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Current Issue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 No. 9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7, pp. 57-100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2
Received 21 Aug 2022 Revised 14 Sep 2022 Accepted 14 Sep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09.87.57

1990년대 한국의 『은하영웅전설』수용에 관한 고찰 : 1990년대 초반 베스트셀러와의 비교 연구
이석**
**인천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조교수

A Study on the Reception of Legend of the Galactic Heroes in Korea of the 1990s : Comparing with the Best Sellers in the Early 1990s
Lee, Seok**
Funding Information ▼

초록

1991년에 번역된 『은하영웅전설 (은영전)』은 90년대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며 오늘날까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90년대 베스트셀러인 『상실의 시대』(1989)와 『영원한 제국』(1993)을 『은영전』을 비교해 90년대 담론 질서 속에서 『은영전』을 파악하기로 한다.

『상실의 시대』는 한국에서 거대담론이 실추한 90년대의 정서를 대변한 작품으로 많은 화제를 모았는데 『은영전』도 절대적인 신념에 대한 회의를 그리며 『상실의 시대』와 유사한 주제의식을 담고 있다. 『상실의 시대』와 더불어 『은영전』은 90년대에 유행한 해체주의를 반영하고 있었다.

한편, 『영원한 제국』은 ‘정조 신드롬’이나 ‘박정희 신드롬’과 같이 보수적인 권위가 부활하는 90년대 분위기를 표현해 베스트셀러의 반열에 올랐다. 이에 반해, 『은영전』은 영웅서사의 형식을 빌려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를 끊임없이 상대화했다. 90년대에 『은영전』은 역사의 권위를 탈구축하며 『영원한 제국』과는 상반된 관점을 제시하는 데 성공했다.

이와 같은 비교 연구를 통해 『은영전』은 해체주의와 상대주의를 형상화해 90년대에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Translated in 1991, Legend of the Galactic Heroes (LOGH) enjoyed popularity in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LOGH in the context of 1990s, this paper compares LOGH with the bestselling novels like Norwegian Wood and Eternal Empire.

Murakami Haruki’s Norwegian Wood was famous in Korea for describing the mentality of the people who suffered the collapse of the grand narrative. LOGH also depicted the skepticism about absolute beliefs, so it contained a theme similar to Norwegian Wood. Along with Norwegian Wood, LOGH tried to incorporate the thought of deconstruction which was in fashion in the 1990s.

Meanwhile, Eternal Empire became a bestseller by representing the revival of conservatism. In contrast to Eternal Empire, LOGH challenged the authority of history. Consequently, LOGH constantly defamiliarized history by adopting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we can understand that LOGH established unparalleled position in the 1990s by embodying deconstruction and relativism.


Keywords: Norwegian Wood, Eternal Empire, Post-modern, Deconstruction, Historical Novel
키워드: 『상실의 시대』, 『영원한 제국』, 포스트모던, 해체주의, 역사소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인천대학교 2022년도 자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1. 1차 자료
1. 다나카 요시키 (저) 최학준 (역), 『은하영웅전설』 1-10, 을지서적, 1991.
2. 무라카미 하루키, 유유정, 『상실의 시대』, 문학사상, 1989.
3. 이인화, 『영원한 제국』, 세계사, 1993.
4. 田中芳樹, 『銀河英雄伝説』 1-10, 徳間書店, 1982-1987.

2. 단행본
5.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432면.
6. 이인화, 『개정판 영원한 제국』, 세계사, 2006, 399면.
7. 한기호, 『베스트셀러 30년』, 교보문고, 299면.
8. 다나카 요시키 (저), 김완 (역), 「은하영웅전설을 만드는 법 -다나카 요시키 인터뷰 Part1」, 『은하영웅전설 1- 여명편』, 디앤씨미디어, 2011, 398면.
9. 東浩紀, 『ゲーム的リアリズムの誕生 -動物化するポストモダン2』, 講談社, 2007, pp.288-289.
10. 宇野常寛, 『リトル·ピープルの時代』, 幻冬舎, 2015, pp.43-44.
11. 大澤真幸, 『虚構の時代の果て―オウムと世界最終戦争』, 筑摩書房, 1996, pp.88-114.
12. 「銀英伝」 研究特務班, 『「銀河英雄伝説」研究序説』, 三一書房, 1999, pp.180-268.
13. 田中芳樹, 「田中芳樹インタビュウ PART 2」, 『田中芳樹読本』, 早川書房, 1994, pp.84-86.

