머니즘을 꿈꾸게 한다.

소설의 초반부에서 인간과 비인간을 매개하는 기술적 개체(기계) C-27은 동물과 로봇, 두 비인간 개체를 매개하였다면, 콜리로서의 삶에서는 개체를 관통하는 인간과 비인간과의 연대가 이루어진다. 기계를 만지고, 부품을 조합하고, 설계의 작동 방식을 설명할 때 가장 빛나는 인간 우연재는 기술적 대상과의 연합(소프트 휠체어)을 통해 발명가-기술적 주체로 거듭난다. 연재가 보여주는 ‘영 어덜트(Young Adult)’성은 기술적 앙상블을 구축할 줄 아는 새로운 휴머니즘 ‘발명가-기술자로서의 인간’의 모습을 소환하기에 다분히 SF적 성장소설이라 할 만하다.

시몽동의 존재론이자 인식론을 대표하는 개체화론의 핵심은 독립성이 아니라 관계성에 있다. 경주마를 주로에 세우기 위한 휴머노이드(기술적 개체)와 자매의 파트너십은 설득과 동맹을 무기로 우호적 환경을 넓혀간다. 생명의 호흡을 함께 느끼며 스스로를 경주마의 파트너라고 말하는 휴머노이드, 기계의 통역자이자 조정자인 발명가-기술적 주체, 동물을 유일한 친구로 둔 장애를 지닌 소녀, 경마장이라는 자본의 논리에 묶이면서도 동물권을 사수하는 수의사, 공익과 생명권 사이에서 생명권을 선택하는 언론인은 기술적 대상을 매개로 경주마를 살리기 위한 연합 환경(milieu)인 것이다. 기술적 개체가 존재론적 기반을 넘어 초월적 연대를 조직화할 수 있는 근거는 정서적 감동에 있다. 기술적 개체와 인간의 연대, 인간-비인간의 앙상블은 결국 안락사를 앞둔 경주마의 생명을 지켜주자는 청원으로 이어져 투데이에게 진짜 초원을 선물하는 계기로 이어진다.

Abstract

This paper aims to pay attention to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machines (non-human) as the subject of the study of Cheon Seon-ran's A Thousand blue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ical philosophy. Simondon affirmed the coexistence of machines and humans through technology philosophy and individualization theory. Simondon emphas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necting and communicating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because independent individuals are created in a multi-layered relationship.

Act 1 of C-27, a technical individuation that connects humans and non-human beings, deal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s and robots, while Act 2, called collie, is linked to humans and non-human beings. Human coincidences that shine the most when touching machines, combining parts, and explaining how designs work are reborn as 'inventors-technical subjects' through association with technical individuation. Young Adult, shown by Woo Yeon-jae, is an SF Bildungsroman because it summons the appearance of a new humanism “inventor-human as an engineer” who can build a technical ensemble.

The center of Simondon's theory of individualization is not independence, but relationship. The partnership between technical subjects and sisters creates an alliance through persuasion. Humanoid, inventor-technical subject, girl with disability with animals as her only friend, veterinarian who protects animal rights, and journalist who chooses life rights are united milieu to save Today through technological objects. Technological objects, human solidarity, and human-non-human ensembles eventually lead to a petition to protect the life of a racehorse ahead of death, leading to an opportunity to present real grasslands to Today.


Keywords: Cheon Seon-ran, A Thousand Blue, SF Bildungsroman, Technological philosophy, Simondon, Human-NonHuman, Ensemble
키워드: 천선란, 천 개의 파랑, SF 성장소설, 기술철학, 시몽동, 인간-비인간, 앙상블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2022년 한국현대소설학회 전국학술대회 (주제:1990년대의 역사화3-1990년대 장르와 독자, 2022.06.11)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천선란, 『천개의 파랑』, 허블, 2021.

