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Current Issue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 No. 9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5, pp. 117-15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22
Received 28 Jan 2022 Revised 10 Mar 2022 Accepted 10 Mar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03.85.117

‘목소리’의 재현을 통해 실현된 자기 이야기의 역사화 욕망 : 1990년대 한국 김인숙과 타이완 구묘진(邱妙津)의 소설을 대상으로
황관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Historization of Self-narrative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Voices’ : A Case Study of Kim In-sook and Chiu Miao-chin’s 1990’s Novels
Huang, Kuan-chen**
Funding Information ▼

초록

1990년대는 이념/탈이념, 집단/개인이라는 변화의 접합지점에 서 있는 시대로서 페미니즘을 탄생시킨 기념비적인 시기이다. 특히 식민지 경험으로 인해 타의적인 방식으로 근대화와 접촉한 한국과 타이완은 계급과 민족적 문제의 차원에서 여성들이 저항해야 할 대상은 자본주의와 가부장제만이 아니다. 가부장제, 또는 가부장제와 유착관계를 가지게 된 이데올로기의 변모로 인해 여성들은 얼굴을 비추거나 목소리를 들려줄 공간과 욕망이 제한적으로 범주화된다. 이런 역사적 배경을 감안하여 90년대 한국과 타이완의 여성적 글쓰기를 ‘욕망의 표출’로 조명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가 된다.

전쟁과 독재정권이 남긴 집단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한국과 타이완에서 페미니즘의 ‘재현’ 작업이 뒤늦게 본격화됐다. 김인숙과 구묘진은 비전형적인 여성성을 대변하는 작가로서 중산층 엘리트 여성이라는 신분 때문에 얻을 수 있었던 자기 현현과 가시화의 기회와 씨름을 하는 것은 공통된 숙명으로 삼고 있다. 계급적으로 중심이면서 젠더적으로 주변인 현실 삶의 충돌은 그들 내면의 모순으로 전환되며 이중적인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와 재정립의 욕망으로 발현된다. 김인숙은 후일담, 구묘진은 일기체/서간체 형식의 소설을 거쳐 주변부에 위치한 사람들 마음속의 일탈적 욕망과 에로틱한 육체의 쾌락 등 감정들을 대중들 앞에 나타낸다. 불순하고 젠더 ‘본질’을 위반한 것으로 여겨지던 여성/퀴어의 은밀한 욕망은 ‘말’과 ‘몸’이라는 매개체를 경유해 형상화된다. 그들의 소설은 남성의 기준에 비친 ‘여성’과 차별화되는 목소리를 들려주는 전형적인 고백 서사의 효과뿐만 아니라 단일화되지 않게끔 탈집단화를 지향하는 욕망 충족에 치닫게 된다. 여성의 자기 이야기를 그대로 재현함으로써 본질론을 초월하는 다원적이고 유동적인 정체성을 성공적으로 재생산한다. 김인숙과 구묘진의 소설은 여성이라는 젠더적 개념에 그치지 않고 자율적인 인간으로 거듭나는 역사화 욕망을 형상화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이를 바탕으로 역사·정치·문화 기반이 상이한 양국에서 현대 젠더문제를 대응하는 문학의 장을 재구성할 계기를 남겨준다.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 of ‘voice’s expression’ in Kim In-sook and Chiu Miao-chin’s 1990’s novels to find out how the women’s desire be illuminated through the feminine writing. Feminism’s representation work began late in Korea and Taiwan to overcome the collective crisis left by the war and dictatorship. Considering this historical background, it is an important issue to focus on the feminine writing of Korea and Taiwan in the 1990s.

Kim In-sook and Chiu Miao-chin, as writers representing atypical femininity, had a common fate of wrestling with their dual identity while enjoying the opportunity to visualize themselves as middle-class intellectuals without abandoning their status as elite women. Therefor, the conflict of real life, in which about their central position of cultural class but also marginal in the social system, turns into a contradiction within them and manifests itself as a desire to explore and re-establish one's identity. Kim In-sook and Chiu Miao-chin express emotions such as deviant desires and erotic physical pleasures in people living one the margins of society through later-talked and diary/epistolary novels. The secret emotions, which were considered impure and violated the so-called gender ‘essence’, are embodied through the narrative about ‘words’ and ‘body’ expressed by the writer with imagination. Their novels not only have an effect on typical confession narratives that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female’ reflected in men's standards, but also fulfill the desire for de-collectivization. By representing the woman's own story as it is, it has successfully reproduced the pluralistic and fluid identity that transcends essentialism. Kim In-sook and Chiu Miao-chin's novels focused on shaping women's desire for historization, not in the gender status, but as an autonomous human being. Based on this, it leaves an opportunity to reorganize the field of literature in both countries to respond to modern gender problems as a third world.


Keywords: Kim In-sook, Chiu Miao-chin, Historization, Voice, Feminine Writing
키워드: 김인숙, 구묘진, 역사화, 목소리, 여성적 글쓰기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1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육연계사업 연구·교육연계과제로 수행된 연구임(AKSR2021-RE02). 본고를 섬세하게 평하여주신 익명의 심사위원 분들께 감사를 표한다.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김인숙, 『칼날과 사랑』, 창작과비평사, 1993.
2. 김인숙, 『유리 구두』, 창작과비평사, 1998.
3. 구묘진, 방철환 역, 『악어 노트』, 움직씨, 2019.
4. 구묘진, 방철환 역, 『몽마르트르 유서』, 움직씨, 2021.