3. 논문
14. 강성환, 『『銀河英雄傳說』 등장인물의 이데올로기 』, 전남대 일어일문과 석사논문, 2009, 27-127면.
15. 김경현, 「시평2 ‘시오노 나나미 현상’과 역사 바로 읽기」, 『역사비평』 39, 1997, 164-165면.
16. 김백철, 「1990년대 한국사회의 ‘정조신드롬’ 대두와 배경 -나약한 임금에서 절대계몽군주로의 재탄생-」, 『국학연구』 18, 2011, 15-18면.
17. 김영찬, 「무라카미 하루키, 사라지는 매개자와 1990년대 한국문학」, 『한국학논집』 72, 8-9면.
18. 김영현·김이구·이문재·채호기, 「거대담론이 사라진 자리에 상업성의 바람이 -90년대 문학출판의 지형도를 풀어본다-」, 『출판저널』 253, 1999, 4-7면.
19. 김정자, 「역사 다르게 읽기, 그 허와 실에서 본 소설 <영원한 제국> 」, 『현대소설연구』 15, 2001, 377-397면.
20. 김효진, 「한국 동인문화와 야오이; 1990년대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0, 2013, 277면.
21. 남진우, 「오르페우스의 귀환 ―무라카미 하루키, 댄디즘과 오컬티즘 사이에서 방황하는 청춘-」, 『문학동네』 11, 1997, 355-380면.
22. 박유희, 「총론」,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2 : 역사허구물』, 이론과실천, 2009, 33면.
23. 박천홍, 「베스트셀러로 본 90년대 문학출판」, 『출판저널』 253, 199, 10면.
24. 설준규, 「소문난 잔치의 먹을거리: “세계관의 대립”? (이인화 장편소설 『영원한 제국』, 세계사 1993)」, 『창작과비평』 82, 1993, 426-427면.
25. 오혜진, 「역사추리소설의 진원지에 대한 고찰 -이인화의 『영원한 제국』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67, 2016, 218-219면.
26. 이은자, 「역사추리소설의 대중성과 문학적 가능성 -이인화의 『영원한 제국』을 중심으로」,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대중문학연구 3』, 국학자료원, 1997, 242-249면.
27. 이주형, 「한국역사소설의 성취와 한계」, 『현대 한국문학 100년』, 민음사, 1999, 184면.
28. 정종현, 「뒤늦게 도착한 ‘68혁명’-1990년대 한국문학과 ‘무라카미 하루키’, ‘밀란 쿤데라’, ‘다이 호우잉’의 번역 소설-」, 『한국학연구』 58, 2020, 676-678면.
29. 조명기, 「’90년대 대중(위에 군림하는)소설 -『아버지』, 『천년의 사랑』,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영원한 제국』을 중심으로-」, 『오늘의 문예비평』, 1997,142면. 
30. 천정환, 「한국 독서사 서술 방법론(1) -독서사의 주체와 베스트셀러 문화를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43, 2016, 31-36면.
31. 최민성, 「정조(正祖)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의미 -소설 『영원한 제국』을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 Vol.49, 2016, 182-183면.  
32. 한만수, 「90년대 베스트셀러 소설, 그 세계관과 오락성 -『소설 동의보감』, 『천년의 사랑』,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영원한 제국』, 『아버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20, 1998, 200-201면.
33. 황도경, 「포스트모던적 글쓰기에 숨은 복고주의의 위험성 : 「영원한 제국」, 이인화 著 <書評>」, 『서평문화』 12, 1993, 10-14면.
34. 황순재, 「상업적 대중소설의 이데올로기적 기반」, 『오늘의 문예비평』, 1993, 6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