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0, pp.75-116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8
Received 05 Jun 2018 Reviewed 15 Jun 2018 Accepted 15 Jun 2018 Revised 26 Jun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6.70.75

김승옥 소설의 대화적 담론성과 정치적 (무)의식

서은혜*
*홍익대학교 초빙대우교수
The Polyphony and Political (Un)consciousness in Kim Seong-Ok's Short Stories
Seo, Eun-Hye*


Copyright Ⓒ 2018

초록

김승옥 소설의 문체적 특징은 감각적 이미지의 혼용, 연상과 환유의 사용 등 통사론적 차원에서 주로 연구되었으며, 한글세대로서의 뛰어난 문장 감각이라는 작가 개인의 탁월함을 보여주는 요소라는 평가로 주로 귀결되었다. 그러나 63년에서 69년 사이 김승옥 소설들, 특히 「역사(力士)」(1963), 「싸게 사들이기」(1964), 「서울, 1964년 겨울」(1965), 「다산성」(1966), 「내가 훔친 여름」(1967), 「야행」(1969)에서 당시 정권이나 대학사회의 언어들을 차용하고 서사의 전체적 맥락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세태를 포착하고 있다는 점 역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조국 근대화의 주체로서 청년을 호명하며 이루어진 생산-창조 담론, ‘데모’를 혐오하며 학생사회를 통제하던 지배담론의 언술, 4·19와 5·16의 권력적 역학관계를 둘러싼 기성세대의 다양한 혁명론, 지도자론, 국익을 위한 파병을 정당화한 베트남 전쟁 관련 담론 등 60년대를 이루는 굵직한 사회사적 사건, 그와 관련된 담론들이 서사 안에서 재맥락화되며 새로운 정치적 (무)의식을 드러내는 지점을 살펴보았다.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시대적 징후 혹은 정치성은, 한국사회 전체가 개발을 지상과제로 삼으며 세속적 성공만을 유일한 삶의 가치로 여기게 되는 풍조로부터 한 발짝 물러서서 우회적 방식으로 이에 문제를 제기하고 균열을 낸다는 점에 있다.

Abstract

The stylistic features of Kim Seung-ok's short stories have been mainly studied in syntactic aspects such as the use of sensual images, the use of associations and metonyms. These studies commonly praise Kim's great ability as a stylist. But except these features in syntactic context, the perspective of social linguistics such as Mikhail Bakhtin, who consider parole as a utterance in everyday life as a language of novel can be applied on demonstrating certain utterances in Kim's several stories. Kim uses the language of Park Jung-hee's regime or the University student who considered agency of 4·19 revolution.

Kim's works such as Strong Man (역사) A Cheap Purchase (싸게 사들이기), Seoul, Winter in 1964 (서울, 1964년 겨울), Prolifiacy(다산성), The Summer That l Steal (내가 훔친 여름) A Night Travelling (야행) contains various social discourses related to governing discourse emphasizing creating agency, misogyny on resistance against Park's regime, 4·19 revolution, Vietnam War. These social discourses are commonly related to the important social event in 1960s. These discourses have influence on Kim's works, in a way of using the parody , pastiche, metonymy and metaphor in his own context. As a result, Park's regime's discourses sometimes are satired and caricatured in his works. Like this, reading Kim's stories as a certain utterence of society in 1960s produce rich meaning that never be mentioned before and we can see where the form itself produce certain meaning related to the social background when literary works are published.

Keywords:

Kim Seong-ok, polyphony, 4·19, utterence, metonymy, parody, pastiche, the Vietnam War, the discourse of modernization, the discourse of revolution, development

키워드:

김승옥, 다성성, 4·19, 발화, 환유, 패러디, 혼성모방, 베트남전쟁, 근대화론, 혁명론, 개발

참고문헌

    1. 일차자료

    • 김승옥, 『김승옥 소설전집』, 문학동네, 2004.
    • 김승옥, 「자작해설」, 『뜬세상 살기에』, 위즈덤하우스, 2017, 20, 29면.
    • 김태길, 「특집 젊은 지성들의 광장-파이오니어로서의 자세」, 『사상계』 1962.4, 98-101면.
    • 유영준, 「특집 전진하는 전통사회- 전진에 반항하는 전통적 가치」, 『사상계』, 1962.3, 62-71면.
    • 이극찬, 「대학생과 정치적 관심」, 『사상계』 1962.4, 110-117면.
    • 임성희, 「혁명의 이론과 실제-쏘로킨과 부린톤의 혁명론을 중심하여」, 『사상계』 1961.11, 288-289면.
    • 최재희, 「역사철학의 새로운 향방」, 『사상계』 1961.12, 114-123면.
    • 「휴가, 여유, 그리고 창조」, 『대학신문』 349호, 서울대학교 대학신문사, 1961.7.10.

