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2, pp.29-58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31 Oct 2018 Revised 13 Dec 2018 Accepted 14 Dec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12.72.29

이상적 독자의 개념과 존재 양상

김승환*
*충북대학교 교수
Concept and Modality of the Ideal Reader
Kim, Seung-Hwan*

초록

이상적(ideal, 理想的) 독자는 바람직한 독서를 하는 존재라는 뜻이다. 그런데 ‘무엇이 바람직한 독서인가?’에 대한 답은 이론과 시각에 따라서 다르고 시대와 상황에 따라서도 다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말하는 이상적 독자는 작가의 의도, 작품의 내용과 형식, 상황과 맥락 등을 잘 이해하면서 독자 자신도 창의적인 해석을 통하여 기쁨과 행복을 느끼는 완벽한 독자다. 그런데 이런 독자는 거의 없으며, 작가 이외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설연구자들은 이런 완벽한 이상적 독자가 있다고 가정하고 이상적 독자를 논하였을 뿐, 이상적 독자의 존재 원리와 존재 양상에 대하여 논하지 않았다. 기존의 이상적 독자의 한계는 이상적 독자의 이론적 근거가 없이 일반적 개념을 적용한 것이다. 이상적 독자를 논할 때 필요한 것은 이상적 독자의 개념 성립 여부와 이상적 독자의 존재 양상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작가의 마음에 내재하는 이상적 독자’ 즉 텍스트 안의 이상적 내포독자(ideal implied reader)이다. 텍스트 구조의 개념인 내포독자와 텍스트 해석의 기능적 개념인 이상적 독자는 층위가 다르지만, 상호교집합의 관계를 형성한다. 이런 전제를 가정하고 이상적 독자를 살펴보자면, 텍스트 층위의 이상적 독자는 작가의 서사전략에 의해서 탄생한다. 작가가 이상적 독자를 설정하는 이유는, 작가는 이상적 독자를 통해서 자신의 서사전략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작품의 구조와 문학성은 이상적 독자의 존재 양상에 따라서 달라진다. 그런 이유 때문에 작가는 이상적 독자를 텍스트 안의 내포독자로 구현하는 것이다. 이런 텍스트 층위의 이상적 내포독자는 현실의 이상적 독자와는 현저히 다르다. 현실의 이상적 독자는 작가의 서사전략이 아니라 독자의 독서전략에 의해서 탄생한다. 그러므로 현실의 이상적 독자는 순종적이고 수동적인 독자가 아니라 저항적이고 능동적이며 창의적인 독자다. 이 점을 고려해 볼 때, 이상적 독자의 존재 양상은 다섯 가지 유형이 있다. 이 중에서 독자를 중심으로 하는 현실의 이상적 독자는 제외하고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이상적 독자는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것은 ①텍스트 안[허구]에 내재하면서 작가의 의도를 이해하고 반응하는 수동적 이상적 독자 ②텍스트 안[허구]에 내재하면서 창의적으로 작품을 이해하는 능동적 이상적 독자 ③텍스트 바깥[현실]에 실재하면서 작가의 의도를 이해하고 반응하는 수동적 이상적 독자 ④텍스트 바깥[현실]에 실재하면서 창의적으로 작품을 이해하는 능동적 이상적 독자 등이다. 이 중, ③과 ④의 독자는 현실의 실제 독자인 동시에 독서이론의 이상적 독자와 같을 수도 있지만 텍스트 층위에서 보면 개념이 다르다. 텍스트 안에 이 네 유형의 이상적 독자가 존재할 필연성(necessity)은 없고 우연성(contingence)만 있다.

Abstract

‘Ideal’ in the ‘ideal reader’ is the most ideal reading among others. If so, what is the ideal reader and ideal reading? It depends upon the perspectives and situations. General meaning of the ideal reader are readers who understand writer's purposes, contents and forms of work and feel happy during the creative and critical reading by themselves. There are not likely to exist such an ideal reader actually. Narratology researchers has analyzed the general ideal reader and didn't analyze the ontological ground and modality till now. What we need for discussing the ideal reader will be the possibility of the ideal reader and the modality. The reason why writer invents the ideal reader as an implied reader is that ideal reader can understand the writer's purpose and meet the expectation of writer. Ideal reader of the writer's perspective and ideal reader of the real reader's perspective are quite different due to its contradict concepts. Passive reading and active reading are also contradictory concepts. If we use these determining factors, we can conclude of the four types of the ideal readers. Firstly, the ideal readers who understand and agreed the writer's purpose absolutely as passive readers in the text. Secondly, the ideal readers who interpret and enjoy the work with creativity as active readers in the text. Thirdly, the ideal readers who understand and agreed the writer's purpose absolutely as passive readers outside of the text. Fourthly, the ideal readers who interpret and enjoy the work with creativity as active readers outside of the text. Existing of an ideal reader don't have any possibility but have contingence. Ideal reader may not exist other than writer.

