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1, pp.353-386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8
Received 15 Aug 2018 Revised 12 Sep 2018 Accepted 14 Sep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9.71.353

전시의 서울과 피난의 (불)가능성

이민영*
*서울대학교 강사
Seoul in Wartime and The Possibility/Impossibility of Evacuation
Lee, Min-Young*

초록

한국전쟁에 있어서 피난은 민중들이 경험하는 주요한 전쟁체험이었다. 전선이 급격하게 변하였던 한국전쟁의 특수성상 대다수의 국민들은 피난민의 처지에 놓일 수밖에 없었다. 본고에서는 피난을 한국전쟁 체험의 주요한 양상으로 보고, 피난을 떠난 자들과 피난을 떠나지 못한 자들의 서사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는 ‘피난하는 국민’의 정체성이 단순히 ‘침략 당한 약소민족의 수난’이라는 국가주의적 담론으로 환원될 수 없다는 점을 전제로한다.

전쟁체험으로부터 거리감을 확보하지 못한 전시의 소설들은 개인의 생존을 도모하는 피난민의 현실과 민족주의적 수난의 서사 사이에 놓인 모순들을 재현해낸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최인욱의 「목슴」, 김송의 「서울의 비극」, 염상섭의 「해방의 아침」, 강신재의 「눈물」, 김광주의 「불효지서」, 한무숙의 「아버지」와 그 외 수기의 형식으로 피난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적화삼삭구인집』, 『고난의 90일』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자한다.

전쟁기의 작품들은 급변하는 전쟁의 상황에 따라 피난에 대한 유동적인 의미망을 구축해낸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피난의 문제가 부각되는 주요시점인, 1950년 6월 25일의 상황과, 1950년 9월 28일의 상황 그리고 1951년 1월 4일의 상황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당시 서울의 전황은 매우 급박하게 전개되고 있었고, 국민적 정체성을 상상하게 하는 수도에서 정부가 이탈함으로써 대혼란이 일어난다. 피난하는 정부가 구성해낸 수난의 서사는 다시 피난을 떠나는 민중들에게 전이되었지만 전쟁의 공포와 생존의 문제는 여전히 서사의 이면에 남아있다.

본고에서는 국가화 되지 못한 피난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쟁 발발 후 3일간의 상황을 다루는 서사에서 피난은 오히려 공동체를 이탈하여 개인의 생존만을 추구하는 배신적인 행위로 간주된다. 하지만 서울 수복이후 다시 돌아온 피난민들은 피난을 민족의 양심적 행위로 규정하고 잔류민들에게 죄의 고백을 강요한다. 잔류민들은 돌아온 국민들의 폭력적 힘을 마주하면서, 반공주의적 양심의 개념을 개인의 내적 윤리로 재정립하고 잔류민과 부역자의 관계를 분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잔류민의 자기증명속에서 잔류민과 피난민들이 공유하는 생존의 문제가 다시 부각된다. 잔류민의 서사를 통해 민족의 운명으로 환원되는 피난의 의미는 의심의 대상이 된다. 이는 1.4후퇴 이후 서울을 기록하는 서사들에서 더욱 명확하게 발견 되는바, 부산으로 피난을 떠난 주인공들은 서울에 남은 자들을 목격하게 되면서 자신의 피난에 남아있는 생존의 욕망을 직시한다. 이러한 개인들의 욕망은 국가주의적 피난 서사로 환원되지 못한 채, 개인들의 죄책감과 부채의식으로 남겨진다.

Abstract

Evacuation of the Korean War was a major war experience that the people had experienced. The special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War, in which the fronts changed drastically, was the reason that the majority of the Korean people were in a status of refugees. In this paper, I consider evacuation as a major factor of the Korean War experience, trying to analyze the narratives of those who have evacuated and those who have not. This presupposes that the identity of the ‘evacuating nation’ cannot be reduced to a nationalist discourse of ‘passion of the invaded weak nation’.

The novels of war time, which fail to secure a sense of distance from the direct war experience, represent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 national logic of evacuation which designed to build the national identity and the individual desire to survive in war. To look at this in detail, I would like to make novels about Seoul in war time an object of study.

The narratives of wartime novels show a fluid meaning of evacuation as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the war. In order to examine this, I focus the point that evacuation became a main agenda. They are the moments of outbreak of war, recapturing of Seoul and 1.4 Retreat. At that time, the situation in Seoul was developing very urgently; Chaos is caused by the departure of the government from the capital which was supposed to envision a national identity. The narrative of suffering that the evacuating government constructed was transferred to the logic of evacuating people, but the issue of fear and survival of war still remained behind the national narrative.

