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6, pp.5-30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9
Received 17 Nov 2019 Revised 06 Dec 2019 Accepted 11 Dec 2019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9.12.76.005

1930년대 중반 신문 매체의 문학 담론과 김정한의 초기 단편 :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신춘문예와 「사하촌」 당선을 중심으로

김준현*
*성신여대 인문과학대학 초빙교수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Jeong-han's short stories and the literary discourse on the newspapers in the middle 1930's
Kim, Jun-hyun*

초록

1935년과 1936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라는 양대 신문 매체에서의 문학 담론과 김정한의 초기 작품활동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당시는 카프 해산으로 좌파 문단이 극심한 침체기에 들었을 때지만, 양 신문의 문예 지면은 여전히 문학에서 계급성을 어떻게 형상화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담은 비평과 논쟁들을 치열하게 게재하고 있었다.

당시 두 신문에서 치열하게 제시되던 키워드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강령적 도입 여부에 대한 대응 논리의 일환으로서 ‘국가적/민족적 특수성’, ‘현실성’ 등의 기호들이었다. 신문의 신춘문예는, 신문의 매체이념과 이데올로그들이 공유하는 문학관이 관철되는 중요한 경로였다. 따라서 이러한 매체이념으로서의 문학담론들이, 신춘문예 당선자 선정에 있어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했다. 또한 신춘문예를 준비하는 작가 지망생들에게 있어서도, 신춘문예의 심사평이나 공모요강 등은 강한 참조점을 시사했다.

따라서 김정한의 「사하촌」이 양 신문에 동시 투고되어 조선일보에서 당선되고, 그 이후 「사하촌」 뿐 아니라 김정한의 초기작이 지면을 가리지 않고 두루두루 언급되며 고평가되는 것은, 김정한 문학의 자체적 우수성뿐 아니라 당대 문단 지형과 문학담론의 맥락과도 연관되어 있다.

전자의 문제는 워낙 많이 언급된 바 있었기 때문에 이 글은 후자의 문제를 주목하였으며, 당대 김정한의 작품이 문학 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것이 신문의 매체이념을 통해 드러나는 문학담론의 자장 하에 위치한다는 것을 밝혔다.

Abstract

This paper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ry discourse in the two major newspapers - the Dong-A Ilbo and the Chosun Ilbo - in 1935 and 1936 and Kim Jeong-han's early works. Back then, when the left-wing literary circle entered a period of extreme stagnation due to the disbandment of the KAPF, the literary pages of both newspapers were still fiercely publishing criticism and debates over how to shape the matter of class in literary works.

The keywords fiercely presented in the two newspapers at the time, were “national/national speciality” and “realistic”. They were bought out as their response logic on the problems of how to introduce ‘socialistic realism’ to literary field of Korea. the “Shin-Choon Munyae(the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 in the newspapers were important routes through which the media ideology of the newspapers and the literary discourses shared by the literary writers of the media. Therefore, the literary discourse as a media ideology serves as an important criterion in the selection of Shin-Choon Munyae. In addition, for aspiring writers preparing for the contests, screening reviews and public offerings of the contests suggested strong points of reference.

Therefore, it is not only Kim Jeong-han's literary excellence but also the context of literary discourse that Kim Jeong-han's early works matters in the process of acception of his works in the literary field at the time.

Keywords:

the literary discourse, Kim Jeong-han, the Dong-a Ilbo, the Cho-sun Ilbo, the middle 1930's, Shin-choon Munyae

키워드:

김정한, 문학 담론, 동아일보, 조선일보, 1930년대, 신춘문예

References

  • 김준현, 「단정 수립 후 문학 장의 변화와 이헌구의 문단회고」, 『어문논집』 83, 2018, 59-48면.
  • 김준현, 「전후 문학 장의 형성과 문예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 박경수, 「부산 · 경남 지역 아동문학의 현황과 전개 과정 연구」, 『우리문학연구』 31, 2010. 10, 339-404면.
  • 오현석, 「요산 김정한의 신문 매체에 대한 인식과 소설 창작 방법 연구」, 『한국문학논총』 77, 2017, 229-261면.
  • 우시지마 요시미, 문한별, 「1920년대 중반 조선총독부의 검열 문건 연구」, 『어문론집』 72, 2017. 12, 249-278면.
  • 이봉범, 「1950년대 등단제도 연구」, 『한국문학연구』 36, 2009, 365-435면.
  • 이봉범, 「잡지 <문예>의 성격과 위상」, 『상허학보』, 2006. 235-272면.
  • 이순욱, 「광복기 요산 김정한의 문학활동 연구(1)」, 『비평문학』, 2013. 225-260면.
  • 이희환, 「1930년대 신세대 작가의 두 갈래 길」, 『한국학연구』 17,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12, 213-238면.
  • 정미숙, 「부산 지역의 소설과 매체에 대한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18, 2017, 23-45면.
  • 조윤정, 「번역가의 과제, 글쓰기의 윤리」, 『반교어문학』 27, 2009, 373-41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