Keywords:

implied reader, ideal reader, ideal reading, passive reading and active reading, text

키워드:

내포독자, 이상적 독자, 이상적 독서, 수동적 독서, 능동적 독서, 텍스트

References

  • Prince, Gerald, “The Narratee Revisited”, Style 19, 1985.
  • Reader-response Criticism: From Formalism to Post-structuralism, edited by Jane P. Tompkin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0).
  • Schmid, Wolf, “Review of B. A. Uspenskij, A Poetics of Composition”, Poetica 4, 1971.
  • Schmid, Wolf, “Textadressat”, edited by Th. Anz., Handbuch Literaturwissenschaft. (Stuttgart: Metzler, 2007), vol. 1.
  • 권성우,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책과 독서에 대하여」, 『우리문학연구』 49호, 우리문학회, 2016년 1월, (199-228).
  • 김근호, 「독자로서의 작가 - 최인훈 <화두>의 문학독서 현상학」, 『현대소설연구』 71권,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5-31).
  • 김동환, 「비판적 사고와 독서 ; 비평 능력 신장을 위한 문학 독서교육」, 『독서연구』 20권 0호, 2008년 12월. 한국독서학회.
  • 김승환, 「소설텍스트의 현실과 허구를 나누는 선」, 『현대문학이론연구』 70권,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년 9월, (31-55).
  • 김종갑, 「Wordsworth의 시에 있어서 이상적인 독자」, 『영어영문학』 39권 1호, 한국영어영문학회, 1993년 03월. (19-40).
  • 류보라, 「청소년의 독자 인식 양상과 범주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6권 0호, 국어교육학회, 2013년 4월.
  • 변광배, 「사르트르와 바르트의 ‘작가-독자론’ 비교 연구」, 『외국문학연구』 44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년 11월. (55-80).
  • 원자경, 「소설텍스트의 읽기능력 신장을 위한 질문 전략 연구 - 이상 <날개>를 중심으로 -」, 『독서연구』 20권 0호, 2011년 6월. 한국독서학회. (237-279).
  • 이국환, 「독서, 연민과 자기 이해의 여정」, 『국제언어문학』 28호, 국제언어문학회, 2013년 10월. (25-51).
  • 이상, 「종생기(終生記)」, 권영민의 현대문학위키, Acc., 2018년 10월 25일.
  • 정병기, 「연구독서의 유형과 과정 및 방법- 연구독서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과 새로운 독서법 제안」, 『사고와 표현』 제2집 제2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09년 11월.
  • 정복진, 「‘타당한 해석’을 위한 시 교육 연구」, 『국어문학』 60호, 국어문학회, 국어문학 60, 2015년 11월. (511-539).
  • 최재서, 「『천변풍경』과 『날개』에 관하야」, 『문학과 지성』, 인문사, 1938.
  • Abrams, M. H., The Mirror and the Lamp: Romantic Theory and the Critical Tradition, (Oxford Univ Press, 1953).
  • Aristotle, “Categories”, The Complete Works of Aristotle, vol 2, translated by J. L. Ackrill,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 Barthes, Roland, 『텍스트의 즐거움』 『롤랑 바르트 전집』 12권, 김희영 옮김, 동문선, 2002.
  • Barthes, Roland, S/V, (New York: Blackwell Publishing, 1974).
  • Booth, Wayne C., The Rhetoric of Fic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1).
  • Chatman, Seymour, Story and Discourse,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78).
  • Eco, Umberto, The Role of the Reader: Explorations in the Semiotics of Texts, (Indiana University Press, 1984).
  • Iser, Wolfgang, The Act of Reading: a theory of aesthetic response, (London and Henley: Routledge and Kegan Paul, 1978).
  • Kress, Gunther R., Linguistic Processes in Sociocultural Practice, (Deakin University, 1985).
  • Lewis, David, Counterfactuals, (Blackwell &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 Schmid, Wolf, Narratology, translated by Alexander Starritt, (Walter de Gruyter GmbH & co., 2010).
  • Toffler, Alvin, The Third Wave, (Bantam Books, 1980).
  • 조남현, 『소설신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