    2. 단행본

    • 권보드래·천정환, 『1960년을 묻다: 박정희 시대의 문화정치와 지성』, 천년의 상상, 2012.
    • 김명석, 『김승옥 소설의 감수성과 일상성』, 푸른사상, 2004, 36-62면.
    • 김욱동, 『은유와 환유』, 민음사, 1999, 244-245/ 263면.
    • 김주연, 『김주연 평론문학선』, 문학사상사, 1992, 13-48면.
    • 김현, 『사회와 윤리』, 일지사, 1974, 383-402면.
    • 박정희, 『우리민족의 나갈 길: 사회재건의 이념』, 동아출판사, 1962, 196-197면.
    • 박정희, 『민족의 저력』, 광명출판사, 1971, 269면.
    • 서울대학교 대학신문사, 『마로니에 : 서울대학교 대학신문 1면 고정칼럼 25년 1959~1984년』, 서울대학교출판부, 1985. 139-140/ 394면.
    • 유종호, 「감수성의 혁명」, 『비순수의 선언』, 민음사, 1995, 424-430면.
    • 이승훈, 『포스트모더니즘 시론』, 세계사, 1991, 253-254면.
    • 임희완, 『20세기의 역사철학자들』, 건국대학교출판부, 2003, 147-151면.
    • M. 바흐찐, 송기한 옮김, 『마르크스주의와 언어철학』, 한겨레, 1988, 29-34면/129-136면.
    • 미하일 바흐친, 「소설 속의 담론」, 전승희 외 옮김,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988, 111-120면.
    • 프레드릭 제임슨, 이경덕·서강목 옮김, 『정치적 무의식』 , 민음사, 2015.
    • 게리 솔 모슨·캐릴 에머슨, 오문석 외 올김, 『바흐친의 산문학』, 책세상, 2006, 545-555면.
    • 아놀드 조셉 토인비, 김규태·조종상 옮김, 『역사의 연구』 Ⅱ, 더스타일, 2012, 58-59면.
    • Jamson, Fredric, The Antinomies of Realism, London ; New York : Verso, 2015, p.4.

    3. 논문

    • 공종구, 「패러디와 패스티쉬 그리고 표절 그 개념적 경계와 차이」, 『국어국문학연구』 19호,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7, 861-876면.
    • 김건우, 「4ㆍ19세대 작가들의 초기 소설에 나타나는 ‘낙오자’ 모티프의 의미」, 『한국근대문학연구』 16호, 한국근대문학회, 2007.10, 167-193면.
    • 김동식, 「4.19 세대의 정치적 무의식과 ‘초현실주의’라는 기호(記號)-하길종의 영화와 글쓰기에 관한 몇 개의 주석」, 『대중서사연구』 27집, 대중서사학회, 2012, 77-108면.
    • 김영찬, 「1960년대 문학의 정치성을 ‘다시’ 생각한다」, 『상허학보』 40집, 상허학회, 2014, 185-211면.
    • 김우성, 「베트남 참전 시기 한국의 전쟁 선전과 보도」,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05, 24-26면.
    • 박진영, 「1960년대 지배담론의 수사와 <서울, 1964년 겨울>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Jornal of Korean Culture 27, 2014, 101-120면.
    • 백지은,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글쓰기 특징-「다산성」(1966)의 문맥 형성과정 고찰」, 『국제어문』 44집, 국제어문학회, 2008, 303-327면.
    • 서영채, 「한글세대의 문학 언어의 특징-김승옥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제 59집, 대동문화연구소, 2007, 135-160면.
    • 신형기, 「혁신담론과 대중의 위치」, 『현대문학의 연구』 47집, 2012, 263-295면.
    • 이선옥, 「1960년대 과학주의와 젠더의 재구성」, 『여성문학연구』 39집, 한국여성문학학회, 261-302면.
    • 이정숙, 「김승옥 정전의 재구성-배제된 ‘웃음의 서사’, 꽁트」, 『한국근대문학연구』 18집, 한국근대문학회, 2008, 101-125면.
    • 오길영, 「서사와 유토피아적 충동-제임슨의 서사이론」, 『비평과 이론』 제21권 2호, 한국비평이론학회, 2016, 133-154면.
    • 임경순, 「김승옥 소설의 모더니즘적 특성에 대한 연구」, 『현대소설연구』 11집, 한국현대소설학회, 1999, 231-248면.
    • 장두영, 「베트남 전쟁 소설론」, 『한국현대문학연구』 25집, 한국현대문학회, 2008, 383-425면.
    • 장현숙, 「이상의 글쓰기 방식 수용 양상 연구- 이상, 황순원, 김승옥, 최인호의 서술기법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57집, 한국현대소설학회, 2014, 411-443면.
    • 차미령, 「김승옥 소설의 탈식민주의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최인자, 「김승옥 소설 문체의 사회시학적 연구」, 『현대소설연구』 10집, 한국현대소설학회, 1999, 359-37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