In this paper, I found that the meaning of evacuation was not nationalized. It was considered as stealing away from the national destiny in the narratives that deal with the three days after the outbreak of war. And then the left people faced the violent power of the returning people and try to redefine the inner ethics of the anticommunism and try to prove their conscientious behavior. The protagonists, who had evacuated to Busan, witnessed the remnants of Seoul and faced their desire for survival in their evacuation. These individuals' desires are not reduced to nationalist evacuation narratives but are left in the form of individual guilt and debt consciousness.

Keywords:

Dogang, Bidogang 6.25, 1.4 retreat, 9.28 Seoul restoration, anti-communism, conscience

키워드:

도강, 비도강, 6.25, 1.4후퇴, 9.28 서울수복, 반공주의, 양심

References

    1. 1차 자료

    • 강신재, 「눈물」, 『문예』, 1951.1.
    • 김광주, 「불효지서」, 『전시한국문학선』, 국방부정훈부, 1954.
    • 김송, 「서울의 비극」, 『전쟁과 소설』, 계몽사, 1951.
    • 박연희, 「혼미기」, 『현대소설선』, 수도문화사, 1954.
    • 안수길, 「제3인간형」, 『전시한국문학선』, 국방부정훈부, 1954.
    • 염상섭, 「해방의 아침」, 『신천지』 6권1호, 1951.
    • 오제도, 「민족양심의 반영」, 『적화삼삭구인집』, 국제보도연맹, 1951.
    • 유진오, 「서울탈출기」, 『고난의 90일』, 수도문화사, 1950.
    • 장용학, 「찟어진 윤리학의 근본문제」, 『문예』, 1953.6.
    • 최인욱, 「목슴」, 『문예』, 1950.12.
    • 한무숙, 「아버지」, 『문예』, 1951.1.

    2. 2차 자료

    • 권명아, 「여성 수난사 이야기, 민족국가 만들기와 여성성의 동원」, 『여성문학연구』 7, 2002.
    • 김동춘, 『전쟁과 사회』, 돌베개, 2009.
    • 김동춘, 「서울시민과 한국전쟁」, 『역사비평』, 2000.5.
    • 김동완, 「수도의 재구성과 수도권의 탄생」, 『공간과 사회』 62. 2017.
    • 김복순, 「1950년대 여성소설의 전쟁인식과 ‘기억의 정치학’」, 『여성문학연구』, 2003.
    • 김영미, 「박완서 문학에 나타난 서울에서의 한국전쟁 체험의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 54, 2018.4.
    • 나보령, 「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피난지 부산과 아메리카니즘」, 『인문논총』 74권 1호, 2017.2.
    • 박태균, 『한국전쟁』, 책과함께, 2011.
    • 박덕규, 「6.25 피난공간의 문화적 의미」, 『비평문학』 39, 2011.3.
    • 서동수, 「모윤숙의 피난체험과 도강파의 글쓰기」, 『한국문예비평연구』 33, 2010.12.
    • 서동수, 『한국전쟁기 문학담론과 반공프로젝트』, 소명출판, 2012.
    • 송은영, 「1950년대 서울의 도시공간과 문학적 표상」, 『한국학연구』 29, 2013.
    • 이민영, 『1945년-1953년 한국소설과 민족담론의 탈식민성 연구』,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5.
    • 유임하, 「이데올로기의 억압과 공포」, 『현대소설연구」 25, 2005.
    • 이순욱, 「한국전쟁기 문단 재편과 피난문단」, 『동남어문논집』 24, 20007.11.
    • 장세훈, 「전쟁과 도시화」, 『도시연구』 8호, 2002.
    • 정병준, 『한국전쟁-38선의 충돌과 전쟁의 형성』, 돌베개, 2009.
    • 조남현, 「한국전시소설연구」, 『한국현대소설의 해부』, 문예출판사, 1993.
    • 차철욱, 「한국전쟁기 임시(피란)수도 부산의 재현과 의미」, 『항도부산』 35호, 2018.2.
    • 최미진, 「한국전쟁기 경향신문의 문화면과 김광주의 글쓰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54. 2012.3.
    • H. 포터 애벗, 『서사학 강의』, 문학과 지성사, 2010.
    •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 자크 라캉, 권택영 편, 『욕망이론』, 문예출판사 2005.
    •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근본개념』, 열린책들,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