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8, pp.479-51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7
Received 14 Oct 2017 Reviewed 30 Nov 2017 Accepted 15 Dec 2017 Revised 20 Dec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12.68.479

회개와 거듭남, 정결한 지도자 되기 : 이광수의 『再生』 論

정하늬*
*카이스트 대우교수
The Repentance and Rebirth, Being a Faithfulness leader : on the Rebirth(『再生』) of Lee Kwang-soo
Jung, Ha Nie*

초록

이 논문은 이광수의 『재생』에 나타난 지도자상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있다. 이광수는 “돈이냐 사랑이냐”라는 신파적 구조를 참조하여 3.1운동 이후 타락한 조선의 현실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다음 세대의 진로로 ‘신봉구’라는 새로운 청년 지도자상을 제시했다. 이 지도자상은 『무정』의 교사로서의 지도자(이형식)과 『흙』의 투사적인 민족의 지도자(허숭) 사이의 과도기적 지도자인데, 개인적 욕망과 사회적 욕망 사이에서 갈등하면서 자신의 책무와 지도자의 요건을 깨닫고 거듭나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이광수가 영향을 받았던 기독교 사상이 지도자상의 핵심을 만들었다고 보았다. 그는 기독교적 세계관의 핵심을 ‘사랑’으로 보았는데, 봉구의 사랑은 이성에 대한 사랑에서 민족, 세계를 향한 아가페적 사랑으로 변한다. 여기에는 타락한 사회와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고 회개하는 과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회개와 속죄라는 거듭남의 과정을 거쳐 봉구는 다음 세대의 지도자가 될 수 있는 인물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산상수훈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결성이 사랑과 맞닿아 있다는 것을 깨달은 후 비로소 민족의 실천적 지도자가 될 준비를 끝마치게 된다

Abstract

This paper aims to determine the leadership in the Jaesaeng(Rebirth, 『再生』) of Lee Kwang-soo. Lee showed the corrupt society of Chosun after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referring to the melodramatic structure known as “Money or love?” And through this, Lee presented a new youth leadership as a new generation’s career, ‘Shin Bong-gu’. This new leadership is a transitional between the leader as a teacher(Lee Hyung-sik of Heartlessness) and the leader as a fighter(Huh Soong of The Soil). The Christian view that Lee was influenced by was building leadership. The love, the point of Christianity had turned the intellectual young man into the leader of the nation. Bong-gu’s love had changed a agape love toward the world. It’s because there was a process in which Bong-gu faced himself with a depreciative and repentant process. After undergoing the process of rebirth, Bong-gu was finally ready to become a leader

Keywords:

Lee Kwang-soo, Rebirth(『再生』), a leader, repentance, rebirth, faithfulness, love

키워드:

이광수, 『재생』, 지도자, 회개, 거듭남, 정결성, 사랑

참고문헌

    1. 기본자료

    • 이광수, 『재생』, 애플북스, 2014.
    • 이광수, 「작자의 말」, 『동아일보』 1924.11.8.
    • 이광수, 「義氣論」, 『조선문단』 1924.12.
    • 이광수, 「그리스도의 革命思想」, 『청년』 1931.1.
    • 이광수, 「余의 作家的 態度」, 『동광』 20, 1931.4.
    • 이광수, 「톨스토이의 人生觀-그 宗敎와 藝術」, 『조광』 1935.
    • 이광수, 「두옹과 나」, 『신인문학』 1936.1.
    • 이광수, 「예수의 사상-누가복음 12장을 텍스트로」. 『삼천리』 1937.1.
    • 「대담-이광수씨와 기독을 語함」, 『삼천리』 1932.1.

    2. 참고자료

    • 강지윤, 「한국문학의 금욕주의자들」, 『사이間SAI』 16, 2014. 189-221면.
    • 강헌국, 「계몽과 사랑, 그 불편한 관계에 대하여-『개척자』와 『재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61, 2013. 119-140면.
    • 권보드래, 「3.1운동과 “개조”의 후예들-식민지시기 후일담 소설의 계보」, 『민족문학사연구』 58, 2015. 219-254면.
    • 김경미, 「이광수 연애소설의 서사전력과 민족담론-『재생』과 『사랑』을 중심으로」, 『現代文學理論硏究』 50, 2012, 5-30면.
    • 김동인, 「春園硏究」(七), 『삼천리』 제7권 제6호, 1935.7, 256-268면.
    • ______, 「春園硏究」(八), 『삼천리』 제7권 제7호, 1935.8, 269-281면.
    • 김병구, 「이광수 장편 소설 『재생』의 정치 시학적 특성 연구」, 『국어문학』 54, 2013. 183-206면.
    • 류수연, 「타락한 ‘누이’, 그리고 연애서사-이광수의 『재생』 연구」, 『구보학보』13, 2015. 233-256면.
    • 서여진, 「『재생』에 나타난 『장한몽』의 구조」, 『춘원연구학보』 5, 2012.12. 305-329면.
    • 서영채, 「자기희생의 구조-이광수의 『재생』과 오자키 고요의 『금색야차』」, 『민족문화연구』 58. 2013. 207-242면.
    • 서은혜, 「이광수 소설의 암시된 저자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서희원, 「이광수의 문학·종교·정치의 연관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______, 「근대의 영웅, 부자의 탄생」, 『한국학연구』 34, 2014. 115-144면.
    • 윤영옥, 「자유연애, 문화자본, 그리고 젠더의 역학-이광수의 『재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88, 2014. 225-248면.
    • 이만열, 「도산 안창호와 기독교 신앙」, 『한국근현대사연구』 22, 2002. 46-87면.
    • 이혜령, 「정사(正史)와 정사(情史) 사이 : 3.1운동, 후일담의 시작」, 『민족문학사연구』 40, 2009. 230-275면.
    • 조경근, 「안창호 선생의 기독교 신앙과 정치사상」, 『민족사상』 9권1호, 2015. 41-70면.
    • 최기영, 「島山安昌浩의 기독교 신앙」, 『도산사상연구』 5, 1998. 219-244면.
    • 최주한, 「민족개조론과 相愛의 윤리학」, 『서강인문논총』 30, 2011, 295-335면.
    • 홍혜원, 「『재생』에 나타난 멜로드라마적 양식」, 『한국근대문학연구』 5(2), 2004. 64-92면.
    • 고미숙, 『연애의 시대 : 근대적 여성성과 사랑의 탄생』, 북드라망, 2014.
    •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2, 솔, 2001.
    • 이재선, 『이광수 문학의 지적 편력』, 서강대학교출판부, 2010.
    • 전영택, 「안도산 선생」, 『도산안창호전집』 13,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0.
    • 최주한, 『제국 권력에의 야망과 반감 사이』, 소명출판, 2005.
    • ______, 『이광수와 식민지 문학의 윤리』, 소명출판, 2014.
    •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신의 나라는 네 안에 있다』, 박홍규 역, 들녘, 2016.
    • 알랭 바디우, 『사도 바울』, 현성환 역, 새물결, 2008.
    • 존 웨슬리, 『웨슬 리가 전한 산상수훈』, 양재훈 역·주해, KMC, 2015.
    • 와다 도모미, 『이광수 장편소설 연구』, 예옥, 2014.