2. 단행본
5. 김열규 역, 『페미니즘과 문학』, 문예출판사, 1988.
6. 김경수, 『페미니즘과 문학비평』, 고려원, 1994.
7. 김미현, 『한국여성소설과 페미니즘』, 신구문학사, 1996.
8. 김은실, 『여성의 몸, 몸의 문화 정치학』, 또하나의문화, 2001.
9.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10. 김원식, 『배제, 무시, 물화-한국사회를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사월의책, 2015.
11. 권보드래외 12명,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믿음사, 2018.
12. 미셜 푸코, 황정미 역, 『미셜 푸코, 섹슈얼리티의 정치와 페미니즘』, 새물결, 1995.
13. 산드라 길버트, 수전 구바, 박오복 역, 『다락방의 미친 여자』, 이후, 2009.
14. 소영현외 12명, 『#문학은_위험하다』, 민음사, 2019.
15. 우치다 타츠루, 이경덕 역,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 갈라파고스, 2010.
16. 주디스 버틀러, 조현준 역,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8.
17. 한용환, 『서사 이론과 그 쟁점들』, 문예출판사, 2002.
18. 한일섭, 『서사의 이론: 이야기와 서술』, 한국문화사, 2009.
19. 紀大偉, 『晚安巴比倫─網路世代的性慾、異議, 與政治閱讀』, 探索, 1998.
20. 福柯, 汪民安 편, 『福柯讀本』, 北京大學出版社, 2010.
21. 陳芳明, 『台灣新文學史(下)』, 聯經, 2011.

3. 논문
22. 김보경, 「기억은 헤게모니의 욕망에 어떻게 호출되는가: 후일담 문학과 『독학자』의 권력욕망」, 『당대비평』, 생각의나무, 2004, 131-140면.
23. 김남옥, 「‘386’세대 경험의 문화적 형상화-김인숙, 공지영을 중심으로」, 『사회와이론』, 한국이론사회학회, 2010, 271-303면.
24. 김은하, 「386세대 여성 후일담과 주변인으로서 글쓰기」, 한국여성철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10, 99-114면.
25. 김은하, 「386세대 여성 후일담과 성/속의 통과제의: 공지영과 김인숙의 소설을 대상으로」, 『여성문학연구』23,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43-78면.
26. 김민수·오경환, 「감정과 정동 사이: 감정의 역사화를 위한 방법론적 시론」, 『역사와경계』111, 부산경남사학회, 2019, 1-28면.
27. 박소진, 「386세대와 젠더:남성헤게모니와 386세대 여성」, 『비교문화연구』26(2), 서울대학교 비교문학연구소, 2020, 5-42면.
28. 오태호, 「상실의 사랑에서 기억의 회복으로-김인숙론」, 『작가세계』24(2), 세계사, 2012, 59-79면.
29. 이철승, 「세대, 계급, 위계-386세대의 집권과 불평등의 확대」, 『한국사회학』53(1), 한국사회학회, 2019, 1-48면.
30. 이지은, 「7,80년대 김지하의 시학, ‘목소리’의 형식을 통한 ‘민중’과 ‘죽은 하위주체’의 역사화」, 『한국시학연구』59, 한국시학회, 2019, 573-616면.
31. 정홍수, 「실존의 글쓰기, 목숨의 글쓰기」, 『창작과비평』26(3), 창작과비평사, 1998, 368-378면.
32. 한상진, 「탈인습 세대의 형성과 분화-사회변동 주체의 탐색」, 『사회와이론』, 한국이론사회학회, 2007, 7-48면.
33. 황순재, 「일상적 삶과 감춰진 세속적 욕망-김인숙 소설집 『칼날과 사랑』(창작과비평사)」, 『오늘의 문예비평』, 오늘의 문예비평, 1993, 211-221면.
34. 劉亮雅, 「愛慾, 性別與書寫: 邱妙津的女同性戀小說」, 『中外文學』26(3), 國立臺灣大學外國語文學系&國立臺灣大學出版中心, 1997, 8-30면.
35. 劉亮雅, 「世紀末台灣小說裡的性別跨界與頹廢」, 『中外文學』28(6), 國立臺灣大學外國語文學系&國立臺灣大學出版中心, 1999, 109-131면.
36. 邱貴芬, 「戰後以來台灣女性小說發展概況」, 『台灣文學館通訊』18, 國立台灣文學館, 2008, 58-62면.
37. 林佩苓, 「依違於中心與邊陲之間」, 『女學雜誌:婦女與性別研究』28, 台大婦女研究室, 2011, 107-131면.
38. 林孟潔, 「遺書其後─從邱妙津書信體小說 『蒙馬特遺書』, 『邱妙津日記』與賴香吟 『其後』討論邱妙津其人」, 『文化研究月報』135, 中華民國文化研究學會, 2012, 36-41면.
39. 朱芳玲, 「一種關於死亡的生存美學─邱妙津 《蒙馬特遺書》的愛欲與書寫」, 『東海中文學報』第30期, 東海大學中國文學系, 2015, 85-11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