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Current Issue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 No. 9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6, pp. 99-130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2
Received 14 May 2022 Revised 10 Jun 2022 Accepted 10 Jun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06.86.099

심훈 『상록수』에 나타난 노동서사와 순교서사의 경합
이가은*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The Competition of the Labor Narrative and the Martyrdom Narrative in Shim Hoon’s Sangnoksu
Lee, Ga-Eun*

초록

심훈의 장편소설 『상록수』는 두 주인공 ‘박동혁’과 ‘채영신’을 각각 중심으로 하는 두 서사 플롯의 교차로 이루어져 있다. 박동혁의 서사는 노동서사 마스터플롯을 따르는데, 이는 시련을 통해 계급적 진실을 깨닫고 새로운 인식을 얻는 노동자 또는 지식인의 성장서사이다. 동혁은 여러 시련을 겪으며 ‘경제운동’에 대한 인식을 획득한다. 노동서사의 마스터플롯에 따르면 채영신의 죽음은 ‘문화운동’의 한계를 보여 주는 ‘실패’이자, 박동혁이라는 노동자 지식인이 성장하게끔 해 주는 시련으로 작용한다. 채영신의 서사는 순교서사의 마스터플롯과 유사점이 있는데, 이는 수정 또는 비혼을 추구하며 시련을 극복하여 단련하고 그 끝에 순교라는 죽음을 성취하는 것이다. 영신은 동혁과의 사이에서 끝내 결혼하지 않고, 공권력의 압박, 부모의 혼인 강요, 자신의 질병, 그리고 동혁의 신앙 비방 등의 시련을 견뎌내고 끝내 죽음을 맞는다. 순교서사의 마스터플롯으로 보았을 때 채영신의 죽음은 실패가 아닌, 오히려 끝내 달성하고자 했던 ‘순교’라는 목표 지점으로 읽힌다. 두 플롯은 하나의 이야기로 ‘결합’하지 않고, 오히려 ‘경합’한다. 각각의 플롯은 상대 플롯을 자기화하여 재해석하지만, 어느 쪽이든 완벽하게 하나로 합치되지 않는 균열을 남긴다.

Abstract

Shim Hoon’s Sangnoksu consists of the intersection of two narrative plots each centered on Park Dong-hyuk and Chae Young-shin. Park Dong-hyuk’s narrative follows the masterplot of the labor narrative, which is the growth narrative of workers or intellectuals who realize the class consciousness and gain new recognition through ordeals. According to the masterplot of the labor narrative, Chae Young-shin’s death acts as an ordeal for Park Dong-hyuk to grow. Chae Young-shin’s narrative follows the masterplot of the martyrdom narrative, which tries to keep chastity or non-marriage, overcomes ordeals, and achieves the glorious death of martyrdom at the end. In terms of the masterplot of the martyrdom narrative, Chae Young-shin’s death is a goal point of martyrdom. The two plots do not “combine” into a single story, but rather “compete”. Each plot reinterprets the other plot to itself’s own, but either leaves a crack that does not perfectly fit into one.


Keywords: Shim Hoon, Sangnoksu, labor narrative, martyrdom narrative, masterplot
키워드: 심훈, 상록수, 노동서사, 순교서사, 마스터플롯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심훈, 『상록수』(연재본), 『동아일보』, 문학사상사, 1935년 9월 10일-1936년 2월 15일.
2. 김광수, 『한국 기독교 순교사』, 송원한국교회사연구원, 1979.
3. 김춘배, 『순교사화집』, 성문학사, 1951.
4. 현석문 외, 『긔일긔』(활판본), 1905(1986년 영인본).
5. 『동아일보』, 『조선일보』, 『조선중앙일보』, 『중앙』, 『중외일보』

2. 단행본
6. 백철, 『新文學思潮史』, 신구문화사, 1986.
7. 유기환, 『노동소설, 혁명의 요람인가 예술의 무덤인가』, 책세상, 2003.
8. 정병설, 『죽음을 넘어서 : 순교자 이순이의 옥중편지』, 민음사, 2014.
9. H. 포터 애벗, 우찬제 외 역, 『서사학 강의-이야기에 대한 모든 것』, 문학과지성사, 2010.
10. 마테오 리치, 송영배 외 역주, 『천주실의-연구와 번역』,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3. 논문
11. 구수경, 「沈熏의 「상록수」考」, 『어문연구』19, 어문연구학회, 1989, 435-449면.
12. 김경연, 「1930년대 농촌·민족·소설로의 회유(回遊) - 심훈의 『상록수』론」, 『한국문학논총』48, 한국문학회, 2008, 193-223면.
13. 김정경, 「조선 후기 천주교 성인전 연구-한글본 『성년광익』에 나타난 기적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40(1),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223-252면.
14. 김정경, 「조선후기 천주교 성인전과 순교일기의 비교 연구」, 『한국고전연구』39,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329-365면.
15. 류양선, 「≪상록수≫론」, 『한국현대문학연구』4, 한국현대문학회, 1995, 7-34면.
16. 서영인, 「프로문학의 자기반성과 여성의 타자화」, 『민족문학사연구』45,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137-165면.
17. 유진월, 「심훈의 저항과 계몽, 이용후생의 한 방식」, 『우리문학연구』69, 2021, 491-514면.
18. 이동길·남상권, 「심훈의 장편소설 『상록수』연구-계몽과 탈선의 의미화: 집짓기 모티브를 중심으로」, 『우리말글』66, 우리말글학회, 2015, 289-317면.
19. 장문석·이은지, 「임화의 ‘오빠’, 송영」, 『한국학연구』33,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201-235면.
20. 최은혜, 「식민지 사회주의 농촌소설에서의 주체와 공동체-『고향』과 『상록수』겹쳐 읽기」, 『현대문학이론연구』85, 2021, 221-25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