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9, pp.203-226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0
Received 10 Aug 2020 Revised 10 Sep 2020 Accepted 12 Sep 2020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0.09.79.203

『일년』의 검열과 개작

김영애**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 초빙교수
A study on the censorship and revision of “The One Year”
Kim, Young-Ae**

초록

박영준의 『일년』은 두 번의 검열로 원작에 대한 이중의 삭제가 이루어진 작품이다. 발표 당시 총독부 검열에 의한 원본 삭제, 해방 이후 단행본 출간 과정에서 작가에 의한 연재본 수정 및 삭제가 그것이다. 본고는 식민지시기와 해방 이후 『일년』이 외부검열과 자기검열에 의해 ‘이중의 삭제’를 당한 이유와 배경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1934년 『신동아』 연재본과 1974년 단행본의 텍스트 비교를 통해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검열과 개작이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일년』이라는 텍스트를 분석한 선행연구에서도 작가에 의한 개작 문제는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단행본 출간 시기가 워낙 늦은 탓도 있겠으나 이미 연재 단계에서 검열이 작동해 원작의 삭제가 이루어진 점에만 집중한 탓도 있을 것이다. 본고는 선행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바탕으로 단행본 개작에 대한 논의를 추가하여 『일년』의 검열과 개작 양상을 전반적으로 논의하고자 했다. 『일년』은 식민지시기 총독부의 검열에 의한 삭제 그로부터 40년 후 작가 스스로에 의한 수정과 삭제 등 이중의 삭제가 이루어진 작품이다. 첫 번째 삭제가 외부 검열에 의한 강제적인 것이었다면 두 번째는 작가의 자기검열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원작의 표현을 다듬는 수준을 넘어 서사적 구성 차원의 수정으로까지 확장된 것은 그리 단순하지 않은 문제이다. 단정 수립 직후 박영준이 누구보다 먼저 자발적으로 전향 선언을 한 사실을 토대로 보면 『일년』에 대한 자기검열과 개작이 어떤 목적과 배경 하에 이루어졌는지 짐작 가능하다. 즉 해방 이후 ‘중간파’로 분류되었던 박영준은 1949년을 전후로 한 전향 선언으로 체제 선택을 강요당하고, 이로 인해 자신의 문학적 정체성을 지울 수밖에 없었으며 그의 전향은 해방 이후 조선문학가동맹에 관계한 경력에 대한 자기검열이 작용한 결과로 추정할 수 있다.

Abstract

Park Young-joon's “The One Year” is a double-deletion of the original work through two censorships. They include the deletion of the original copy by external censorship at the time of the first announcement in the Shindonga, and the revision by the author in the process of publishing the book after liberation.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reasons and backgrounds of double deletion due to external and self-censorship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fter liberation, this paper tried to provide specific grounds through text comparison between the Shindonga edition in 1934 and the separate volume in 1974. Even in the prior study, which analyzed the text “The One Year” based on the keywords of censorship and reformation, the issue of rewriting by writers was not dealt with as important. The reason is that the publication of the book is very late and this may be partly due to the fact that the original work has already been censored and deleted. Based on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prior research, this study tried to discuss the overall censorship and rewriting aspects of the book by adding discussions on the revision of the book. “The One Year” is a work of double deletion, from the dele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o the revision and deletion by the author himself 40 years later. While the first deletion was compulsory by external censorship, the second was by the author's self-censorship. It is not a simple matter to extend beyond the level of refinement of the original work to the revision of narrative composition. Park Young-joon voluntarily declared his conversion righ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of the independent government. It is possible to guess what purpose and background the self-censorship and conversion of “The One Year”. Park Young-joon, who was classified as a “middle-class” after liberation, was forced to choose his regime in 1949 due to his declaration of conversion, which forced him to erase his earlier literary identity, and his conversion can be estimated as a result of his self-censorship of his career in the Chosun Literary Union after liberation.

Keywords:

Park Young-joon, “The One Year”, external censorship, self-censorship, revision, double-deletion, peasant literature

키워드:

박영준, 일년, 외부검열, 자기검열, 개작, 이중의 삭제, 농민문학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A2A03045339)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