2. 단행본
2. 김재희, 『시몽동의 기술철학』, 아카넷, 2017.
3. 송성수, 『기술의 역사』, 살림, 2009.
4. 이광석 외, 『현대 기술ㆍ미디어 철학의 갈래들』, 그린비, 2019.
5. 그레이엄 하먼, 『브뤼노 라투르:정치적인 것을 다시 회집하기』, 김효진 옮김, 갈무리, 2021.
6. 셰릴 빈트, 『에스에프 에스프리』, 전행선, 정소연 옮김, 아르테, 2019,
7. 시몽동,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 양식에 대하여』, 김재희 옮김, 그린비, 2011.
8. 시몽동, 『형태와 정보 개념에 비추어 본 개체화』, 황수영 옮김, 그린비, 2017.
9. 아네르스 블록, 토르벤 엘고르 옌센 지음, 『브뤼노 라투르』, 황장진 옮김, 사월의 책, 2017.
10. 에른스트 카프, 『기술철학 개요:새로운 관점에서 본 문화 생성사』, 조창오 옮김, 그린비, 2021.
11. 장 이브 고피, 『기술철학:테크노월드 속의 도구적 인간』, 황수영 옮김, 한길사, 2003.
12. 한스 요나스, 『기술 의학 윤리:책임 원칙의 실천』, 이유택 옮김, 솔, 2005.

3. 논문
13. 강민혁, 「하늘과 땅과 인간과 기계들의 우정」, 『한겨레』, 2020.9.4., https://www.hani.co.k, 접속일 2022.5.23.
14. 강진숙, 「포스트휴먼 담론의 사유와 미학적-윤리적 역량 연구:시몽동과 들뢰즈, 과타리의 인간-기계 사유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2, 한국언론학회, 2018, 385-414면.
15. 김지혜, 「지구에서 ‘다름’이 멸종되지 않기를... 천선란 ‘나인’」, 『경향신문』, 2021. 11.12.
16. 리디, 「[<천 개의 파랑> 작가 천선란 인터뷰, 나의 글이 누군가에게 울 수 있는 핑계가 되었으면」, 『brunch』, 2020.12.31., http://www.brunch.co.kr, 접속일, 2022.5.28.
17. 박성우, 「기술적 대상과 디지털 밀리유의 정치경제학」, 『문화와 정치』 3권 2호,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6, 155-173면.
18. 박은영, 「성장소설의 서사모형을 통한 황순원 소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2011.
19. 배훈식, 「[인터뷰] 천선란 작가 “학교폭력, 아이 주변 어른들에게는 왜 죄 묻지 않나”」, 『NEWSIS』, 2021.12.12., https://newsis.com, 검색일, 2022.4.22.
20. 손화철, 「실천철학으로서의 기술철학」, 『포스트휴먼융합인문학 협동과정 연속 콜로키움 자료집』, 이화여자대학교, 2021.7.12.
21. 송석주, 「김초엽, 장류진, 천선란, 31만 명이 꼽은 미래 작가」, 『독서신문』, 2021.8.13., https://www.readersnews.com, 접속일 2022.4.20.
22. 양윤의, 차미령, 「천선란 소설에 나타난 ‘비인간’의 가능성-페미니즘과 SF의 동맹에 주목하여」, 『현대소설연구』 84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21, 233-262면.
23. 오윤주, 「기술 문명 시대 문학의 대응 양상 연구-2000년대 이후 한국 SF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88, 우리말글학회, 2021, 337-371면.
24. 유슬기, 「SF계의 경이로운 소문 《천 개의 파랑》 작가 천선란, 하나의 파랑이 되어」, 『topclass』, 2021년 6월호, https://topclass.chosun.com/, 접속일, 2022.4.22.
25. 이지은, 「위기의 지구에서 빗장bar 옮기기」, 『문학동네』 107호, 문학동네, 561-567면.
26. 장문정,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미학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2021.
27. 장민지, 「영 어덜트(Young Adult), 청소년과 어른의 경계에선 주체들」, 『시사저널』, 2019.10.28., www.sisajournal-e.com, 접속일 2021.4.18.
28. 전우용, 「[작가들이 사는 마을] 한국 SF 소설의 떠오르는 샛별 ‘천선란’」, 『NEWS NBOOK』, 2021.12.24., http://www.newsnbook.com/, 접속일, 2022.1.22.
29. 정진우, 김창훈, 김지숙, 「실과 교과서 ‘생활과 기술’ 단원 발명 교육 내용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8, 한국기술교육학회, 2018, 103-122면.
30. 황수영, 「시몽동의 관계의 존재론에서 정신적, 집단적 개체화」, 『미술과 교육』 18,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7, 1-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